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무선통신 기술을 최초로 개발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무선통신 최초 개발자는 알려진 대로 마르코니입니다. 하지만 라디오를 통하여 무선통신을 세계최초로 실현하고 특허까지 낸 것은 테슬라로서 '무선통신의 아버지' 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마르코니보다 2년 정도 앞서서 실현하였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4.06
0
0
어떻게 백색 소음이 잠자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빗소리나 바닷가의 파도소리는 백색소음 중에서 자연백색소음 에 해당됩니다.혹, 질문자꼐서도 바닷가에서 파도소리 또는 비오는 날 집에서 빗소리같은 자연의 소리를 들으면 평소보다 잠이 더 잘 오는것을 느껴 보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이 이유는 바로 자연 백색소음을 들을 때, 알파파가 유도되고 또한 이 일정하고 반복적인 소리를 계속해서 들으면 뇌신경의 피로도가 증가해서 뇌신경이 쉬고자하는 욕구를 느껴 수면을 취하게 되는 것 입니다. 하지만 사람이 제각각 다르듯이 본인에게 맞는 백색소음이 존재하며, 동일한 소리가 사람마다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가 바로 그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4.06
0
0
콩으로 메주를 쑤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메주 만드는법 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콩을 충분하게 불립니다. (하루정도를 미지근한물에 담가서 불림)2. 큰솥에넣고 삶습니다. (콩이 완전히 익어서 손으로 집어서 눌렀을때 완전히 깨지어 으스러질 정도가 될때까지 삶아야합니다)3. 콩이 완전히 익었고 물기가 가다지었다 생각되면 절구에 찧은다음 메주를 뭉치면 됩니다. 이때 그냥 손으로 모양을 다듬거나 나무틀을 사용하여 틀속에 메주를 넣고 눌러서 틀대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4.05
0
0
지구에서 숲이 만약에 사라지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상에 숲이 사라진다면 숲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사라지는 것을 나열해 도겠습니다.첫째는 산소의 부족해 질 것 입니다.둘째는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가 지구를 뒤덮게 됩니다. 왜냐면 숲(정글)은 거대한 탄소 창고 역할을 하기 때문 입니다.셋째는 구름이 없어지게 됩니다. 강과 정글에서 내뿜는 엄청난 양의 수증기가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이렇게되면 태양열 차단이 불가하여 태양의 뜨거운 열을 그래도 흡수하여 고온 현상이 발생 할 것입니다.넷째는 또한 태양열의 80% 를 숲에서 삼림의 수분을 증발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는데 이 것이 사라진다면 지구 온난화 가속을 야기할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5
0
0
상대성이론에서 속도가 빠르면 시간이 느리게가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정확히는 특수 상대성 이론이라고 하죠.우리가 체감하는 시간이 흐르는 속도는 똑같습니다. 단, 외부 대비 시간이 느리게 흘러간다는 게 중요합니다.만약 내가 우주선을 타고 아주 빠른 속도로 어딘가를 갔다왔을 때, 나에게는 1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지만 실제로 지구상에서의 시간은 30년이 흘렀을 수 있습니다. 이 때, 나는 1년 밖에 노화가 진행이 안되었고 다른 사람들은 30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하지만 이건 노화 속도 자체가 느려진 게 아니고, 내가 우주선에서 보낸 시간이 1년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1년이라는 세월이 지난 겁니다. 물론 체감한 시간도 30년이 아니라 1년이되는 겁니다. 그래서 상대성이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고, 단지 내 우주선 속도가 아주 빨랐기 때문에 특수상대성이론에 의하면 내가 탄 우주선의 시간보다 우주선 바깥의 시간이 더 빨리 흘러간 것이며, 반대로 말하면 우주선 내부의 시간이 더 느리게 흘러간 게 되겠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4.05
0
0
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 노면에서 노래소리가 들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원리는 간단합니다. 고속도로 노면에 횡 방향으로 홈파기를 통해 자동차 타이어와 노면과의 마찰음을 음악 소리로 바꾼 것입니다.일반적으로 홈을 파게 되면 드르륵드르륵, 덜덜거리는 소음이 들리지만 홈과 홈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면 진동음을 노랫소리로 바꿀 수 있게 됩니다. 이 그루빙의 간격에 따라서는 음의 높이가 달라지고,폭에 따라서는 음의 양이,개수에 따라서는 음의 길이가 각각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노래 소리로 들리게 한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5
0
0
자동차의 타이어는 눈과 비에 미끄러지지 않게 홈이 파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타이어의 홈에 가장 큰 목적은 배수로 역할입니다. 쉽게 말해서 물을 밟았을때 물이 지나가는 물의 길을 만드는 것 입니다.만약 홈이없다면, 물을 밟았을때 물의 표면장력에의해 물이 미끄러져가는 수막현상이 생길 것입니다. 이 수막현상은 고속주행 일 경우 심해지며, 심할경우 핸들을 꺾어도 조향 기능이 제대로 작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굉장히 위험해 집니다.타이어의 홈 모양은 타이어 회사마다 연구개발을 통하여 겉 보기에는 단순한 홈으로 보일지라도 수차례 시험/검증을 통한 굉장히 과학적으로 설계된 형상 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4.05
0
0
중력을 최초로 연구한 사람이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실질적으로 문헌 상 증거 기준으로는 중력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뉴턴이 맞습니다.일화는 잘 아시겠지만, 뉴턴이 어느 날 산책을 하다가 사과나무 밑에서 앉아 있는데 사과가 쿵하고 땅에 떨어지면서 어떤 물체든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보고 지구가 모든 물질을 끌어당기는 힘이 있다고 생각을 하게 되었고, 이 것이 중력 이라는 이론이 되었습니다.
학문 /
물리
23.04.05
0
0
인공위성과 지구에서는 어떻게 통신을 주고 받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무선 주파수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이 무선 주파수의 원리는 통신 및 기술 분야에서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전자파를 우주로 전송하는 기술로 무선통신, 레이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인공 위성 또한 이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파동의 주파수는 파장 및 에너지와 같은 특성을 결정하고 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결정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5
0
0
빗소리는 소음인데 들으면 차분해지고 잠도 잘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이런 것을 백색소음이라고 합니다.조용한 도서관에서 집중이 잘 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시끄러운 카페에서 오히려 집중이 잘되는 사람이 있습니다.그리고 모든 소리는 개인마다 받아들이는 편차가 있어, 아마 질문자 본인에게는 빗소리가 차분해지고 수면유도도 해주는 잘 맞는 소리 중 하나 인 것으로 보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4.05
0
0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