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해가 지기 전에 보이는 달. 해와 달이 동시에 보이는 이유는?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태양으로부터 빛을 받아 반사된 것을 지구에서 바라본 모양이 우리가 보는 달의 모습입니다. 달에 반사된 빛은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면서 산란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달빛, 정확하게는 '태양의 빛이 달에 반사된 빛'은 밤에는 노란색으로 보이고, 밝은 낮에는 태양과 달의 거리가 가까워 잘 보이지 않거나 흰색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낮에는 달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실제로는 낮에도 달이 떠있지만, 태양빛이 너무 밝아 달이 하늘에 떠 있어도 보지 못하는 것입니다. 해가 구름 속에 숨거나 날이 어두울 때 가끔 낮에도 달이 보이는 경우나 질문자님이 언급한것과 같이 해가지기 전에 달이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달은 항상 해와 같이 떠있는데 우리눈에 잘 안보일 뿐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전향력은 적도 부근에서 더 크게 발생하나요?
지구는 자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합니다. 어느 위도에서 관측자가 가지는 회전 각속도는 지구자전에 의한 회전 각속도(360도/24h)*sin위도 에 해당하는 값을 가집니다. 즉 적도에 있는 관측자는 회전 각속도가 0입니다. 제가 이해한 방법은 극에 서 있는 관측자는 회전을 하지만 적도에 서 있는 관측자는 한 방향으로 쭉 나아가기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질문자님께서 언급해주신 코리올리효과에 의한 현상은 물체를 이동하려고 하는 힘이 아닌 회전시키려고 하는 물리량입니다. 북반구에서는 회전축이 자전축과 나란한(평행한) 상태의 회전축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힘이며, 적도에서는 Zero가 되고, 남반구에서는 반시계방향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