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산에서 밥을 하면 왜 삼층밥이 되는지 과학적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이유는 고도가 올라갈수록 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이 낮아진 기압에 의해서 끓는점이 낮아지게 되는데 바로 이 떄문에 밥의 윗부분은 상대적으로 덜 익게 되고, 아랫 부분은 계속 가열함에 따라 더 익어버리게 됩니다. 따라서 2중, 3중 등의 층간 밥의 익은 정도가 달라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지요.
학문 /
생물·생명
24.01.20
0
0
같은 해성은 주기적으로 지구를 찾아오는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해당 혜성에 정해진 궤도가 있고 해당 궤도가 크다보니 지구 기준에서는 일정한 주기로 혜성이 돌아온다고 느껴질 수 있는 부분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4.01.19
0
0
지진이 발생해도 건물이 흔들리지 않게 짓는 것은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건물 자체를 지탱해주는 철근 등의 재료와 내진 설계를 통한 여러 가지 구조 보완을 통해 짓게 됩니다. 또한 기술의 발달로 시뮬레이션 등이 발달하여 짓기 전에 여러 방면으로 검증 작업을 시행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4.01.18
0
0
태양이 갑자기 블랙홀이 된다면 지구는 빨려들어가나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이 갑자기 블랙홀이 된다면 가까운 행성의 순으로 빨려들어가기 시작합니다. 지구도 태양에서 가까운 행성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충분히 빨려들어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4.01.17
0
0
물이 얼면 왜 부피가 커지나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다른 물질의 경우 얼면 분자 간의 결합이 더 단단해져 부피가 줄어드는데 물의 경우 분자의 특성에 의해 부피가 커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활발하게 움직이는 물분자들이 내부에서 얼면서 일정한 결합 형태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4.01.16
0
0
지구의 자전축이 변화한다는데, 그럼 어떤 영향이 생길까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자전축이 변함에 따라 태양으로 받는 빛의 양이 변하게 되어 기후 변화가 예상됩니다. 하지만 변화하는 자전축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4.01.15
0
0
댐의 역할을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산성비이긴 하지만 댐에 저장된 물이 무조건 식수로만 쓰는 것이 아니라 가뭄이 드는 토지 등에도 사용되기 때문에 댐 자체는 필요한 것 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4.01.14
0
0
번개가 번쩍이고 난 후 몇 초 있다가 천둥이 치던데 그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번개와 천둥을 동일한 현상입니다. 다만 번개와 천둥의 빛과 소리이기 때문에 인간에게 전달되는 속도의 차이로 인하여 시간 차가 발생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4.01.13
0
0
왜 눈이 올 때는 천둥이나 번개가 치지 않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영하의 온도에서는 구름 내부에 액체 상태가 아닌 눈의 형태로 되어 있어 마찰이 제대로 발생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서 천둥 번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 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4.01.12
0
0
도시에서는 시골 보다 별이 잘 안보이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도시에 비해 시골에는 건물 등에서 나오는 빛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이에 따라 하늘에 보이는 별의 시인성이 더 좋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4.01.11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