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배전반 판넬 자재 중에 MCCB 차단기가 있는데 역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전기 판넬 안에서 제일 위쪽에 크게 자리 잡고 있는 MCCB 차단기는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해요. 쉽게 말하면, 전기가 너무 많이 흐르거나, 합선처럼 위험한 상황이 생기면 자동으로 '딱' 하고 끊어주는 역할을 해요. 마치 집에서 누전 차단기 떨어지는 거랑 비슷하지만, 더 큰 설비나 건물용이에요.또 한 가지 중요한 건, 이 MCCB가 있으면 설비를 정비할 때 전원을 손쉽게 꺼줄 수 있어서 훨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어요. 그러니까 이건 단순한 스위치가 아니라, 전기 흐름을 지켜주는 든든한 안전장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좀더 작은용량의 경우는 CP라는 차단기를 써요.
학문 /
전기·전자
25.03.28
5.0
1명 평가
0
0
우리 산업에서 볼수 있는 양자역학 응용 분야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양자역학은 사실 굉장히 어려운 이론처럼 느껴지지만, 알고 보면 우리 주변의 첨단산업 곳곳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있어요. 스마트폰을 만들 때 쓰이는 반도체도 양자역학을 모르고는 만들 수 없고, 우리가 보는 화려한 OLED 화면도 전자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정확히 이해해야만 가능한 기술이에요.산업 현장에서는 전자의 흐름이나 에너지 상태를 아주 정밀하게 다뤄야 하니까, 양자역학이 자연스럽게 필요한 거죠. 예를 들어, 센서를 더 민감하게 만들거나, 의료 장비로 몸 안의 아주 미세한 신호를 잡아낼 때도 양자의 세계가 중요한 역할을 해요. 또, 요즘 많이 이야기되는 양자암호통신처럼 보안 기술에서도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고요.조금 멀게 느껴질 수 있는 개념이지만, 사실은 우리가 매일 쓰는 기술 속에 이미 들어와 있는 거예요. 말하자면, 첨단산업의 무대 뒤에서 조용히, 하지만 강력하게 움직이고 있는 원리가 바로 양자역학이라고 보면 될 것 같아요.
학문 /
전기·전자
25.03.27
5.0
1명 평가
0
0
핸드폰 배터리가 폭발하게 되는 원인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예전에 스마트폰 배터리가 폭발해서 뉴스에 나오는 걸 보면 정말 놀랍고 무섭기도 했죠. 그때 왜 그런 일이 일어나는지 궁금하셨던 것도 이해가 돼요. 사실 스마트폰에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아주 효율적인 대신, 안에서 무언가 잘못되면 위험해질 수 있어요.가장 큰 원인은 배터리 안에 있는 양극과 음극이 직접 닿아버리는 상황인데요, 그렇게 되면 안에서 열이 엄청나게 나면서 가스가 생기고, 결국은 팽창하다가 터져버릴 수 있어요. 이런 일이 생기는 이유는 다양해요. 만들 때 아주 작은 금속 조각이 들어갔을 수도 있고, 배터리를 떨어뜨려서 안이 망가졌을 수도 있고, 충전을 과하게 하거나 정품이 아닌 충전기를 써서 문제가 생기기도 하죠.예전엔 보호 회로가 지금처럼 정교하지 않아서 그런 사고가 더 자주 났던 것 같아요.
학문 /
전기·전자
25.03.27
5.0
1명 평가
0
0
전기차의 인렛/아웃렛 충전커넥터의 표준 규격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전기차 충전 커넥터 규격은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차량 쪽과 충전기 쪽이 같은 규격이어야 서로 연결이 가능해요.교류 충전 방식에서는 미국과 일본은 타입1을 쓰고, 유럽이나 우리나라처럼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타입2를 주로 사용해요. 중국은 GB/T라는 자기들만의 규격을 따로 가지고 있어요.고속 충전처럼 직류 방식에서는 미국과 한국은 CCS1을 많이 쓰고, 유럽은 CCS2를 쓰죠. 일본은 CHAdeMO라는 방식을 예전부터 써 왔고, 중국은 역시 GB/T라는 독자적인 규격을 따르고 있어요.요즘은 CCS 방식이 전 세계적으로 많이 퍼지고 있어서 점점 표준처럼 자리 잡고 있고, 테슬라가 만든 NACS라는 방식도 북미에서 공식 표준으로 인정받으면서 조금씩 넓어지고 있는 분위기예요.그래서 충전기든 차량이든 만들 때는 어느 나라에서 쓰일 건지를 생각해서, 거기에 맞는 규격을 따라야 제대로 충전이 되고 문제가 없어요.
학문 /
전기·전자
25.03.26
5.0
1명 평가
0
0
0.023미리볼트를 마이크로 볼트로 변환하면 23마이크로볼트가 맞죠?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네, 질문하신 것처럼 0.023밀리볼트는 23마이크로볼트가 맞아요.단위만 정확히 기억하면 쉽게 바꿀 수 있거든요.밀리볼트는 마이크로볼트보다 천 배 더 큰 단위니까, 0.023에다 천을 곱해주면 23이 되는 거예요.그런데 답지에 0.000023마이크로볼트라고 써 있으면, 그건 단위를 잘못 바꾼 거예요.아마 계산 과정에서 헷갈려서 단위가 꼬였거나, 실수한 것 같아요.이럴 땐 단위 변환이 헷갈릴 수 있어서, 단위를 하나씩 정확히 짚고 넘어가는 게 제일 안전해요.
학문 /
전기·전자
25.03.26
0
0
원도우 11이 출시되어 원도누 10에서 업테이트 하라는 ?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요즘 윈도우 11로 업데이트하라는 알림이 자주 뜨다 보니 좀 고민되시죠. 꼭 해야 하는 건 아니에요.윈도우 10도 아직 2025년까지는 계속 보안 업데이트가 나와요. 그래서 당장 안 해도 큰 문제는 없어요.다만 그 이후에는 보안 업데이트가 끊기기 때문에, 오래 쓰실 계획이라면 결국은 업그레이드가 필요해질 수도 있어요. 컴퓨터가 윈도우 11을 잘 돌릴 수 있는 사양이라면 미리 옮기는 것도 나쁘지 않죠.다만 프로그램 호환성이나 익숙한 사용 환경을 유지하고 싶다면, 지금 당장은 천천히 고민해보셔도 괜찮아요.
학문 /
전기·전자
25.03.26
0
0
Smps에서 전압을 받아와야하는데 8선을 어떻게 연결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8개의 선의 피복을 벗기고 꼬아서 하나의 링터미널로 압착하여 사용하시면 될것같습니다.터미널이 없으면 없는대로 조심해서 하셔도 될듯 싶네요
학문 /
전기·전자
25.03.26
5.0
1명 평가
0
0
소리는 진동을 타고 가는데 전파는 어떤것을 타고 가나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우리는 소리를 공기 중의 진동으로 전달된다고 배우잖아요. 그래서 주변에 공기나 물 같은 '매질'이 있어야만 소리를 들을 수 있어요. 그런데 전파는 좀 달라요.전파는 ‘전자기파’라는 종류의 파동인데, 이건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 영향을 주면서 스스로 퍼져나가요. 이게 참 신기한 게, 전파는 공기나 물 같은 매질이 전혀 없어도 이동할 수 있어요. 그래서 우주처럼 아무것도 없는 진공 상태에서도 전파는 잘만 움직여요.우리가 지구에서 우주에 있는 인공위성이나 탐사선과 통신할 수 있는 것도 바로 이 전파 덕분이죠. 전파는 공기를 타지 않고, 그냥 ‘공간 자체’를 통해 퍼져나가는 거예요.이렇게 보면, 소리는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물리적인 파동이고, 전파는 눈에 보이지 않아도 우리 일상에서 무선 통신이나 방송처럼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존재인 셈이죠.
학문 /
전기·전자
25.03.25
0
0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는 주로 리튬이온 배터리인데, 그 안에서도 어떤 재료를 쓰느냐에 따라 종류가 갈려요. 흔히 쓰이는 건 니켈·코발트·망간 조합인 NCM, 니켈·코발트·알루미늄을 쓰는 NCA, 그리고 리튬·인산·철로 구성된 LFP 배터리예요.이 중 NCM이나 NCA는 에너지를 많이 저장할 수 있어서 한 번 충전하면 멀리 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반면에 LFP는 충전으로 갈 수 있는 거리는 조금 짧지만, 덜 뜨겁고 안정성이 좋아요.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하고요.화재가 나는 건 주로 에너지가 많은 NCM이나 NCA 계열에서 더 자주 발생하는 편인데, 그건 배터리 내부가 복잡하고 아주 높은 에너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에요. 충격을 받거나 안에서 열이 너무 올라가면 셀 하나가 뜨거워지면서 주변 셀로 열이 번지고, 결국은 안에 들어 있는 액체가 가열되면서 불이 나는 거예요.반대로 LFP는 그렇게 열이 퍼지는 데 저항력이 강해서 훨씬 덜 위험하다고 알려져 있어요. 그래서 중국처럼 대중적인 전기차를 많이 만드는 나라에서는 LFP를 많이 써요. 물론 어떤 배터리든 제대로 관리되지 않으면 문제가 생길 수는 있죠. 결국 기술력뿐 아니라 안전 설계가 얼마나 잘 되어 있는지도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에요.
학문 /
전기·전자
25.03.25
5.0
1명 평가
0
0
지하철에서 와이파이가 잘터지던데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보통 지하나 콘크리트로 둘러싸인 곳에서는 와이파이 신호가 약한 경우가 많은데, 지하철에서는 오히려 와이파이가 잘 터지죠. 그 이유는 단순히 공유기를 설치해둔 게 아니라, 지하철 전체가 통신이 잘 되도록 아주 세심하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에요.역사나 열차 안 곳곳에 와이파이 전용 장비들이 설치되어 있고, 열차가 터널을 지나갈 때도 끊기지 않도록 전용 광케이블이나 철도 전용 통신망이 함께 깔려 있어요. 그리고 객차 안에도 중계기가 따로 있어서, 스마트폰이 멀리 있는 기지국을 찾지 않아도 되니까 신호가 훨씬 안정적이죠.결국 지하철에서 와이파이가 잘 되는 건, 우리가 잘 모르는 사이에 정말 복잡하고 정교한 통신 인프라가 조용히 제 역할을 해주고 있어서 가능한 거랍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3.25
5.0
1명 평가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