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유아교육. 장애학생교육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아교육. 장애학생교육 전문가입니다.

정소영 전문가
Q.  아이가 엄마와 다투었는데 제가 중재를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부부가 가장 많이 겪는 갈등은 육아, 양육인 것 같습니다. 서로 양육에 대한 관점이 다른 것은 아이에게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부부가 합의해서 한사람의 양육방법을 지지하거나 합의된 양육방법을 실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의뢰하신 사례는 어머니의 관점(아이가 스스로 하도록 생활패턴을 만들게 하고 싶은 마음)이 향후 더 적합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버님께서 안타까워서 아이의 밥을 먹여주고, 씻겨주고... 하시면 어머니 뿐 아니라 아버님까지도 지치고 힘들어 질 수 있습니다. 다만, 아이의 생활습관을 만들어 가는 방법을 좀 바꿔주시면 좋겠습니다. (어머님께도 말씀해주세요)- 아이가 스스로 할일(시간내 밥먹기, 옷입기, 등교준비하기,,, 등)을 하도록 강화를 해주세요. 강화는 칭찬(좋아하는 활동시간을 늘여주거나, 선물을 주거나 등 상을 주는 것입니다)예) 학교가기전 스스로 시간안에 밥먹기 --> 완성하면 칭찬하기(학교후에 유튜브 보는 시간 늘려주기, 장난감 사주기.. 등) 씻고 옷입고 등교하기 --> 완성하면 칭찬하기(위와 같이 보상하기)- 매번 할일을 할때 보상을 하면 나중에는 감당이 안될 수 있으니 스스로 할일을 완성하면 칭찬스티커를 하나씩 주시고 스티커가 일정 갯수(10개, 30개,,,,)가 되면 보상을 점점 늘여가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 아이가 누군가의 강요, 시켜서가 아닌 스스로 하도록 돕는 초기 단계에 강화(보상, 칭찬)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화이팅입니다
Q.  아이의 공격성 때문에 걱정입니다.어린이집에서..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40개월이면 4살(만3세) 정도 된 모양입니다. 부모님께서 걱정하시는 공격성이라는 단어는 적절해 보이지 않습니다.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의미가 강하므로 공격적이라거나 공격성이 있다는 표현보다는 싸움을 흉내내거나 공룡을 무찌르는 것을 흉내내는 행동이 또래친구에게도 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고 표현하시면 좋겠습니다. 이것은 자신이 좋아하는 행동을 따라하는 모델링에 가까운 행동입니다. - 공격성이 있는 문제아동이 아니므로 사회성 측면의 또래관계 에티켓을 알려주시면 잘 알아들을 것 같습니다. 예) 공격적인 행동을 해야하는 상황 설명하기 ㅇㅇ야, ㅇㅇ(친구)는 공룡이 아니지? 그럼 너가 소리지르고 공격하면 겁나고 무섭지 않을까? 너의 행동이 무섭고 겁나면 너랑 친구하려고 하지 않을지도 몰라. 소리지르거나 공격하는 행동은 너에게 또는 친구를 괴롭히는 사람이나 동물에게 하면 좋겠네. 예2) 친구와 장난을 치면서 악당을 무찌르는 행동을 하고 싶다면 친구에게 양해를 먼저 구하도록 설명하기 ㅇㅇ야, 악당무찌르는 놀이를 하고 싶으면 친구들에게 먼저 악당놀이하자고 제안해서 친구들이 좋다고 하면 하면 좋겠다. 만약, 친구들이 악당이 되고 싶지 않아서 싫다고 하면 친구들 존중해줘야해. 친구끼리는 서로 좋고 싫은 것을 인정해주고 존중해주는 것이 필요하단다...** 이런 식으로 하고 싶은 행동을 해도 되는 상황, 친구에게 양해를 하는 상황 등을 설명해주시면 좋겠습니다.
Q.  6세 여아 양치를 잘 안하려고 해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아이들은 양치하는 것을 싫어하는 것 같습니다. 쓴맛이 나는 치약, 거칠하고 따끔한 칫솔모 등을 입안에 넣는 것이 유쾌한 경험은 아닐 것입니다. 그럼에도 어린 아이들의 생활습관 특히, 양치습관은 중요한 생활습관으로 평생 가져가야할 중요한 습관입니다. 양치를 싫어하는 아이에게 이렇게 하시면 좋겠습니다. - 성인들이 사용하는 민트, 죽염 등 치약이 아닌 향기나는 맛있는 치약(딸기치약,,,)을 준비해주세요- 양치는 칫솔모를 박박 문지르는 것이 아닌 겉면의 찌꺼기를 쓸어내는 것으로 부드러운 칫솔모(유아용 모가 따로 있습니다)를 준비해주세요- 유아용 치약과 칫솔을 사용해서 양치해야할 시간이 되면 엄마랑(아빠랑) 양치놀이하자라고 하면서 거울앞에서 같이 해주세요. 위로 아래로 안으로 밖으로 이쪽 저쪽... 운을 만들어 노래부르듯이..- 아이도 자신의 치아를 스스로 닦도록 놀이개념을 만들어 주시고 마지막 행굼 단계에서 혹시 덜 닦인 부분이 있는지 부모님께서 확인해주세요. - (보상, 칭찬) 아이가 양치놀이를 스스로 잘하면 거울 앞에 스티커를 하나씩 붙여주세요. 스티커가 어느 정도 쌓이면(상호 약속을 정해서) 칭찬선물을 주는 것입니다. 좋아하는 비디오 시청시간을 늘여주거나, 장난감을 사주거나.... - 아이가 스스로 생활패턴을 만들어서 하는 것을 칭찬해 주시면 동기유발이 되어 다른 행동도 잘하게 됩니다. 화이팅입니다.
Q.  아기가 딸꾹질을 심하게 하는거 같아요ㅠ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기가 엄마 품에서 모유를 먹는 귀여운 모습이 상상이 됩니다. 딸꾹질은 호흡의 리듬이 깨질 경우에 생기는 공기의 흐름입니다. 아마도 아기가 배고픈 상황에서 신나게 엄마젓을 빨면서 호흡의 리듬이 깨진 것이 아닌가 합니다. 호흡할 틈에도 모유를 한모금 더 빨정도로 엄마젓이 맛있던 것이겠지요. 아이가 모유를 빨때 급하게 서둘러 먹지 않도록 조금씩 아이를 건드려주세요. 볼도 만져주시고 까꿍도 해주시고... 천천히 여유를 가지고 호흡도 하면서 먹는 여유가 있다면 딸꾹질은 발생하지 않을 것입니다. 또다른 이유로는 모유를 먹어서 배가 불러 위가 확장되어 횡경막을 건드렸을 경우에도 딸꾹질이 발생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더불어 딸꾹질은 다른 상황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해보세요. - 아기 얼굴에 입김을 불어주면 아기가 숨을 빠르게 쉴 수 있어서 멈추는데 도움이 됩니다- 아기가 있는 장소를 옮겨줘보세요. 거실에 있다면 방으로, 방에있다면 거실이나 베란다... 장소를 이동해주면 외부 환경으로 신경이 집중하게 되어 멈출수 있습니다. - 아이의 귀에 엄마의 손을 넣어 살짝 자극하거나 멀미약 붙이는 위치(귓볼 뒷부분)를 눌러서 마사지 해주세요. 횡경막 주변을 자극하는 것입니다. - 물을 먹여 주세요. 어른들도 물을 먹어서 호흡의 흐릅을 바꾸는 것고 같은 방법입니다.
Q.  청소년기의 아이 성장에 도움이 되는 식단에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제 경우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조카가 중학생때까지 키가 작고 잘 먹지도 않고.. 매번 부모님이 걱정하실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고등학생때부터 늦은 사춘기가 오면서 뼈가 자라고 키도크고 먹성도 아주 좋습니다체대에 가고 싶어할 정도였습니다 걱정이 많으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억지로 먹이는 것도 힘들고...중학교이면 누구 말듣는 나이도 지났고...기다리시면서 먹으려고 할때 충분한 균형잡힌 식단을 주시기 바랍니다 먹고 싶어할때 충분히 먹도록 해주시고요
3132333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