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전자의 흐름도 중력의 영향을 받나요?? 받으면 그럼 충전기를 위에서 아래로 꼽으면 전자의 이동이 더 잘되고 더 빠르게 되나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전자의 흐름은 주로 전기장과 전압 차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중력의 영향은 거의 안받습니다.전압이 높거나 전기적 저항이 낮은 쪽이 더 빠르게 흐른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8.11
0
0
멀티탭 여러 개 사용 시 과부하 위험이나 화재 위험은 어떻게 점검하나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소비전력이 높은 제품은 문어발식으로 사용하면 과부하가 생깁니다. 멀티탭을 여러개 사용하실 경우에는 반드시 누전차단기가 달린 멀티탭을 사용하시고, 1콘센트당 1멀티탭은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바랍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7.29
0
0
물에 흐르는 전류는 사람 몸에 흐르는 전류와 비슷한가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인체는 복잡하며 전류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이 다릅니다. 휴대폰 화면에 액체가 인식되는 것은 액체 속 이온들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전기장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랍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7.29
5.0
1명 평가
0
0
형광등 내 수은 질문 있습니다. 답변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형광등 내부에는 수은이 액체 상태로 들어 있는데 작동 시 전극이 가열되면서 수은이 증기 형태로 바뀝니다.작동 중에는 수은이 증기 상태로 존재하는 거고 사용하지 않거나 깨지면 수은이 알갱이처럼 흩어질 수 있습니다.깨진 형광등은 수은 노출 위험이 크니, 조심해서 처리하는 게 중요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7.25
0
0
기계가 과열이 되었을때 전기는 덜 먹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기계의 작동이 멈추면 전력이 줄어듭니다. 다만 느리게 작동을 한다고 해서 전력이 덜 먹는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작동이 떨어져야만 전력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7.24
0
0
전자제품 전원이 간헐적으로 들어와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배선의 접촉이 손상된 것 같습니다. 그게 접촉부인지 배선의 라인에서 문제인지는 한번 체크를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제품의 결선도나 이런 것을 일반인은 모르니 A/S센터 보내는게 정확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7.24
0
0
cob led조명 5m짜리가 있는데 초반 연결부는 뜨겁고 끝으로 갈수록 열이 안나는데..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연결부의 접촉 상태나 배선이 꽉 끼지 않아서 과부하가 일어나는 것 같은데요 연결부위를 더 견고하게 접속해보시고 배선의 상태도 체크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무 이상이 없다면 해당부위의 방열판을 준비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7.23
0
0
무선충전은 어떻게 하다가 알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무선충전은 전자기 유도 원리 기술이 개발되면서 실생활에서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기술인데, 전기를 모르는 사람들은 엄청나게 획기적인 발달로 보일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7.23
0
0
정전기에 의해서 먼지가 붙는건 어떤 원리로 그런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정전기에 의한 먼지 부착은 마찰로 인해 전자가 이동하면서 물체 표면에 음전하 또는 양전하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먼지도 정전기를 띄게 되면 서로 다른 전하를 가진 것끼리 강하게 끌어당기게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7.23
0
0
LFP 배터리 팩 충전과 셀 전압과의 상관관계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충전기를 연결하면 바로 전압이 딱 맞게 올라가는 건 아니고 배터리 내부 저항과 BMS 상태에 따라 서서히 상승하는 게 맞습니다. 충전 시작 후에는 충전기 전압(15.6V)이 배터리 팩이나 셀 전압에 즉시 반영되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올라가게 된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7.23
0
0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