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보통 음식물의 섭취부터 배설까지는 얼마정도 걸리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의 몸에는 입에서 위장을 통과하여 항문까지 이어지는 소화관이 있습니다.이 소화관의 역할은 먹은 것을 소화하고 흡수하여 영양소를 체내에 흡수하고 불필요한 것을 대변으로 배설하는 것입니다. 소화관은 성인의 경우 약 8~9m의 길이가 있고, 신장 160cm의 사람이라면 신장에 비해 약 5~5.5배의 길이가 있습니다. 입으로 섭취한 음식이 체내에서 소화 흡수되어 대변으로 배설되기까지는 약 24시간에서 48시간이 걸립니다.
학문 /
화학
23.04.05
0
0
비가 오면 왜 소리가 더 잘 전달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기체는 원래 밀도가 낮지만 습도가 높아지면 공기 중에 밀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여 소리가 잘 전달 되는 됩니다.또한 소리가 빗방울 입자에 의해 반사되기 때문에 소리가 크게 들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4.05
0
0
도마뱀이 위험할때 꼬리를 짜르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도마뱀의 꼬리 자르기는 잘라낼 부위가 미리 결정된 상태에서 유사시 척수 반사에 의해 행동에 옮겨지는 일종의 신체 반응 과정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5
0
0
물이 엎질러진 바닥이 미끄러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 의해 바닥과 바닥에 닿는 발 간의 마찰계수가 작아져 쉽게 미끄러지게 되는 것 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4.05
0
0
SMPS 출력을 가변저항을 변경해서 전압을 조정하는 원리는 어떻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LED 조명의 디머를 이용하거나, SMPS 미세조정(ajd) 반고정 저항을 조절 하면 5-10% 출력전압 조절 가능 합니다.만약 24v 짜리면 20v 까지 조정 가능 합니다.
학문 /
화학
23.04.05
0
0
모처럼 봄비가 제법 많이 내리고 있는데..바람마져 부니..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고어텍스 재질의 우의를 추천 드립니다.우의를 입게되면, 두 손이 자유로워 지기도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5
0
0
등대 불빛의 원리를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등대의 불빛은 레이저 빔처럼 강하게 한쪽을 향해 멀리 뻗어 나갑니다. 먼 해상에서도 잘 보여야 하기 때문이죠.원리는 바로 오목렌즈입니다. 오목렌즈는 빛을 한 방향으로 일정하게 보내는 성질이 있고 포물면의 초점에서 나온 빛은 포물면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모든 빛이 나가게 되어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5
0
0
비오기 전에 무릎이 아픈건 정말 상관관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남자들 보다 여자들에게 이런 증상을 볼수 있는데 이것은 남자들이 인체 구조 학적으로 관절을 지탱 해주는 근육이 발달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몸이 쑤시고 허리가 아픈것은 특히 관절과 관계가 있는데 무릎, 허리, 팔꿈치 등의 아픔이 다리, 등, 팔 로 전이 되기 때문에 전신이 아픈것 처럼 느껴지게 됩니다. 관절은 바람, 추위, 습도 등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데 비오는 날씨가 이 세가지를 포함하는 날 이기도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5
0
0
비오는날 강수량은 어떻게 측정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우량계'라고 부르는데, 이걸 이용합니다.세종임금 때의 장영실이 발명한 측우기와 원리는 같으며 측정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평평한 땅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고, 돌이나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잔디밭에 설치합니다. 겉은 깡통처럼 생겼지만 속에는 유리병이 들어있고, 위쪽은 깔대기처럼 생겨서 유리병에 빗물을 담도록 되어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4.05
0
0
파동과 입자는 왜 구분되어서 개념이 정의된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입자는 질량을 가지고 있는 물질이고, 파동은 단순히 에너지의 전달입니다. 그 에너지가 무엇이든 간에 말이죠. 진동하면서, 매질을 통해(전자기파 제외) 전달되는 것이라면 파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입자라고 할 때 그것의 부피는 없다는 가정을 하고 이야기를 합니다.
학문 /
물리
23.04.05
0
0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