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마천루라는 말은 어떻게하다가 만들어진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권 전문가입니다.마천루라는 말은 한자로 풀이하면 문지를 '마', 하늘 '천', 다락(누각) '루'로 되어 있는 단어입니다. 즉 하늘에 닿아있는 누각이라는 뜻인데요, 이는 영어인 skycraper를 그대로 한자식으로 번역하면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초고층 건물을 부를 때 쓰는 말이며, 도시화의 상징으로도 많이 쓰이는 단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Q. 김형석 독립기념과장은 왜 굳이 국회에 와서까지...
안녕하세요.사실 장본인이라고 하기에는 그렇지만,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을 자리에 앉힌 것 부터가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역사의식이 올바른 사람은 아니라서요...독립기념관장이라는 자리 자체가 우리나라의 독립에 대해서 더 깊게 연구하고, 그 역사적인 의의를 고취시켜야 하는 자리인데도 불구하고 편향적인 역사 의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독립에 대해서 그렇게 자랑스러워 하는 사람도 아니구요... 개인적으로는 이전 독립기념관장이었던 한시준 교수님에게서 역사를 배운 사람으로써, 지금의 독립기념관장은 대단히 문제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기자회견을 간 것도 자신이 잘못 생각하고 있다는 의식이 1도 없어서 그 자리에 간 것이라고 생각되구요.
Q. 중세 유럽의 길드 제도가 경제 활동과 사회 질서 유지에 기여한 방식은?
안녕하세요. 이동권 전문가입니다.중세 길드는 도시에서 같은 직업을 가진 사람들끼리 뭉쳐진 일종의 합동조합입니다. 이러한 길드들의 활동으로 인해 도시 질서도 자연스럽게 안정되었는데요, 이는 같은 공동의 목표의 사람들이었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길드 자체가 도제->직인->장인으로 이어지는 훈련 과정을 통해서 기술이 전승되다보니, 자연스럽게 숙련공들이 꾸준하게 배출되었습니다. 이러한 숙련공을 통한 제품 생산은 품질의 보증화를 가져왔고, 또 길드 내부에서 가격을 정하였기 때문에 가격적으로도 안정되어 경제적인 질서를 유지하였습니다.사회적으로도 길드는 도시 내에서 발언권이 있는 단체였기 때문에, 도시 정치에도 직접적으로 참여하여 자치권을 행사하였습니다. 이때 길드끼리 자연스러운 견제가 되면서 공공의 질서를 유지하였고 무질서한 상업 활동을 자체적으로 검열하기도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