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여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여진 전문가입니다.
이여진 전문가
하얀어린이집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3년 4월 24일 작성 됨
Q.
아기가 치아가 올라오기 시작하면?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아기가 태어난 후 6개월 정도 지나면 유치가 올라오기 시작합니다. 아래 앞니를 시작으로 2~3세가 되면 모든 유치가 올라옵니다. 유치가 나오기 시작하면 이앓이 증상도 시작됩니다. 맨 잇몸을 뚫고 나오는 치아 때문에 통증과 간지러움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이유 없이 자꾸 울고 평소보다 침을 많이 흘린다면 이앓이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밤에 잠을 자지 못하고 우는 경우가 느는데 잇몸을 살펴보면 살짝 부은 듯 하다면 유치가 서서히 올라오고 있는 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 이것저것 자꾸 씹으려고 하기 시작합니다.이때 치발기나 물에 적신 거즈, 손수건 등으로 잇몸을 아주 약하게 닦아주며 마사지를 해주는 것도 이앓이 증상 때문에 힘들어 하는 아이를 달래는데 도움이 됩니다.
2023년 4월 24일 작성 됨
Q.
아이랑 운동하고 싶은데 추천종목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남자아이들은 운동 꼭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운동이 꼭 필요합니다. 특히 중1~고1사이 애들은 이성보다 감성, 동물적인 부분이 먼저 성장하는 시기라 더 예민하고 과격해집니다. 요즘은 아빠와 킥복싱이나, 무에타이 이런것도 많이 하시고 농구도 아빠와 같이 하기 좋은 운동인것 같습니다. 수영도 키 성장에 좋아서 추천드립니다.
2023년 4월 24일 작성 됨
Q.
고기를 잘 먹지 않는 아이의 식습관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단백질이 풍부한 고기는 아이들의 아주 중요한 철분 공급원 역할을 합니다. 고기처럼 철분 함량이 높은 식품은 대개 백혈구 생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아연도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신체 발달과 면역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되며 건강한 근육을 생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여러 이유로 고기 먹는 것을 어려워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후각이 예민해서 고기 특유의 비릿한 냄새에 거부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고, 씹는 근육이 잘 발달하지 않은 탁에 고기를 씹는게 어려워서 싫어하는 게 이유 일 수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고기 육수를 최대한 활용하거나 아이가 쉽게 씹을 수 있도록 조리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냄새에 예민한 아이라면 고기 냄새를 잡아 줄수 있는 상큼하고 달콤한 향과 맛을 자랑하는 다양한 드레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023년 4월 24일 작성 됨
Q.
8살 남아입니다. 소변을 너무 오래 참고 있다가 급하게 화장실을 가는데 오래 참다보니 가다가 팬티에 좀 싸기도합니다.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소변이 마려운데 화장실에 가지 않고 참는 경우는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기질이 다소 예민하거나 민감한 아이들의 경우 집이 아닌 낯선 환경에서 소변을 보는 것이 불편해서 참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친구들과 놀거나 재밌는 일이 있을 때 순간을 놓치고 싶지 않아서 소변이 마려운데도 참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규칙적으로 화장실 가는 시간을 정해주고 이를 습관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 소변을 보러 화장실에 다녀온 뒤에서 계속 재미나게 놀수 있다는 믿음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가 소변을 보는 동안 편안하게 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소변을 참고 바지나 이불에 실수를 한다해서 화내거나 혼내면 안됩니다. 그러면 소변보는 것에 더 부담을 느끼게 됩니다. 큰 틀을 만들어서 일관성 있게 따라주며 기다리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2023년 4월 24일 작성 됨
Q.
남자아이 공감능력 떨어지는데 무슨 방법 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아이를 키우는 엄마가 가장 잘 알면서도 실천하기 어려워하는 것 중 하나가 아이와 공감하기 입니다. 아이의 공감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우선 엄마가 자녀의 마음을 공감해주고 이해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엄마가 아무리 노력한다고 해도 아이의 감정을 다 알 수 없고, 엄마와 아이 사이의 여러가지 문제는 공감 부족으로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엄마와 아이의 의견대립이 감정싸움으로 치닫으면 엄마의 육아 상황이 심하게 꼬이게 됩니다. 이때 악순환을 선순환으로 바꾸는 것이 바로 아이 감정 읽어주기 육아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읽어 준다는 것은 아이의 마음을 알아주는 일이고 마음대로 안될때 코치해주는 일이며 더 좋은 방법을 실천하도록 안내하는 일입니다. 엄마가 아이의 감정에 공감하는 연습을 계속한다면 아이도 공감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입니다.
81
82
83
84
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