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불교가 들어올때는 사찰이 사람과 가까이 있었다는데 산속으로 들어간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산지형 사찰이 가장 보편적이다. 이유는 여러 가지를 들 수 있는데, 우선 탈속주의와 풍수지리설의 영향 때문이다. 앞서 밝혔듯 산악신앙이 유행하기에 알맞은 지리적 조건이다. 국토의 시원지를 백두산으로 삼았고 조상들은 산신이 나라를 지켜준다는 믿음이 강했다. 곤란에 처하거나 가뭄이 들면 산신에게 운명을 맡겼다. 금강산의 봉우리들이 불보살의 이름으로 장식된 사실에서도 산악신앙의 강렬함을 엿볼 수 있다.세속권력과의 거리를 두기 위한 방편이기도 했다. 신라 말 선승의 결집을 이룬 구산선문은 말 그대로 산문(山門)이다. 수도였던 경주와 일정하게 떨어져 제도권의 귀족적 불교에 저항했다. 수행과 청빈으로 일관한 삶으로 민중의 호평을 받았다.-출처:불교신문
학문 /
역사
23.05.27
5.0
1명 평가
0
0
한국사에서 수신전이라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전법 체제에서의 수신전은 고려 전시과(田柴科)에서의 구분전(口分田) 계열을 이어받은 것인데, 휼양전(恤養田)과 함께 이는 관인층에 대한 우대의 뜻으로 지급된 것이다.즉 과전법이 관인층의 관직 자체는 지킬 수 없을지라도 관인층으로서의 신분은 유지할 수 있도록 물질적으로 보장해 준 것이며, 계급지배가 유지되도록 운용되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그런데 과전법은 관인 수조지로서의 과전을 경기도 내에 한해 절급(折給 : 한몫에 주지 않고 몇 번에 나누어 줌.)한다는 원칙 아래 운용되었으므로 새로운 관인의 계속적인 증가는 과전으로 지급될 토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해지는 결과를 낳았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5.27
0
0
자코뱅파는 어떤 인물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클뢰브 데 자코뱅이라는 별칭으로 유명한 자유와 평등의 벗, 자코뱅회은 프랑스 혁명 시기에 생긴 정파 중 하나이다. 자코뱅이라는 이름은 파리 자코뱅 수도원을 본거지로 한 데서 유래되었다. 1792년 이전의 정식 명칭은 헌법 친우회이었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27
0
0
사찰에서는 국수를 승소라고 부르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불가에서는 국수를 ‘승소’라 한다. 힘든 수행을 하는 절에서의 별미 중 하나로 스님을 웃게 할 정도로 맛있다는 뜻이다. -출처:금강신문
학문 /
역사
23.05.27
0
0
일본은 백제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일본의 전파된 백제 문화의 영향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백제의 우수한 문화는 한성시대 초부터 웅진·사비 시대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일본에 전파되었는데, 한학·불교·천문·지리·의학·음양·음악·공예와 여러 가지 산업기술이 고대 일본 문화에 씨를 뿌렸으며 점차 꽃을 피우게 된 것이다.
학문 /
역사
23.05.27
0
0
고전음악과 현대음악을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전 음악은 대체로 오케스트라나 합창단 등의 대규모 연주단체가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작품들이 대표적입니다. 주로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작곡된 음악입니다. 반면에 현대 음악은 전자음악이나 실내악, 재즈 음악 등 다양한 형태의 음악을 포괄적으로 지칭합니다.-출처:베럴미
학문 /
음악
23.05.27
0
0
과거 전쟁에서 독가스가 처음 사용된 시기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류의 화학무기 사용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BC 400년경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발견되는데, 당시 스파르타군이 유황을 연소시켜 발생한 유독가스를 아테네 공격에 이용하였다고 한다.https://www.mofa.go.kr › view[편람] 화학무기 금지협약(CWC) 및 화학무기금지기구(OPCW) 관련 주요 이슈
학문 /
역사
23.05.27
0
0
아이티의 독립혁명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791년 8월 22일 아이티 혁명이 발발했다. 한편 일부 흑인 노예들은 마름이나 집사 일을 하면서 크레올 엘리트 층을 이루기도 했는데, 아이티 혁명의 지도자인 투생 루베르튀르가 이 계층에 속했다. 투생 루베르튀르는 독학으로 전술을 공부했지만 전투 지휘에 천부적인 재능을 지닌 뛰어난 지휘관이었고 혁명의 지도자가 되어 반란을 이끌었다. 투생이 이끈 혁명 세력은 프랑스군을 격파하고, 생도맹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노예들을 해방시켰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27
0
0
무신정권기에 최씨 4대가 어떻게 60년을 할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무신정권은 1170년부터 1270년 사이에 무신 세력에 의해 주도된 고려 왕조의 정권이다. 무신 세력은 삼별초 등 사병집단으로 정권을 유지하고, 정방·교정별감 등의 기구를 설치하여 전횡을 일삼고 독재정치를 행하였다. 무신정권기에 불법적 토지 강점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면서 토지제도가 붕괴되고 농민과 천민 등 하부계층의 저항을 불러일으켜 민란 발생과 더불어 신분질서의 동요가 일어났다. 무신정권 집권 후반부 40년은 강화도로 천도하여 대몽항쟁을 벌이던 시기이다. 팔만대장경 제조 등으로 강렬한 민족주체의식이 발휘되었고 이는 후대의 배원정책으로 이어졌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5.27
0
0
신라골품제에서 6두품들에게는 어떠한 제약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6두품 출신은 官界 진출에 크나큰 제약을 받았다. 즉 6두품은 17등 관등 가운데서 제6관등인 阿湌까지만 승진이 허용되었을 뿐이다. 그러므로 제5관등인 大阿湌 이상으로 제한되어 있는 중앙의 제1급 관청의 장관직에는 오를 수 없었다. 따라서 6두품은 각 부의 차관직인 시랑 혹은 경에 오르는 것이 고작이었다. 또한 군직에 있어서도 6停·9誓幢을 비롯한 주요 군부대의 부지휘관인 대감직에 한정되었다. 군태수나 현령직은 6두품에게도 개방되었으나, 상급기관인 州의 장관 역시 진골이 독점했으므로 6두품은 차관직인 州助(일명 州輔·別駕)에 그쳤다. 실제로 6두품이 오를 수 있는 최고의 관직은 중앙의 執事侍郞직과 지방의 浿江鎭典 都護직이었다. 비록 조정은 소위 重位制를 설치하여 6두품 출신의 아찬 관등 소지자가 重阿湌에서 4重阿湌에 이르기까지 승진할 수 있도록 배려하긴 했다. 하지만 이같은 특진제도를 갖고서도 아찬의 범주를 벗어날 수 없었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5.27
0
0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