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의 로봇기술은 어느정도까지 와있나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한국의 로봇 기술은 세계적으로도 주목받는 수준까지 발전했습니다. [한국 로봇 기술의 현황]로봇 밀도 세계 1위 : 국제 로봇 연맹(IFR)에 따르면 한국은 2023년 기준으로 제조업 종사자 1만 명당 1,012대의 로봇을 보유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로봇 밀도를 기록했습니다. 산업용 로봇 강국 : 제조업 분야에서의 자동화 수준이 높으며, 특히 자동차 및 전자 산업에서 로봇 활용이 활발합니다. 서비스 로봇의 성장 : 물류, 의료,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비스 로봇의 개발과 도입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요 로봇 기업]레인보우로보틱스 : KAIST의 휴보(HUBO)개발팀이 창업한 기업으로 휴머노이드 로봇과 협동로봇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두산로보틱스 : 협동로봇 분야에서 국내 1위, 세계 5위의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용 로봇을 생산합니다. [국제 전시회 및 기술 교류]한국은 2024년 하노버 산업전시회에 참가하여 11개 기업이 최신 로봇 기술을 선보이며 국제적인 기술 교류에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시장 전망]한국의 로봇 산업은 2022년 약 11조원 규모에서 연평균 6.86% 성장하여 2027년에는 약 15조원에 이를것으로 예상됩니다.
Q. Ai로봇이 진단, 처방, 수술을 할 때의 문제점을 알려주세요!
AI로봇이 진단 · 처방 수술을 할때 가장 큰 문제는 책임 소재 불명확성과 윤리적 판단 부족입니다. 예컨대 IBM왓슨은 암환장에게 부적절한 치료법을 제안해 논란이있었으며, AI는 환자의 정서 · 가치 ·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지 못해 잘못된 도덕적 판단을 내릴수있습니다. 또한, 알고리즘 편향이나 데이터 오류는 오진의 원인이됩니다. 의학은 과학뿐 아니라 인간 이해가 중요한 분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