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명나라의 방효유는 어떤 인물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 명나라 초기의 유학자로 절강성 영해현 대가하진 계상방촌(현 닝보시의 일부) 출신으로 자는 희직(希直) 또는 희고(希古) 이고 호는 손지(遜志)이며,중국 내에서는 기개와 절개, 충심이 대단한 선비라고 칭찬하거나 혹은 자신의 고집으로 인해 친족과 지인들이 무참히 처형되게 한 고지식한 선비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0
0
0
불교에서 승려들이 머리를 미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불교에서 삭발을 하는 이유는그동안 속세에서의 인연을 끊어버리는의지를 뜻하기도 하며, 부처님께귀의하여 참된 수행을 하기 위함입니다.
학문 /
철학
23.07.09
0
0
청은 양무운동을 왜 시작했고 왜 실패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무운동(洋務運動)은 19세기 중후반에 청나라에서 일어난 근대화(자강) 운동으로, 아편전쟁에서 영국에게 패배하고, 태평천국의 난의 여파로 외적/내적으로 군벌과 내전 상태에 치닫게 된 자국을 근대화시켜, 열강이 되는게 주 목적이었습니다. 양무운동은 1860년 제2차 아편전쟁의 패배 이후 열강의 요구로 외교 아문이 성립되는 시점을 시작으로 보고, 1895년 일본제국과 청일전쟁 패배로인해 끝이났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9
0
0
철학은 신학의 시녀라는 말의 뜻과 왜 이런 말이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세에는 모든 것이 신학 중심으로 되었기 때문에, 철학은 신학보다 하등하다는 의미라 해석하고 있으며,최소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맥락에선, 이 문장은 신학 하려면 철학적 소양을 갖추라는 말일 뿐, 철학의 독립성을 부정한 것도 아니며, 신학과 철학 사이에 서열 관계를 설정한 것도 아닙니다.
학문 /
철학
23.07.09
0
0
화타는 어떤 인물이었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화타는 중국 후한 말의 의사로, ‘선생’이라는 뜻의 존칭을 붙여 부르던 이름으로알려져 있습니다.이름은 부라고도 하며, 자는 원화이며 예주 패국 초현 사람입니다. 동시대의 동봉과 "상한론"의 저자인 장기과 더불어 건안삼신의라고 불렸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9
0
0
우크라이나를 유럽의 빵바구니라 부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크라이나는 해마다 월 평균 600만t의 곡물을 수출해 왔습니다. 전 세계 4위에 달하는 곡물 수출국으로 '유럽의 빵바구니'라고 불렸습니다. 또 전 세계 밀의 10% 이상을 생산했는데 이는 인구 4억명분에 해당합니다.
학문 /
역사
23.07.09
0
0
인도는 시신을 갠지스강에서 직접 화장하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 사람들은 갠지스강물에 몸을 담금으로써 모든 죄와 오염, 불길한 징조, 질병 등을 정화한다고 믿었습니다.갠지스강에서의 장례는 해탈이라고여겼기때문입니다.
학문 /
미술
23.07.09
0
0
이탈리아 단테의 신곡은 어떤 내용을 다룬 작품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단테의 신곡은 인간이 죽음으로써겪게되는 지옥에서 시작하여 연옥을 거쳐 천국에 올라 마침내 하느님의 품안에 안기는 하느님의 세계를기록한 책입니다.
학문 /
음악
23.07.09
0
0
중세 유럽의 흑사병은 얼마나 많은 사람을 생명을 앗아간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흑사병은 숙주 동물인 쥐에 기생하는 벼룩에 의해 페스트균(Yersinia pestis)이 전파돼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1300년대 중반 중세 유럽에서 유행해 7500만~2억 명인구생명을 죽음으로 몰은 바이러스 입니다.출처:동아사이언스
학문 /
역사
23.07.09
0
0
고려시대 때 강조의 정변을 일으킨 강조의 대의명분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강조의 정변이 비록 왕의 폐립을 자행하고 왕을 살해하여 왕실의 기강을 바로잡고 왕권의 재정립을 기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하겠습니다. 또, 이 정변은 거란의 제2차 침입을 가져오게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학문 /
철학
23.07.09
0
0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