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피곤할 때 수염이 더 빠르게 자라는 것 같은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피곤하게되면 체력이 떨어졌다는 증거이고, 마찬가지로 피부도 피로에 의해 탄력이 떨어져 피부 속에 묻혀있던 털까지 보이게되어 더욱 수염이 많이 자란 것으로 보이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3.04.10
0
0
자동차가 디이젤과 가솔린이 있는데 여기서 첨가물을 잘못 넣으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혼유사고가 발생할 경우, 가속페달을 밟아도 RPM (엔진회전수)가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출력이 급격히 떨어져 시동이 꺼는 현상이 말생하며, 연료 계통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3.04.09
0
0
눈을 감고있는것 만으로도 자는 것과 같은 효과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닙니다. 수면 시 발생하는 뇌파와 다르기 때문에 실제로 같은 효과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4.09
0
0
씽크홀을 안생기게 할수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씽크홀은 말그대로 땅꺼짐 입니다.이유는 긴 세월 동안 땅속 깊숙이 침투해 들어간 빗물이 암반으로 스며들어 암반지하수를 형성하는데, 이런 복잡한 지하수 네트워크가 융기와 침강, 단층과 습곡, 지진 등 지각변동과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변동 등으로 변하면서 싱크홀이 생겨나는 것이다.최근에 일어나는 씽크홀 중 일부는 무분별한 도시 계획과 그에 따른 하수도 사업, 지하수 변화 등으로 인해 천재지변이 그 원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씽크홀은 막기는 어렵겠지만, 무분별한 도시 계획 이나 하수도 사업 등 지형을 억지로 변경하는 것들은 사전에 충분한 검토가 진행되면 참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 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4.09
0
0
사람이 재채기를할때 눈을감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재채기 할 때 눈이 감기는 건 자윤 신경 반사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 입니다.하지만, 재채기를 한다고 무조건 눈이 감겨야하는 것은 아니며, 만약 자신이 억지로 눈을 계속 뜬 채로 유지할려고 하면 재채기 할 때 눈을 감지 않을 수는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9
0
0
토성의 고리는 파괴된 위성의 잔해물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토성의 고리에 대한 가설은 대표적인 두 가지가 있는데요.하나는 파쇄 이론이라고 불리는 이론으로, 토성의 고리는 파쇄된 위성의 부스러기 라는 의견입니다.또 하는 모행성인 토성의 중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작은 입자들을 분리시키거나 또는 붙는 것을 방해하여 이 것이 고리로 형성되었다는 의견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9
0
0
머리카락 1개는 잘 뽑히지만, 한 뭉치는 안 뽑히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동일한 힘으로 여러 개의 머리카락을 잡아당기면서 힘이 분산되기 때문입니다.예를 들면, 한개의 머리카락을 뽑을 힘을 1 이라고 했을 때, 동일한 힘으로 머리카락 10개를 동시에 잡아당기려고 하면 각 머리카락 별로 10분의 1 이라는 힘만 작용하게 될 것 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4.09
0
0
독사 전갈등은 맹독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전갈은 자신의 독으로부터 면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죽지 않습니다.또한 집게나 몸집이 작은 전갈 일 수 록 맹독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이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전갈들이 자신의 독을 더욱 강화시키는 것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9
0
0
우리는 가려운데가 있거나 모기 물린데에 침을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 물린 곳에는 히스타민 이라는 성분 때문에 가려워집니다. 이 성분은 긁으면 주변 세포에까지 퍼져 더욱 가려운 부위를 넓히는데요.이 모기의 독은 산성을 띕니다. 우리가 모기 물린 부위에 침을 바르면 잠시 자극이 줄어드는 것은 사실이며 그 이유는 우리의 침이 알칼리성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효과가 미미하며, 만약 구강 상태가 안좋다면 침 또한 산성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침을 바르는 것으로 좋지 않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9
0
0
가을이 되면 나뭇잎이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나무가 나뭇잎을 떨어뜨리는 이유가 바로 나무 안의 수분을 보존하기 위해서 입니다.왜 수분을 보존하기 위해 나뭇잎을 떨어뜨리냐? 그 이유는 나뭇잎은 물을 증발시키는 증산작용 때문입니다.겨울철에는 상대적으로 수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만약, 나뭇잎이 계속 나무에 있다면 있다면, 나무의 수분을 계속 증발시킬 것이기 때문에 나무는 자신의 수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나뭇잎을 떨어뜨리는 것입니다. 즉, 생존을 위한 현상이죠.
학문 /
생물·생명
23.04.09
0
0
694
695
696
697
698
699
700
701
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