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생활안전자금 대출 중에서 DSR 규제를 안받는 조건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주택을 담보로 받는 생활안정자금 대출 중 사업자대출은 DSR규제없이 대출이 가능합니다.사업자가 있고, 일정 매출이 있다면 가능합니다.다만 자금사용 용도가 사업운용자금이어야 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4.10.31
0
0
인플레이션이 화폐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으로 화폐가치가 점점 떨어지게돼요.1980년대 나이키 코르테즈가 만9천원이었는데요 현재 11만9천원인것처럼돈의 가치가 떨어져서 1개의 재화를 살 때 더 많은 돈을 내야하는 거죠. 그렇다고 인플레이션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면?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점점 하락하게 된다면? 이를 디플레이션이라고 하는데요, 심각한 경기불황, 실업자를 낳게 돼요.그래서 적절한 인플레이션이 필요한데요,화폐 가치 하락을 헷지하면서 자산을 불려나가려면현금만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투자를 해야겠죠.그래서 모두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거랍니다.도움이 되셨나요?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4.10.30
0
0
총대출액이 2억원 이하인 경우 DSR은 몇 %가 적용되는가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DSR은 본인의 소득에서 본인 명의의 신용대출, 학자금 대출, 주택담보대출 등 모든 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로써DSR 몇 프로인지 확인하려면 본인 소득, 모든 대출 정보(대출액, 잔여대출액, 상환기간,금리)가 있어야 확인이 가능합니다.부동산계산기로 검색하시면 직접 DSR 계산이 가능하니 한번 해보시길 추천드려요.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4.10.29
0
0
우리나라가 코로나 때 2021년 22년 때까지만 해도 국세 수입이 좋았다고 하는데요 2023년과 2024년에는 엄청난 수준으로 떨어지고 있는 이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국세의 종류에는 소득세, 법인세, 종합부동산세, 증여세, 부가가치세 등이 있어요.결국 국민과 기업들이 돈을 잘 벌거나 또는 부동산가격이 많이 올라야 국세가 늘어나요.그런데 경기가 안좋은데 고금리였기 때문에국민과 기업이 돈을 잘 벌지도 못하고, 부동산 가격도 하락했어요.그래서 국세가 많이 걷힐 수가 없었던거예요.궁금한 점이 해결되셨을지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4.10.29
0
0
금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금리를 올리는 경우는 단순하게는 물가가 적정(보통 2%)이상으로 오를때 물가를 잡기 위해서예요.경기가 좋아서 물가가 올랐을 때 금리를 올리면?과거, 이 경우에는 금리 인상을 해도 자산가격이 하락하지 않았어요. 그만큼 나라가 돈을 잘 벌고 있고 잘 성장하고 있어서 물가가 오른 것이기 때문에 금리 인상을 해도 자산가격에는 타격이 있지 않았어요.경기가 안좋은데 물가가 올라서 금리를 올리면?코로나 이후~최근까지 경기는 안 좋은데 물가가 올랐어요. 이를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해요.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곡물가와 유가가 올랐기 때문이에요.유럽의 빵 바구니라 불리는 우크라이나는 유럽 최대 곡물 수출국이며, 러시아는 유럽에 원유를 공급하는 주요 국가인데 전쟁으로인해 이게 막힌거죠.경기가 좋지 않은데 금리를 올리니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아지고 자산가격도 하락했어요.도움이 되셨을까요?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4.10.29
0
0
현재 우리나라의 내수 시장이 어려운 것은 어떤 점이 문제가 되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코로나 이후 연속하여 러-우 전쟁이 발생해 세계 경제는 물가는 오르고 경기는 침체되는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었습니다. 물가가 오르면 물가를 잡기위해 금리를 올려야하는데, 경기가 안좋다보니 금리를 올리는게 직격탄이 되어 내수 경기가 아직도 좋지 않습니다. 기준 금리는 많이 내려갔지만 실제 조달금리(대출금리)는 아직 4~5%이상입니다. 쉽게 말해 월소득은 적은데 대출이자는 많이 나가니 실질적으로 주머니에 돈이 없어돈을 쓰지 않는거죠. 돈을 많이 써야 내수 경기가 살아나는건데 말입니다. 미국 금리도 내리고 있고, 경기선행지수도 점차 좋아지고 있어 내년부터는 좋아지리라 예상됩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경제 /
경제동향
24.10.29
0
0
우리나라 환율이 1400원 이상가면 국내 금리가 상승한다는 의미?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금리를 올려 외화를 국내로 유입시키면 환율이 내려가는 쪽의 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한국 금리가 오른다면 해외 투자자들에게는 원화가 수익성이 더 높다고 판단되어 가치가 오르는 거죠.쉽게 생각하면 예금 금리가 높으면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어 예금에 넣어두려고 하는 것과 비슷한 뜻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경제 /
경제동향
24.10.28
0
0
금리가 인상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보통 금리를 인상하는 경우는 유동성이 너무 풍부할 때 입니다. 즉, 시장에 돈이 많이 풀려 있어 화폐의 가치가 떨어져 물가가 오르고 자산가격이 많이 오를 때 시중에 있는 돈을 다시 회수하는 위한 셈입니다.경기가 좋아서 물가가 오르는 경우: 과거, 이 경우에는 금리인상을 해도 자산가격이 하락하지 않았습니다. 그만큼 나라가 돈을 잘 벌고 있고 잘 성장하고 있어서 물가도 오른 것이고 금리 인상을 해도 뒷심이 있는거죠.경기가 안 좋은데 물가가 오르는 경우: 코로나 이후~최근까지 경기는 안좋은데 물가가 올랐죠. 이를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하는데,물가가 오른 이유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가장 주요한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곡물가와 유가가 올랐기 때문입니다. 유럽의 빵 바구니라 불리는 우크라이나는 유럽 최대 곡물 수출국이며, 러시아는 유럽에 원유를 공급하는 주요국가인데 이게 막힌거죠.경기가 안좋아 국민들의 주머니에 돈이 없는데 물가가 올라 그 대책으로 금리까지 올리니 경기가 더 어려워졌고 자산 가격도 하락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경제 /
예금·적금
24.10.28
0
0
은행 계좌를 여러 개 가지는 것이 신용에 좋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은행 계좌를 여러개 가진다고 해서 신용도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없습니다.신용점수는 보통 과도한 신용카드 사용, 2,3금융권 대출금 정도, 현금서비스 사용 등으로 평가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4.10.28
0
0
원달러 고환율과 금리인하간의 관계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금리 인하를 더하면 환율이 더 오를 수도 있습니다.쉽게 생각하면 돈을 예금에 넣어둔다고 했을 때 금리가 낮으면 이자를 적게 받으니 굳이 한국이라는 예금에돈을 넣어두지 않아 외화자본이 바깥으로 빠져나간다고 설명할 수 있겠습니다.원화의 가치가 내려가는 것이죠.환율이 더 오르면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물가가 오를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4.10.28
0
0
46
47
48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