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직지심경이 세계 최고의 금속 활자본이라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372년(공민왕 21)에 백운화상 경한이 임제종 18대 법손 석옥청공(石屋淸珙) 화상(和尙)으로부터 받아 온 《불조직지심체요절》을 증보하여 상·하 2권으로 엮은 것이다. 백운화상이 입적하고 3년 뒤인 1377년(우왕 3년)에 청주 흥덕사(興德寺)에서 금속활자로 찍어 낸 것이 초인본(初印本)이다. 이는 현존하는 금속활자로 인쇄된 책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금속활자본은 현재 하권만이 전해지고,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고간본(古刊本)으로는 1378년 백운화상이 입적한 여주 취암사(鷲巖寺)에서 간행한 목판본이 있다. 목판본은 1992년 4월 20일 보물 제1132호로 지정되었고,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상하권 1책이 각각 소장되어 있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미술
23.05.23
0
0
조선시대 훈구파와 사림파는 왜 갈등을 겪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림은 중앙 정계에서 점차 세력을 넓혀나갔다. 이들은 성리학의 이념에 입각하여사회 개혁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개혁은 기성 정치 세력인 훈구파의 반발을 샀으며, 현실 사회에 맞지 않아 실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이 때문에 사림의 개혁은 일반 민중으로부터도 지지를 충분히받지 못했다.사림의 등장과 확대는 기존의 정치 세력인훈구파와 갈등을 불러 일으켰다. 이러한 갈등은 ‘사화’라고 불리는 정치적 비극으로 발전하였다. 연산군 때부터 명종 때까지 네 차례나 커다란 사화4)가 일어났다.이 과정에서 대체로 피해를 본 것은 사림파로서, 조정의 주요 관직에 진출한 많은 사림들이 죽거나 귀양을 가는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정치권에서 축출당한 사림파는 다시 힘을 키워 중앙으로 진출하였다. 향촌 사회에 뿌리를 두고 있던 사림 세력은 정치 세력을 꾸준히 넓힌 반면, 훈구 세력의 영향력은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점차 사림파가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었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5.23
0
0
세계사적으로 모범 의회라고 하는건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범의회는 1295년 에드워드 1세가 소집한 영국의 비상설 의회이다. 귀족·고위 성직자 외에 하급 성직자의 대표, 각주에서 기사 2명, 각도시에서 시민 2명씩이 선발되어 참가했는데 영국 의회 제도의 모델이라고 부른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23
0
0
1968년 통혁당 사건은 어떤 내용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통일혁명당 사건은 박정희 정부 시절인 1968년 8월 24일 중앙정보부가 발표한 지하당조직사건이다. 158명이 검거되어 50명의 구속자를 낸 1960년대 최대의 공안 사건으로 김종태를 비롯한 주범들은 사형을 언도받았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23
0
0
모든 사찰에 대웅전이 있는것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웅전은 사찰에서 석가모니불을 봉안하는 불교건축물이다. 격을 높일 경우 대웅보전이라고도 하며 항상 사찰의 중심에 위치하는데 ‘대웅’은 석가모니의 별호이다. 대웅전에는 대체로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협시보살로 좌우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두는데, 대웅보전이라 할 때는 좌우에 아미타불과 약사여래를 모시기도 하고 삼신불·삼세불을 봉안하기도 한다. 중심에 불상을 안치하는 불단을 수미단이라 하며, 불단 주변은 화문(花文)과 비천으로 화려하게 장식하고 주불 위에는 닫집을 두며, 석가모니불 뒤에는 영산회상도 등 많은 불화들이 봉안된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5.23
0
0
1960년대 삼성의 사카린 밀수 사건은 원인은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66년 한국비료공업주식회사가 정부 정치자금과 관련해 건설자재로 가장하여 사카린을 대량 밀수입한 사건.삼성그룹 계열사인 한국비료공업주식회사는 미쯔이 물산에서 상업차관을 도입하여 울산에 요소비료공장 건설을 계획했다. 당시 이 사건에 깊숙이 관여한 이병철의 아들 이맹희의 회고에 의하면, 공장건설은 정권과의 합의사항이었다. 즉 1967년 대선준비에 대한 강박관념과 농촌인구가 절대적인 상황에서 비료공장 건설은 훌륭한 홍보용 업적으로 내세울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또한 이 조건을 수락하는 대신에 이병철은 국민, 정부, 언론이 비료공장 건설을 지원할 것, 정부가 책임지고 10억 원의 은행 융자를 해줄 것, 공장건설에 필요한 인허가 등을 신속히 해줄 것, 공장건설과 관련하여 한 푼의 정치자금도 제공하지 않겠다는 조건을 내세웠다는 것이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5.23
0
0
1967년도 동백림 사건은 어떤 것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백림 사건 또는 동베를린 사건은 1967년 7월 8일, 중앙정보부에서 발표한 간첩단 사건이다. 당시 중앙정보부는 대한민국에서 독일과 프랑스로 건너간, 194명에 이르는 유학생과 교민 등이 동베를린의 북한 대사관과 평양을 드나들고 간첩교육을 받으며 대남적화활동을 하였다고 주장하였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23
0
0
유스티니아누스 황제는 어떤 사람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로마 제국 제61대 황제, 동로마 제국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제2대 황제.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마케도니아 빈농 가문 출신으로, 군인 출신 황제이자 자신의 외숙부인 유스티누스 1세를 돕다 공동 황제로 임명되었고, 이후 그의 양자가 되어 최종적으로는 단독 황제로 즉위했다.대표적인 업적으로는 로마법 대전 편찬, 사산 왕조와의 화평, 니카의 반란 진압을 통한 전제군주제 확립, 벨리사리우스와 나르세스 등의 명장 등용 및 고토 수복, 하기아 소피아 재건 등이 있다. 이러한 업적들과 교회에 대한 헌신 등이 높이 평가 받아 정교회로부터 시성되어 '성(聖) 유스티니아누스' 로도 불리며, 대제(Megas)[2] 칭호도 받았기 때문에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로도 불린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23
0
0
토머스 존 왓슨은 어떤 인물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토머스 존 왓슨 주니어는 미국의 사업가, 정치인, 공군 비행기 조종사, 박애주의자이다. IBM 코퍼레이션의 설립자 토머스 J. 왓슨의 아들이다. 자신의 생애 동안 수많은 영예를 얻었는데, 여기에는 1964년 린든 B. 존슨이 수여한 대통령 자유 훈장이 포함된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23
0
0
1980년대 이란 이라크에 전쟁의 원인은 무엇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라크가 이란을 침공한 더 근본적이고 현실적인 이유는 정치적 측면의 갈등에 있었는데, 이란 이라크간의 정치적 갈등은 이란에서 팔레비 왕정체제가 붕괴되고 호메이니 혁명정권이 - 수립되면서 심화되기 시작하였다.
학문 /
역사
23.05.23
0
0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