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원패스 시스템은 무엇을 얘기하는 건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원패스 시스템이란 사용자가 지나갈 경우 블루투스를 이용해서 자동문이 열리고 엘리베이터까지 입력해둔 집 호수로 호출되는 시스템입니다.더불어 스마트폰이나, 카드키같은 것을 소지하고 있어야 하며 통행 시간같은 것들도 다 서버에 입력이 되기에 보안에도 좋은 상태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1
0
0
스마트톨링이 어떤원리 인지알고싶네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차량번호를 문자인식 카메라로 촬영해서 자동으로 하이패스 없이도 부과하는 시스템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차장 진입할 때 차단기 앞에 있는 카메라와 비슷한 원리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더 빠르고, 스피드를 쫒아 번호를 인식하고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1
0
0
VPN 기술에 대한 궁금증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가설 사설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는 겁니다.서버를 한단계 더 거친다고 보시면 됩니다.보통 vpn을 쓰지 않으면, 국내 통신사의 서버에서만 활동하지만, 가상으로 해외 서버를 한단계 더 거치므로 국내에서는 보지 못하는 사이트 및 보안체계에 수월하게 되는 것이죠. 검증되지 않은 vpn은 사용하면 오히려 위험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1
5.0
1명 평가
0
0
최근에 뉴스를 봤는데 전기자동차에서 문이 안 열려서 탈출하지 못해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당연히 수동으로도 열 수 있어야 합니다.전기적 힘은 엄청나게 강력합니다. 이미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로 정말급하신 부분이라면 차량 내부의 물건을 이용해 모서리 부분을 타격하여 깨야겠고 물건도 없다면 팔꿈치를 이용하여 모서리를 타격을 아주 강하게 해야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1
0
0
집에 전등 스위치가 갑자기 터졌는데, 이거 어찌 고치나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전기적 지식이 없으시다면 혼자 하시는 작업은 위험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스위치내로 불순물이 들어와서 터졌을 가능성도 있고, 스위치 불량으로 터졌을 수도 있습니다. 주변에 전기업자 분을 불러서 안전하게 교체하시기 바랍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1
0
0
건전지 중에 재활용할 수 있는것과 없는것의 차이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재활용하는 건전지는 주로 차에 쓰는 배터리 입니다. 이 배터리는 배터리 수거함에 놔도 되겠지만, 배터리교체 사업자가 주로 매입을 해서 재사용을 하기도 합니다. 가정집에서 주로 쓰는 배터리는 전부 일반쓰레기에 버리지않고 배터리 보관소에 놓는것이 환경과 벌금을 맞지 않는 길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1
0
0
전기가 정전이 가끔 되는 경우가 있는데 보통 어떤 원인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요새는 정전빈도가 많은편은 아니지만 예전에는 수용가가 많아짐에 따라 전력공급량이 부하를 견디지 못하여 차단되는 경우도 있었으며, 부가적인 요소로는 외부적인 요인으로 전봇대를 들이박는다거나, 동물들이 전기실의 침입으로 사망하면서 기계가 망가지는 일이 많았다고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1
1.0
1명 평가
0
0
전기는 어떤식으로 생산이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화력,수력,원자력등의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성하여 송전소로 보내게 되고 그 후에 변전소-수용가(집) 으로 보내지게 되는 원리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0
0
0
항공산업에서 자율 비행 기술의 발전이 앞으로의 항공운송에 미칠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무인항공기술의 발달로 군사력 및 무역적으로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됩니다. 실제로 사람이 가보기 힘든 곳도 무인으로 비교적 안전에 무리없이 다녀와 볼 수도 있다는 점등이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0
0
0
파도를 이용한 파력발전소가 우리나라에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제주도서 파력발전소 일부가 있으며, 호남 영남쪽에도 일부가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규모는 큰 편도 아니고, 실제로 가보면 생각보다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않다고 합니다. 추후에는 더욱더 연구하여 좋은 신재생에너지가 될 것 같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0
0
0
667
668
669
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