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제임스 1세의 업적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임스 1세는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왕국의 왕이다. 휘는 제임스 찰스 스튜어트. 모친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 1세의 뒤를 이어 스코틀랜드의 군주 제임스 6세로 즉위하였으며 후에 잉글랜드 여왕 엘리자베스 1세의 종손 자격으로 그녀의 뒤를 이어 잉글랜드왕 제임스 1세로 즉위하였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26
0
0
루트 사막(Lut Desert)의 최고기온은 몇 도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란의 루트 사막은 2005년 159℉(70.6℃)를 기록했다. 이곳은 너무 더워서 박테리아조차 살 수 없다. 이곳에 생우유를 뚜껑 없는 병에 담아서 놔뒀지만 상하지 않았다는 실험 결과도 나왔다.-출처:영남일보
학문 /
음악
23.05.26
0
0
을지문덕 장군의 업적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양왕 대의 고구려-수 전쟁 당시 고구려를 지켜낸 불세출의 명장. 많은 기록이 남아있지는 않으나 수나라와 고구려가 국가의 존망을 걸고 맞붙었던 2차 고구려-수 전쟁에서 고구려군을 지휘하여 살수대첩에서 역사에 길이 남을 승리를 거두는 등 대승리를 거두어 고구려를 구해낸 전쟁 영웅이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26
0
0
조선시대 신하들은 월급제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관원들은 오늘날로 치면 공무원이다. 공무원이니 당연히 국가로부터 월급을 받았다. 그럼 그 월급이 어느 정도였을까? 조선 후기 녹봉체계를 보면, 정1품 당상관(오늘날의 국무총리급)의 월급이 쌀 38두, 콩 20두였다. 즉, 국무총리가 쌀 38말과 콩 20말을 월급으로 받았다는 소리다. 하위직, 그러니까 가장 말단이라 할 수 있는 정9품의 경우는 쌀 10두, 콩 5두를 받았다.-출처:네이버 블로그
학문 /
역사
23.05.26
0
0
조선시대 가배가 오늘날 커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배’, ‘양탕국’은 개화기에 서양으로부터 커피가 전해졌을 때 우리나라 사람들이 커피를 부르는 이름이었다.1884년 갑신정변이 일어났을 때다. 급진개화파의 습격으로 부상을 당했던 민영환을 알렌이 치료했다. 그는 그 공로를 인정받아서 3년간 왕실의 어의로 지냈다.
학문 /
역사
23.05.26
0
0
옛날 조선시대에도 금주령이라는게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법령은 주로 가뭄이 심한 봄·여름에 반포되어 추수가 끝나는 가을에 해제되는 것이 보통이었으나 때로는 10∼12월에도 시행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 보통은 중앙정부에서 결정되어 발표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지방관찰사들의 건의로 시행되기도 하였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26
0
0
모래로 만든 예술품은 뭐라고부르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샌드아트-말 그대로 모래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다. 기본적으로는 완성샷보단 완성해가는 것을 동영상으로 찍는 편이다. 인터넷을 확인하면 강좌도 있으니 참고바람.라이트박스를 켜고 그 위에 모래를 올려 손가락으로 그림을 그린다. 때론 모래가 없어서 하고싶을때 하지 못한다면 커피가루로 해도 된다. 단, 모래와 커피 가루는 물기가 없어야 한다. 물기가 있으면 모래 양이 잘 조절이 안될 뿐더러, 물에 의해 흘러가서 샌드 아트를 망칠 수 있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미술
23.05.26
0
0
역대 조선 통감과 조선 총독이 누구고 그들의 통치 경향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치적 위상이 높은 만큼 조선 총독을 역임하고 일본 본토의 총리로 올라가는 케이스도 많았다. 조선총독부의 전신인 한국통감부의 통감을 지낸 이토 히로부미는 아예 초대 총리대신을 포함하여 총리직을 세 번이나 역임하고 부임했다. 물론 이토 히로부미는 총리직을 설령 안 했더라도 이미 당대에 일본 정계의 거물로 인정받았던 인물이다. 아베 노부유키 같은 경우에도 짧게라도 총리직에 있다가 부임했고, 데라우치 마사타케, 사이토 마코토, 고이소 구니아키는 역으로 총독을 하다가 나중에 총리대신으로 영전했다. 물론 우가키 가즈시게는 덴노에게 지명은 받았으나 육군의 반발로 취임하지 못하였고, 하세가와 요시미치는 3.1 만세 운동의 영향[5]으로, 야마나시 한조는 부정부패와 타이완에서의 의거로 정계 은퇴 등으로 마무리되는 케이스도 있긴 했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26
0
0
태종이 원경왕후의 동생들인 민씨 형제들을 의심한 연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종 초부터 궁녀의 상종문제로 태종과 불화를 일으키기 시작하였다. 태종과의 불화는 성품의 강한(强悍: 마음이나 성질이 굳세고 사나움)과 빈어(嬪御: 빈들이 왕을 모심) 문제로 인한 갈등에 그치지 않았다. 1407년(태종 7) 7월에 발발한 민무구(閔無咎) 형제의 옥사주1를 계기로 더욱 심각해졌다. 민무구 형제는 이미 1402년(태종 2)에 왕이 창종(瘡腫: 헌데가 생겨 부은 것)으로 심한 고통을 받고 있을 때, 시녀를 끼고 왕의 병세를 염탐하며 은근히 집권 기회를 노렸다는 의심을 받았다. 정비가 이에 관여한 것 같지는 않으며, 이것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 그러나 민무구 형제가 불충죄로 몰리는 한 원인이 된 것은 틀림없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5.26
0
0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정왕후는 경복궁 중건을 명하면서 총책임을 흥선대원군에게 맡김으로써 흥선대원군에게 권력을 장악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었다. 흥선대원군은 고종 연간에 한 번도 공식적인 직함을 가지고 전면에 드러나 활동하지는 않았지만 막후에서 상당한 실력을 행사하였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5.26
0
0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