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23개월 아기 머리에 뭐 하는걸 너무 싫어하는데..?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23개월쯤 되면 본인의 의지도 강해지고 자율성이 생기는 시기입니다. 이 나이에 본인의 신체에 타인이 무언가를 하는 것을 싫어하는 것은 당연하며 물론 아이들마다 편차는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말로 설득이 될 나이도 아니기 때문에 집에서 엄마아빠가 잡고 자르시거나 영상을 틀어주면서 자르는 방법 밖에 없다고 보입니다. 아이가 크면 자연스럽게 나아질 부분입니다.
의료상담 /
소아청소년과
24.11.05
0
0
초등학생인데 성조숙증이 생기면 어떤식으로 치료를 하나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성조숙제 치료는 GnRH agonist라는 호르몬 주사약을 정기적으로 투여하여 성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합니다. 대학병원 소아내분비 전문의의 진료를 보시면 됩니다.
의료상담 /
소아청소년과
24.11.05
0
0
편도선염 증상이 심해져서 걱정됩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편도에 염증이 의심됩니다. 집에서 할 수 있는 대단한 치료는 없지만 수분 섭취를 자주 하시는 것이 도움될 수 있으며 약물치료가 도움될 수 있으므로 의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11.02
0
0
진료확인서 재발급 받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진료확인서는 병원에서 재발급 받을 수 있으며 병원 규모에 따라 온라인으로 발급받은 경우도, 직접 가서 의사 처방으로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으니 병원에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11.02
0
0
다래끼도 옆사람에게 전염이 되는 병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다래끼는 눈꺼풀 분비샘에 염증이 생기고 그 부분에 세균 감염 등이 동반될 경우 발생합니다. 세균 감염이기는 하나 이는 유행성 결막염과 같이 전염성이 높은 질환은 아닙니다. 손 위생을 철저히 하고 눈을 부비지 않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11.02
0
0
감기에 좋은 음식 추천 부탁드립니다. 빨리 나으려면 뭘 먹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감기가 의학적으로 도움이 될 정도의 대단은 음식은 없습니다. 감기는 약물 치료를 통해, 온도와 습도 등 적절한 생활환경 변화를 통해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호전됩니다. 대단한 음식보다는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 등이 더 도움이 되겠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11.02
0
0
탈모약 처방받으려면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피부과에 내원하셔서 전문의 진료하 탈모로 진단받으시면 처방받아 복용할 수 있습니다. 대단한 부작용은 없으나 약물에 따라 간독성 또는 신독성이 있을 수 있고 일부 탈모약 성분은 발기부전 등의 부작용이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11.02
0
0
식염수를 마시면 건강에 어떤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생리식염수는 체액과 유사한 성분으로 구성된 수액입니다. 체액과 유사하다고는 하나 이는 정맥 내 주입을 위한 약물로 경구 섭취를 위한 것이 아닙니다. 현재 시중에 이러한 음료(이온음료 등)가 다수 출시되어 있으므로 해당 음료를 섭취하시면 되며 정맥 내 주입이 아닌 이상 대단한 효과는 없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11.02
0
0
어린 자녀가 가래를 잘 뱉지 못하면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가래를 잘 뱉지 못하면 거담제를 통해 가래를 묽혀서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도움을 줄 수는 있습니다. 기저질환이 있는 아이들의 경우 석션을 해주기도 하지만 대개의 건강한 소아는 사실 마땅한 가래 배출 방법이 없기 때문에약을 복용하며 경과를 봅니다.
의료상담 /
소아청소년과
24.11.02
0
0
황달 증상이 있는 것 같은데 자가진단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황달은 빌리루빈이라는 물질이 축적되어 생기는 것으로 간 대사에 문제가 있을 때 생길 수 있습니다. 간염이나 간부전, 담도계에 문제가 생길 때 황달이 생길 수 있고 집에서 자가진단은 불가능합니다. 의료 진료를 통해 혈액검사를 권고드립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10.19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