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는 소주 술을 차갑게 해서 먹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나 술, 등 불순물이 적고 균일한 물질은 얼음으로 될때 핵물질이 필요한데,전체가 균일해서 얼음의 생성이 시작되지 못합니다. 즉, 역학적으로 말한다면 반응에너지가 부족해서 시작을 못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대로 온도가 내려가서 액체상태를 유지하지만 실제로는 얼수 있는 온도보다 훨씬 더 낮은 온도에서 액체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때 외부에서 충격 을 주어 에너지를 공급하면 이 에너지가 접촉면등에 작용해서 술이 얼기 시작하는데 이것은 반응에 필요한 에너지를 외부에서 공급한 것이라고 해석하면 됩니다. 반응이 시작되면 에너지를 발산하므로 한꺼번에 전체가 얼게되는데 그 온도에 해당하는 양만큼이 얼으므로 변할것입니다.즉, 살얼음에는 알콜도 포함되어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4.04
0
0
포도주 등 술을 숙성시켜서 술을 먹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포도주(와인)은 포도 품종과 제조 방법에 따라 그 보존 기간이 다릅니다.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sauvignon)같은 품종으로 만든 와인은 오래 보관할 수 있으나, 가매(garmay)로 만든 와인은 그렇지 못합니다. 와인에따라 짧은 숙성기간으로 과일 본연의 맛을 느끼게 해주는 종류가 있고 오래 묵혀 고급스런 풍미를 주는 와인도 있고요. 하지만 와인에서 제일 중요한 건 하지만 중요한건 숙성과 보관의 차이이며 시판되는 유리병속의 와인을 오래 둔다고 그만큼 숙성되는건 아니고 그저 쉬어버릴 뿐입니다. 우선 보관하시는 와인의 특성을 먼저 알면 장기 보관이 가능한 와인이지 아닌지 판단이 설 것 같습니다.
학문 /
화학
23.04.04
0
0
박테리아의 제한효소가 자신의 염기서열은 자르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대장균이 자신의 DNA를 보호하고 외부 DNA가 침입해왔을 때의 방어를 위해 제한효소가 존재합니다.그렇기 때문에 외부 DNA는 제한효소로 잘라서 활성을 없애야 하고 자신의 DNA는 보호하게 됩니다. 그래서 자신의 DNA의 제한효소 절단부위를 감지하지 못하게 하기위해서 특정 염기서열이 메틸화 되어있다고 합니다. 전문용어로 Methylation이라고 하며 이 Methylation에 의해 제한효소가 DNA를 자르지 못하게 작용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4
0
0
고라니는 우리나라에서 아직 흔하게 찾아볼 수 있지만 왠 멸종위기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호랑이나 표범같은 고라니의 상위포식자가 우리나라에선 고라니보다 먼저 멸종되어서 다른 나라에 비해서 비교적 고라니 멸종이 덜 한 상태이고, 실제로는 생태계파괴로 고라니가 살 수 없는 환경이 되거나 인간의 무분별한 사냥으로 인해 개체수가 줄어 전세계 기준에서는 멸종위기 상태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4
0
0
빠른정도에 따른 비맞는 량의 차이?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같은 거리, 도착시 시간이 다를경우를 전제 하에 두면 당연히 빨리 가는 사람이 늦게 가는사람 보다는 비를 덜 맞게 됩니다.이 것은 비를 맞는 시간이 차이가 나면서 발생하는 건데요. 사람으로 예를 치면 초당 1리터의 비가 떨어지는데 10m를 10초만에 통과한 사람이랑 15초만에 통과한 사람이랑은 비 맞는 양의 차이가 5초 만큼 나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3.04.04
0
0
2차전지의 생산 공정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리튬이온 2차전지의 생산 공정은 크게 전극 공정 ⇒ 조립공정 ⇒ 활성화(충/방전)공정으로 나뉩니다.1) 전극 공정은 전지에 삽입될 양극과 음극을 제조하는 공정.2) 조립 공정은 양극, 분리판, 음극을 여러겹으로 싸서 알루미늄 캔 혹은 파우치에 삽입하고 전해액을 넣은 후 봉합하는 공정.3) 활성화 공정은 봉합과정을 마친 전지에 미세한 전기를 주어 양극과 음극이 전기적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충/방전하는 공정.
학문 /
기계공학
23.04.04
0
0
인체에서 대칭을 이루는 것과 비대칭인 것의 차이는 왜 나타날까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크게 보면 인간은 외형은 대칭, 내부은 비대칭으로 볼 수 있습니다.내장 기관이 몸의 한가운데 늘어서지 않고 비대칭을 이루는 중요한 이유는, 기능적 효율성 때문이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4
0
0
지구상에 존재하는 조류 중에서 시력이 가장 좋은 새는 어떤 새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정답은 타조 입니다. 사람의 가장 좋은 시력은 2.0 정도라고 하는데요. 타조는 사람 시력의 10배 차이가 나는 25.0의 시력을 가지고 있어4KM나 떨어진 사물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나 시력이 좋은 이유는 성인 남자의 주먹 정도의 크기인 수정체 때문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4
0
0
헬리콥터는 어떻게 수직으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헬로콥터는 회전익을 사용하는 항공기로서 특히 주 로터를 통해 양력과 추력을 모두 얻는 항공기입니다.일반적인 비행기는 주익이 고정되어 있어 약간의 움직임만 가능하고 별도의 프로펠러나 엔진의 힘으로 추진되는 반면, 헬기는 엔진의 힘으로 날개 자체를 회전시켜 비행을 한다. 그렇기때문에 수직으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4.04
0
0
마찰력을 나타내는 단위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수치가 높은건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마찰력은 접촉하고 있는 두 물체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해하는 힘을 통틀어 말한다. 좁은 의미로는 고체면 사이의 마찰력을 말하고, 넓은 의미로는 고체와 유체 사이 또는 유체와 유체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해하는 힘인 끌림힘(drag force) 등을 포함하여 말하기도 한다. 표현 단위는 소문자 f 를 표현합니다.
학문 /
물리
23.04.04
0
0
721
722
723
724
725
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