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명나라 시절 백련교도의 난의 백련교는 어떠한 종교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백련교는 중국에서 가장 '사문(邪門)'인 종교라고 말할 수 있는데, 교파로서 백련교는 남송(南宋)때 시작됩니다. 당시 사회분위기는 비교적 개방적으로 소주(蘇州) 곤산(昆山)의 모자원(茅子元)이라는 승려가 있었는데, 당시 유행하던 정토결사(淨土結社)의 기초 위에 하나의 작은 백련참당(白蓮懺堂)을 만듭니다. 이어서 교의가 간단하여 이해하기 쉽고, 신속하게 하층민의 환영을 받고 점점 새로운 교파로 성장했습니다. 이 종파가 백련종(白蓮宗)이라 불리는 바로 백련교입니다.
학문 /
역사
23.07.08
0
0
카톨릭에 성체조배라는 용어가 있는데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톨릭에서 말하는 성체조배란?말뜻 그대로 성스러운 존재 앞에서경건한 마음으로 경의를 표하는것으로 조용한 묵상가운데 하느님에대한 믿음을 확인하는 시간입니다.
학문 /
역사
23.07.08
0
0
TV드라마로 만든 최초의 작품은 무었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 최초의 방송국은 1956년 5월에 개국한 상업방송 HLKZ-TV 입니다. 그 해 이 방송사에서 7월에 우리나라 최초의 드라마라고 할 수 있는 30분짜리 생방송으로 시작한 <천국의 문>이 첫 방송작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8
0
0
이순신장군이야기는 어떻게 전해져내려왔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순신 장군에 대한 기록은조선 왕조가 태조부터 철종에 이르기까지 25대, 472년 간의 역사를 편찬한 조선왕조실록과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에 고스란히 남아 기록되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8
0
0
역사상 가장 오래전에 살았던 우리나라 새는 어떤 새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제 학계에 보고에 의하면 '경남 사천시 서포면 비토섬' 내 해안가에서 발견된 발자국 화석으로 약 1억1천만년 전에 살았던 조류가 남긴 흔적이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7.07
0
0
칠월칠석에 견우아 직녀의 만남이야기의 유래를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삼국시대에 이 설화와 풍속이 있었지만, 기록으로는 고려 공민왕이 왕후와 더불어 칠석날 궁궐에서 견우성과 직녀성에 제사하고 백관들에게 녹을 주었다고 하였습니다.조선조에 와서는 궁중에서 잔치를 베풀고 성균관 유생들에게 절일제(節日製)의 과거를 실시한 기록이 있으며, 궁중 밖의 민간에서도 칠석의 풍속이 활발히 전개되었던 모습은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등의 문헌에서찾아볼수가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7
0
0
헝가리나라는 어느 민족이 세운 나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금의 나라 헝가리의 직접 조상은 멀리 동방에서 출발하여 AD 895년 카르파티아 분지(판노니아 평원)에 영구히 정착해서 헝가리 왕국을 세운 고조선·부여 후예 ‘마자르’(Magyars)족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7
0
0
마녀사냥이란 말의 어원이 중세시대 서양에서 왔다고 하던데 어떤 일들과 연관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녀사냥의 원인에 대한 연구는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되었던 것으로, 지배 계층과 피지배 계층의 갈등, 자본주의 발흥 및 근대 국가의 탄생과 권력투쟁, 여성에 대한 혐오 등을 마녀사냥 발생의 원인으로서 보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7
0
0
중국 당나라 수도 장안을 세계적인 도시라고 하는데 그 당시 서양에서도 장안의 존재를 알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나라 수도였던 장안은 중국에서가장 많은 왕조가 도읍지로 정한곳이며, 그 기간도 길어 13개 왕조가도읍으로 삼은 유네스코가 지정한아테네, 로마, 카이로 등과 함께세계 4대 문명도시에 속합니다.
학문 /
역사
23.07.07
0
0
위인전에 실리는 인물들의 조건은 어떻게 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위인이란, 살아가면서 행한 그사람의 선한 행적이 후세에 모범과귀감이 되어 오래도록 남는 사람을말합니다.
학문 /
역사
23.07.07
0
0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