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HUG 버팀목 전세대출 대출실행일(=잔금일)보다 전입신고를 빨리 하면 문제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실행 전 전입신고 하는 것은 상관이 없을 것 같은데요,잔금 이후에 하는 게 문제가 되는것이지 전에 하는 것은 괜찮을 것 같습니다.계약서 가지고 확정일자도 같이 받으셔야 합니다.정확해야하니 은행 담당자에 꼭 확인해보세요~
경제 /
대출
24.11.23
0
0
롯데가 부산 센텀시티 백화점을 판다는 한국경제 단독 기사를 봤는데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롯데 센텀시티점은 2016년부터 신세계 센텀시티점에 밀려 점차 매출이 하락했었습니다. 롯데백화점 점포 가운데 센텀시티점이 매출하위이고롯데의 재무 건전성 악화로 인해 비효율 점포를 팔아서 유동성을 확보하고자함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4.11.23
0
0
마이너스통장은 1억 이하로만 뚫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마이너스통장은 신용대출로 간주되는데요,신용대출은 시중은행에서 일반적으로 소득대비 150%가 한도입니다.최근에 국민은행이 100%로 낮춘것으로 알고있습니다.만약에 기존 은행에서 쓰는 마이너스통장이 있으면 그만큼 한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경제 /
대출
24.11.23
0
0
국가에서 국채는 어떤 경우에 발행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국가는 경기부양책으로 국채를 발행하여 재원을 조달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중앙은행이 정부가 발행한 국채를 매입하면 시중 통화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또한 경기가 부진하여 세수 펑크로 인해 국가예산이 부족할 때도 국채를 발행합니다.
경제 /
경제정책
24.11.23
0
0
중국의 무비자기간이 1개월로 늘었다는데요 중국의 속셈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첫번째로는 중국 경제성장률이 많이 둔화되어 중국여행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함입니다.두번째 미국 트럼프 집권으로 대중국견제가 예상되어 주변국들과의 관계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냐는 시장의 견해가 있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4.11.23
0
0
활황형 물가 상승과 불황형 물가 상승의 차이?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수요견인 인플레이션과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을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요,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이 말씀하시는 활황형 인플레이션, 즉 경제성장과 함께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입니다.국민 소득이 증가하여 소비나 기업의 투자가 늘어나 발생하는 물가 상승입니다.비용인상 인플레이션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생산 비용이 증가하여 나타나는 인플레이션으로,유가, 곡물 공급망 교란(러우전쟁)이 만들어내는 물가상승이 이에 속합니다.실제로 코로나 이후 러-우전쟁까지 터지면서 전세계는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을 겪었습니다.일본의 경우도 장기경기침체로 물가가 내려가는 디플레이션(인플레이션과 반대)을 겪다21년 이후 세계적인 공급망 붕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을 함께 겪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4.11.23
0
0
엔화는 왜이리 자꾸 하락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장기경기침체로 일본은 저금리정책을 시행하고 있기 때문입니다.금리가 낮아지면 자국 통화가치가 내려가게 됩니다.일본은 23년까지 마이너스금리로 경기부양을 도모해왔다가 올해 금리를 0.25%까지 인상하였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4.11.23
0
0
코인코인 그래도 이렇게 불장일때도 망설여지는 투자 심리 왜일까용?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이런 급등장에 두려운 마음에 드는 것은 당연한데요,누구도 고점이 어딜지 계속 오를지 아닐지 모르기에 저는 이런 시장에서는 생각한 투자금의 10% 20%라도 사보는 편입니다. 급등이니 수익률은 보수적으로 잡고 수익실현하면 팔구요. 이런식으로 리스크는 줄이면서 두려움을 이겨내는 습관을 기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4.11.23
0
0
전세대출은 dsr 산정할때 만기년수에 만기일시 넣어서 계산하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맞습니다. 전세대출은 만기일시상품입니다. dsr 계산 시 만기일시로 반영하시면 됩니다.
경제 /
대출
24.11.23
0
0
예금자 보호 한도가 1억으로 늘면 예금 이율이 줄어들까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예금 이율보다는 대출 이율이 오를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이유은 대출 이율에 가산금리라고 해서 은행 리스크비용에 예금보험료율이라는 것이 포함되는데, 예금자보호 한도를 높임으로 인해 은행의 파산을 막기위한 예금보험료율이 올라가 그만큼의 비용이 대출이자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4.11.23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