Q. 연결되어 있는 두 물체에서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곽지윤 전문가입니다.질문 주신 내용을 듣고 저는 그림과 같이 물체 A와 물체 B가 연결되어 있다고 상상을 하였습니다. 첨부된 그림을 확인해주세요.역학적 에너지 보존이란 물체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합이 일정한 것을 의미합니다.그림에서는 물체 A는 떨어지고 물체 B는 끌려 올라갈 것입니다.(마찰력이 크지 않은 경우)물체 A와 물체 B의 운동에너지는 증가할 것이고, 물체 A의 위치에너지는 줄고 물체 B의 위치에너지는 증가합니다.이때 모든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합은 같습니다.조금 더 첨언을 하자면, 모든 에너지는 사라지지 않습니다.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 될 뿐입니다. 위에서 다루지는 않았지만 비탈면과 도르래에서도 마찰력이 발생할 것이고, 이때 마찰열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열 또한 에너지의 한 형태입니다.감사합니다.
Q. 수심이 깊은곳에서 스쿠버다이버들은 갑자기 떠오르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곽지윤 전문가입니다.일명 잠수병 때문에 그렇습니다. 잠수병이란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수압이 높기 때문에 혈액 내에 기체(주로 질소)들이 피 속에 용해(녹아듬)되어 있다가, 물 밖으로 나오면 압력이 낮아져서 기체화가 되고 이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들을 잠수병이라고 부릅니다. 혈관 내에 있는 피에서 갑자기 기체화가되어 공기방울을 형성할때 어느 부위나 장기에 영향을 끼치는지에 따라 1형, 2형, 3형으로 나누는데 심각한 경우(3형) 뇌에 영향을 끼쳐 뇌경색까지 이르게 할 수 있습니다.고압에서는 기체를 액체에 녹이는 현상은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바로 탄산수 제조기의 원리와 동일합니다. 탄산수도 물에 이산화탄소를 고압으로 넣어주면 물에 용해되게 됩니다. 이후 뚜껑을 열어두면 탄산수에서 기포가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기포가 혈액 내에서 생기는 것이 잠수병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울것입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