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볏짚을 지붕에 얹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볏짚은 속이 비어 있어 가볍고 통풍이 잘되며 단열재의 역할을 합니다. 즉, 볏짚 안의 공기는 여름에는 외부 열을 막아 시원하고, 겨울에는 집 안의 온기를 빼앗기지 않게 보호함으로써 보온의 효과가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9.10
0
0
데릴사위라는 말은 언제부터 생겨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구려에 서옥제(壻屋制)라고 하는 데릴사위제가 있었다. 서옥제에서는 혼인을 정한 뒤 신부의 집 뒤꼍에 조그만 집을 짓고 거기서 자식을 낳고 장성하면 아내를 데리고 신랑 집으로 돌아가는 제도이다.
학문 /
역사
23.09.10
0
0
승려에게는 역이 부과 안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도첩을 받고 나면 출가한사람이니 세간의 통치체제를 벗어났기 때문에, 군역을 제해주는 그런 효과가 있게 되죠
학문 /
역사
23.09.10
0
0
건곤일척은 무슨 뜻인가요? 매 협상마다 건곤일척의 승부를 걸어 우리를 조마조마하게 했다 여기서 건곤일척은 무슨 의미로 쓰인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건곤(乾坤)은 ‘주역(周易)’에 나오는 건괘(乾卦)와 곤괘(坤卦)를 이르는 것으로 천하 천지를 뜻한다. 건곤일척은 곧 천하를 걸고 한번 던져 승패를 겨룬다는 말이다.
학문 /
역사
23.09.10
0
0
결자해지는 무슨 뜻인가요? 노사양측은 결자해지 차원에서라고 이번 사태를 조속히 해결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결자해지는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결자해지’란 ‘매듭을 묶은 사람이 그 매듭을 풀어야 한다’는 뜻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이다. 이때의 매듭은 단순히 ‘실이나 끈을 묶어 마디를 맺은 자리’라기보다는 ‘어떤 일이나 사건’을 뜻하는 함축적인 의미를 지닌다. 즉 결자해지란 ‘어떤 일이나 사건을 저지른 사람이 그 일이나 사건에 대해 끝까지 책임을 지고 뒷수습까지 마무리한다’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
학문 /
역사
23.09.10
0
0
스위스 은행은 안전한가요?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은행이 스위스 은행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 수많은 은행 중에서도 「스위스」의 은행은 가장 신용있는 은행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것은 「스위스」 은행이 고객의 예금에 대해 절대적인 비밀을 보장해주고 있기 때문인데, 「스위스」 은행의 비밀보장은 「히틀러」도 깨뜨리지 못했으며 미국의 「FBI」도 어쩔 수가 없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9.10
0
0
경세제민은 무슨 뜻인가요? 현재 대한민국의 문제는 사심없이 경세제민하는 리더쉽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여기서 경세제민은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경제는 경세제민의 준말로 '세사(世事)를 잘 다스려 도탄(塗炭)에 빠진 백성(百姓)을 구(求)함'이라는 뜻이다. 경국제세(經國濟世)라고도 한다.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의 살림살이를 보살피는 경세제민은 예부터 치세(治世)의 핵심이었다.
학문 /
철학
23.09.10
0
0
인자무적은 무슨 뜻인가요? 국민들이 국회의원을 백안시하는 이유를 생각해보면 인자무적이란 말이 명확해진다 인자무적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자무적(仁者無敵)이란 속담은 어진 사람이 주변 사람들에게 따뜻한 영향력을 행사하여 적이 없게 된다는 의미를 말합니다.
학문 /
철학
23.09.10
0
0
자오반포은 무슨 뜻인가요? 자오반포는 커녕 늙은 부모를 학대하는 기사를 신문에서 볼 수 있는 요즘이다 여기서 자오반포는 무슨 뜻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까마귀가 다 자란 후에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는 데서 자식이 부모의 은혜를갚음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학문 /
역사
23.09.10
0
0
조선시대 전기와 후기의 사회적 신분제도는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전기에는 양반, 중인, 상민, 천민의 네 신분이 형성되어 있었다. 양반의 사회적 지위와 특권이 강화되면서, 조선 사회는 양반 중심의 사회로 굳어져 가고 있었다. 조선 후기에는 신분 간의 상하 이동이 활발해져 양반의 수가 크게 늘어난 반면에 상민과 노비의 수는 크게 줄어들었다.
학문 /
역사
23.09.10
0
0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