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미국의 주식 상승이 얼마 못갈거라 생각하시나요?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저도 예측투자를 통해 롱, 숏으로 번갈아 가며 단기 트레이딩을 해보다가 깨달았습니다. 하지만 단기 변동성은 아무도 예측할 수 없지만 결국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는 성장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지수추종 etf만 꾸준히 분할적립식으로 매수하여 좋은 투자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워렌버핏 등 많은 투자전문가들의 조언대로 경제의 장기성장성을 믿고 지수추종 etf에만 투자해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29
0
0
엔화가 계속 오르는데, 1000원 아래로 떨어질 일은 없을까요?
엔화가 몇년간 일본의 낮은 물가수준과 저금리로 인해 계속해서 약세를 보여왔는데 최근 일본의 금리인상과 세계 여러 국가의 금리인하 그리고 일본내 물가가 올라가면서 올해부터는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환율을 예상하기 매우 힘든 분야이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엔화는 1,000원 이상에서 안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4.29
0
0
인도와 파키스탄이 현재 교전을 하고 있는데 확전이 되면 증시의 폭락 우려도 있는 정도인가요?
현재는 인도와 파키스탄 간 분쟁인 지엽적인 국지적 충돌에 머물고 있지만 해당 분쟁이 전면전으로 번진다면 글로벌 금융시장에 하락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모두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에너지 가격 변동과 위험자산 회피 심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29
0
0
미국 주식 시장에서 개별 주식의 주가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품이 많은 이유?
아무래도 미국의 금융 규제가 우리나라 금융 규제보다 완화되어 있는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미국 금융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이고 유동성도 높아 각종 파생상품을 증권사에서 내놓으면 거래대금도 상당히 높습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 시장은 규모가 작고 유동성도 낮아 파생상품을 시장에 내놓아도 거래대금이 매우 낮게 형성될 수가 있기에 증권사들이 적극적으로 파생상품을 내놓지 않고 있는 이유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29
0
0
지금 미국증시는 위험한 상태인가요?
투자 타이밍을 정확히 맞추는 것은 상당히 힘든 일이고 앞으로 주식시장이 폭락할지 폭등할지도 아무도 예상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시장타이밍을 맞추려고 하기 보다는 무리한 레버리지 투자를 하지 않고 voo, qqqm과 같은 수수료가 저렴한 지수추종 etf를 분할적립식으로 매수하여 장기간 투자하면 좋은 성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29
0
0
헬스케어 주식은 투자하기 별로인가요?
미래는 아무도 알 수 없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해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인구고령화가 계속해서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헬스케어 섹터는 장기적으로 유망하다고 생각합니다. 미국과 한국의 대형 헬스케어 기업 위주로 장기투자하면 좋은 성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29
0
0
우리나라 1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 0.2라고 하는데 원인은 무엇때문에 그런가요
경제성장률은 여러가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일률적으로 설명할 수 없지만 최근 우리나라 경제성적이 좋지 않은 이유로는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투자와 소비 수요 감소, 미국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로 투자와 소비심리 위축, 내수부진 등이 주요 원인으로 생각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4.24
0
0
투자를 시작하려할 때 가장 중유한 것은 무엇인가요?
저는 생각보다 투자가 어렵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을 믿고 에스앤피500과 나스닥100 etf, 비트코인만 분할적립식으로 매수하여 단기적인 변동에 신경쓰지 않고 장기투자만 해도 투자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고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것이라 생각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24
4.0
1명 평가
0
0
요즘 안전자산은 금밖에 없는지 궁금합니다. 미국 국채와 달러도 흔들리구요. 부동산도 좀 그런것 같아서 질문 올립니다.
원래 전통적인 안전자산으로 대표적인 것이 금, 달러, 엔화, 미국국채였습니다. 그런데 최근 미국 대통령으로 트럼프라는 변덕스러운 인물이 나타나면서 자본의 탈미국 현상이 나타났고 그래서 달러와 미국채는 안전자산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금과 엔화는 경제적 불확실성 증가에 따라 안전자산으로서 최근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4.24
0
0
요즘 한국 주식 시장이 미국 시장보다 더 나아 보이나요?
개인적으로 장기투자를 좋아하는 입장에서 단기적으로는 한국주식시장보다 미국 주식시장이 더 안정적으로 보일지라도 결국 장기로 가면 더 오르는 것은 미국주식이라고 생각해 저는 미국주식에 더 집중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24
0
0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