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프랑스 화가 니키 드 생팔은 어떤 작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프랑스 조각가 니키 드 생팔(Niki de Saint Phalle)은 파리에서 출생하고 뉴욕에서 31세까지 생활했습니다. 이후 1951년 파리로 돌아와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한 작가는 보그, 라이프, 엘르 등에서 사진 모델을 할 만큼 매력적인 외모였습니다. 하지만 불행히도 11살 즈음에 아버지에게 성폭행을 당하면서 온전한 성장기를 보내지 못하고 전학과 자퇴를 되풀이하게 되었고, 이후 20대까지 지속적인 신경쇠약으로 병원 치료를 받게 되었습니다. 남성에 대한 혐오와 공포로 내적인 치유와 안정이 절실했던 작가는 미술을 치유의 수단으로 삼아 예술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학문 /
미술
23.08.03
0
0
신라의 골품제는 변동이 안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변하지않는 골품제는 모든 신라인을 대상으로 한 신분제는 아니었습니다. 왕경(王京)에 거주하는 귀족만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지방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골품이 없었으며, 지방의 유력자들은 5두품이나 4두품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습니다. 즉 신라에서는 서울 사람과 지방 사람 사이에 신분적인 차이를 두었던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8.03
0
0
우장춘 박사는 왜 고무신 박사라는 별명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장춘 박사는 평소에 항상 고무신에 잠바를 걸치고 다녀서 `고무신할아버지’, `고무신박사’로 불렸습니다.
학문 /
역사
23.08.03
0
0
고려인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인의 강제이주 이유는 이 지역에서 일본의 간첩활동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 있었다습니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외모가 매우 유사하여 간첩 색출이 어렵고, 일본이 1918년에 소련 땅을 침공한 적이 있으며, 극동 지역의 국가안보가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었다는 점도 작용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8.03
0
0
성균관 입학할 수 있는 자격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균관 입학자격은 생원․진사로 하였습니다. 정원에 미달될 때에는 사학(四學) 생도 중에서 나이가 15세 이상인 자로 『소학(小學)』이나 사서(四書)중 1경을 통하는 자, 공음(功蔭)이 있는 집 적자손으로『소학(小學)』에 능통한 자, 문과나 생원․진사의 향시나 한성시에 급제한 자 등이 보결 입학할 수있는 자격을 얻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03
0
0
1920년대 빈학파의 논리실증주의 철학은 어떤 것을 의미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빈 학파의 실증주의자들은 수리논리의 체계적인 응용을 통해서 도달될 수 있는 ‘엄밀한 과학적’ 태도를 철학에서 요구합니다. 다시 말하면 모든 인식과정을 논리로 환원시킨다는 것입니다.
학문 /
철학
23.08.03
0
0
조선시대 전문적인 외교관 육성기관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역원에서의 외국어 교육방법은 암송(暗誦)・회화(會話)・강독(講讀)・번역(飜譯)・사자(寫字)이다. 암송은 언어 연쇄에 의한 이해와 말하는 능력을 향상하는 것이고, 강독은 토론과 발표능력을 향상하는 수업이었다. 회화는 대화의 역량을 기르는 것으로 ‘우어청(偶語廳)’을 별도로 두어 학습의 효율성을 높였다. 번역은 어휘와 문법뿐만 아니라 음운의 표기까지 가르쳤다.
학문 /
역사
23.08.03
0
0
스페인독감은 왜 스페인 독감이라는 이유가 붙여졌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 캔자스에서 발병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국은 이를 ‘스페인 독감’으로 불렀다. 전시에는 적국에 이로운 상황이 알려지지 않도록 전시검열을 했다. 그러나 스페인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참전국이 아니었기 때문에 언론에서 이 사태가 깊이 있게 다뤄졌다고 한다.
학문 /
역사
23.08.03
0
0
삼국시대 당시 고구려 백제 신라마다 동일한 언어와 글을 사용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 나라 문헌자료에서는 고구려·백제·신라의 언어가 상호 소통될 수 있었던 같은 언어였는지 여부에 대한 언급을 찾아 볼 수 없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이 사실을 삼국의 언어가 같았음을 시사하는 증거로 지적했으며, 같은 언어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언어에 대하여 특별히 언급할 필요가 없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8.03
0
0
과거 정월대보름에 하는 줄다리기는 남성, 여성 편을 나눠 경기를 했다고 하던데 왜 신체적인 차이가 있는 남녀가 다른팀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줄다리기의 편가르기는 육지 지방에서는 대개 동부와 서부로 나누며, 섬지방에서는 상촌·하촌으로 나누어 상촌은 남자편, 하촌은 여자편이 된다.그리고 장가 안 간 총각은 여자편이 된다.남녀가 갈리어 하는 이유는 결과적으로 암줄이 이겨야 그해에 풍년이 든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있다.
학문 /
역사
23.08.03
0
0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