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선물거래라는 것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가지고 있지않은 남의 주식, 코인을 현시세에 빌려와서미래가치에 가격에 다시 사서 되갚으면서 남는 시세차익으로 수익을 버는 것을 말합니다.예를 들면 10만원 짜리 100주를 1,000만원치를 빌려왔고미래에 5만원으로 바뀌면 100주를 500만에 다시사서 갚으면 되는거죠이때 500만원의 시세차익이 생기니까 제가 갖는 것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1.08
0
0
공매도라는 것은 가격이 떨어지면 수익을 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현 시세에 남의 주식을 빌려와서 미래가치에 떨어진가격으로 다시 사서 되갚을 때 나오는 시세차익으로 수익을 버는 것을 말합니다.현 시세 50,000원 짜리 100주를 빌렸다. 5,000,000이죠?나중에 시세가 떨어져서 25,000원이라면? 2,500,000에 만료시점에서 다시사서 갚으면?2,500,000원 이득인 것이죠.그러나기간만료도 있어서 만료시점에서 떨어질지 아닐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사실상 정말 고수나 세력이 아닌 이상 사실상 홀짝 도박에 불과하고자칫 잘 못하면 큰 돈을 잃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서초보시라면 절대 하지 않으시길 권유드립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1.07
0
0
가상화폐 채굴이라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노드들이 논스를 계산해서 해시값을 찾는다라는 건데간단히 얘기하면 고사양컴퓨터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의 필요한 거래 장부를 상세히 기록해주면서 받는 인센티브를 통틀어 채굴이라고 합니다.블록 - 종이1p 라고 하고 블록체인 - 종이100p 라면블록들을 계속 만들고 연결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블록체인을 만들면 대가로 코인을 지급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1.07
0
0
한국의 정부부채가 위험한가요 가계부채가 위험한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가계부채는 말그대로 일반 국민들이 가지고 있는 부채를 말하구요.정부가 가지고 있는 국가 부채가 있습니다. -> 주로 팬데믹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 나오는 부채이죠.
경제 /
대출
23.01.06
0
0
금융, 생활경제에 대한 용어를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모르는 건 당연합니다. 그러나 아주 좋은 시기에 이런거에 궁금한게 생겼고 그로 인해 배울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또래보다 앞서가는거라고 말해주고 싶네요.가벼운 경제책을 좀 사서 읽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읽다보면 한국의 흐름을 겉으로나마 저절로 알게되고 배우고 싶다는 생각이 들면 주식책도 좋고 재테크책도 좋으니 계속 읽고 유튜브영상도 찾아보기를 바랍니다.제 자식은 어릴때부터 경제관련된 책을 꾸준히 읽어주려고 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1.06
0
0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가 계속된다면?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사실상 다른 방법은 없습니다.국가에서 하는 다른 정책들은 일시적인 것이구요. 방안은 금리인상 밖에는 없습니다.미국이 올린다면 따라갈 수 밖에 없지만 물가 수준이 미국보다는 낮은 5%이고 이번 1월 cpi가 4.5%정도 나와준다면 0.25% 정도 인상될 확률이 높습니다.
경제 /
대출
23.01.06
0
0
코인 락업을 하는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자기가 만든 코인이 투기가 아닌 투자로 만들기 위함입니다.락업이 없다면 투기꾼들은 단기로 초기 가격에 쫙 상승시키고 다 던지는 수법으로 이익을 챙길겁니다.이렇게 되면 그런데다 누가 투자를 할까요??그렇기에 일정 수량 락업을 통해 유통량을 조절하여 투기꾼의 활동을 막아 투자자의 피해를 막고 장기투자자들을 늘리고 신뢰를 쌓아 코인의 가치를 안정화하려는 작업입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1.06
0
0
예금이자 연7%일때 월 지급액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예금계산기 이용하시면 정확하신데 단리이고, 일반과세라고 적용하면연이자 : 700만원세후(15.4%) 5,922,000 /12개월 = 493,500원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1.06
0
0
경제용어 그린본드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기업이 친환경프로젝트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채권을 발행하여 자금을 얻는 행위 입니다.정말 쉽게 얘기하면 기업이 나 투자해서 돈 벌면 이자붙여서 돈 돌려줄테니 돈 꿔죠 입니다.근데 여기에 친환경적인 프로젝트에 투자한다고 해서 붙여진거구요.기업도 성장하기 위해선 투자가 필요한데 지금 세상이 점차 친환경적으로 가고 있는 추세라 친환경적인 부분에서 투자를 감행하려고 합니다.그러나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데 지금 자금은 한계가 있고 하니 채권 발행하여 자본금을 얻는 것이라고 보시면됩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1.06
0
0
비둘기파, 매파는 어떤 것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매파적 - 어떠한 정책과 관련하여 급진적으로 진행할 때비둘기파 - 정책을 여러분야 걸쳐 약하게 진행할 때쉽게 말씀드리면 매파적은 긴급한 상황, 이번과 같은 물가폭등 등 위기인 상황에서 더 악화되기 전에 진행하는 정책-> 자이언트스텝 금리인상비둘기파는 경제침체,붕괴도 생각하여 금리인상기조를 약하게 해야된다. 라고 의견을 내는 사람들 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1.06
0
0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