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육아
새끼를 낳는 물고기와 알을 낳는 물고기 차이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고기는 알에서 부화라는 난생과 알에서 부화후 어미 배속에서 자라다가 새끼형태로 나오는 난태생이 있습니다.난태생의 경우 어미 뱃속에서 부화후 새끼 형태로 외부로 나오게 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18
0
0
물이 고이면 썩는다는데 호수는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호수의 경우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생물들 이외의 다양한 미생물아 살고 있습니다. 외부로 부터 유입되거나 내부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을 내부의 다양한 생물 및 미생물이 분해하는 과정과 같은 정화과정을 합니다.이와 반대로 작은 웅덩이 같은 경우 이러한 정화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썩게 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토목공학
23.02.18
0
0
하천등의 침수현상은 어떻게 해서 침수가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아마 침식현상을 질문하신 것 같은데요. 침식은 보통 하천이나 강 주변이 빠른 유속에 깍여 발생합니다. 침식 현상이 일어날 경우 주변 지형이 변하며 근처 사람이 거주하는 곳의 경우 건물 붕괴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토목공학
23.02.18
0
0
무중력 상태에서는 신체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중력 작용으로 다리에 몰려야 할 혈액과 체액이 무중력 상태로 인해 상체로 쏠려 얼굴이 붓고 안구가 다소 돌출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 심혈관계 변화, 골밀도 감소 등이 동반 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화학
23.02.18
0
0
지구온난화로 인한 피해가 세계 곳곳에서 속출하고 있는데요. 온난화 지연될수있는 최선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도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지구 온난화의 경우 이산화탄소 등 온난화 기체 발생을 줄이는데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실천, 탄소배출권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산업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포집하는 등의 기술 개발도 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에서는 상용화 하여 사용중에 있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8
0
0
오줌도 정수기를 통해 정수하면 물처럼 마실수 있게되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오줌도 정수과정을 거치면 식수로 이용 할 수 있습니다.실제 우주인들의 경우 소변을 정수 처리하여 식수로 이용합니다. 정수 필터만 있다면 간단하게 가능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화학
23.02.18
0
0
운동을 많이 한사람이 운동을 안한사람보다 일찍죽는다말이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저도 들어본 이야기 입니다. 강의에서 노화의 원인중 하나가 산소와 세포의 반응 차라는데 운동 선수의 경우 일발인에 비해서 산소 소모량이 몇배 많고 그만큼 니신체 노화가 빨리 온다고 하더군요.물론 신체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고 한몫하구요.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물리
23.02.18
0
0
서해가 조수 간만의차가 큰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동해와 서해가 조수 간만의 차가 다른데 그 이유는 해안선 지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서해는 얕고 넓은 갯벌이 있어 물이 들어오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반면 동해는 깊고 가파른 지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조수간만의 차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8
0
0
얼음으로 만든 이글루 안쪽이 따뜻한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에너지 이동을 이해하시면 됩니다.물은 에너지를 얻으면 수증기로 변하고 에너지를 잃으면 얼음으로 변합니다.이글루를 살펴보면 얼음으로 만들어져 있는데요.추운 날씨에 이글루에 물을 뿌리면 물이 가지고 이는 에너지가 공기중으로 날아가고 물은 이글루의 얼음과 함께 얼음에 됩니다.즉 물의 에너지가 주변을 따뜻하게 하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8
0
0
고지대에서 하품을 하거나 침을 삼키면 귀가 멍하던 현상이 없어지는데?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올라가거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내려오면 귀가 먹먹해지는 이유는 주변 압력의 변화에 의해 귀 속 압력과 외부 압력의 차이때문 입니다.귓속 압력이 외부와 차이가 나면 압력차로 인해 귀가 먹먹해지는데 이때 닫혀있던 귓 속 기관은 유스타키오관이 침을 삼킬때 열리면서 외부와 귓 속 압력이 같아지며 귀가 먹먹한 것이 사라집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7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