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롤오버의 뜻이 무엇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승도 경제전문가입니다.롤오버(Rollover)란, 주로 선물 및 옵션 거래에서 계약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기존의 계약을 새로운 계약으로 연장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 경우 대개 기존의 계약을 유지하거나 새로운 계약으로 대체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됩니다. 즉 보유 중인 선물의 만기일이 다가올 때 거래자가 롤오버를 한다는 의미는 거래자가 원하는 만기일을 선택하여 거래를 계속할 수 있도록 계약을 새 계약으로 교체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그러나 선물이라는 파생상품의 특성상 일반적인 계약 연장과 달리 롤오버에는 여러 리스크가 존재하는데, 예를 들면 만기일이 도래할 때 시장 가격 변동에 따라 거래자가 불리한 가격으로 롤오버하게 되는 리스크가 있으며, 계약 연장 시 종래의 계약과 새로운 계약 사이의 가격차이의 발생에 따른 추가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4.09.25
5.0
1명 평가
0
0
시밀리 라는 말이 무슨말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승도 경제전문가입니다.바이오시밀러(biosimilar)에 대해 문의주신 것 같습니다. 바이오시밀러(biosimilar)란 '비슷한'이라는 뜻을 가진 'Similar'과 생물학을 뜻하는 'Bio'가 결합된 단어로, 특허가 만료된 생물의약품에 대한 복제약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이 단어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바이오제네릭(biogeneric)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알아야 하는데, 이는 '통칭의'라는 의미의 'Generic'과 생물학을 뜻하는 'Bio'가 결합된 단어로, 생물의약품이 아닌 합성의약품에 대한 복제약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바이오제네릭은 오리지널 합성의약품과 똑같은 구조와 성분을 가진 약인 반면, 바이오시밀러는 오리지널 생물의약품과 동일하지는 않고 유사한 구조와 성분을 가진 약입니다. 그 이유는 합성의약품과 달리 바이오의약품은 그 특성상 화학적 합성이 아닌 세포배양을 통해 생산이 이루어지므로, 그 과정에서 약물의 구성이나 구조가 달라지기 때문에 오리지널 의약품과 똑같은 의약품을 만들기가 어렵습니다. 물론 바이오시밀러 또한 바이오제네릭처럼 오리지널 의약품과 거의 동일한 효과와 안전성을 제공하지만, 바이오제네릭과 달리 바이오시밀러는 오리지널 생물의약품과 완전히 똑같은 제품으로 만들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시밀러(Similar)'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4.09.25
5.0
1명 평가
0
0
PBR의 뜻과 어디에서 사용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도 경제전문가입니다.PBR의 의미에 대해 문의주셨습니다. PBR(Price Book Ratio)이란 주가순자산비율을 뜻하는 말로, 주식시장에서 특정 종목(기업)의 주가가 해당 기업의 순자산가치와 비교해 보았을 때 얼마나 높게 평가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즉, 해당 회사의 주식이 순자산가치에 비해 비싼지 싼지를 나타내는 값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PBR이 높은 회사라면 상대적으로 고평가되고 있다는 뜻으로 시장에서는 해당 회사의 성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것일 수 있으나 반대로 생각하면 해당 회사의 실제 가치에 비해 과대평가되고 있다는 의미일 수도 있습니다. 반면 PBR이 낮은 회사라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고 있다는 뜻으로 시장에서는 해당 회사의 성장성을 낮게 평가하고 있다는 것일 수 있으나 반대로 생각하면 해당 회사의 실제 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과소평가되고 있다는 의미일 수도 있습니다.계산할 때에는 회사의 현재 주가를 회사의 주당순자산가치(BPS)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주당순자산가치(BPS, Book Value Per Share)란 기업의 순자산(총자산-총부채)를 발행된 주식수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현재 주가가 70,000원이고 BPS가 50,000원이라면 PBR=70,000/50,000=1.4가 되고 이는 해당 회사의 주가가 순자산가치에 비해 1.4배 높게 평가되고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4.09.25
5.0
1명 평가
0
0
FED의 뜻이 무엇이고 어디에서 사용 하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승도 경제전문가입니다.FED(Federal Reserve Board)란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연준)를 일컫는 약칭으로, 통상적으로 우리나라의 한국은행과 같이 미국의 중앙은행 역할을 수행합니다. 즉 미국의 통화 정책을 수립하고 미국의 화폐인 달러를 발행합니다. 그런데 다른 국가의 중앙은행과 달리 미국의 중앙은행은 달러라는 기축통화의 통화정책과 발행을 책임진다는 특성이 있으므로 전세계적인 경기변동과 금융시장, 자본시장에 매우 큰 영향력을 미칩니다. 즉 FED, 연방준비제도(연준)은 세계경제의 흐름과 변동을 책임지는 주춧돌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4.09.25
5.0
1명 평가
0
0
순환매 라는 뜻과 어디에서 사용 되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승도 경제전문가입니다.순환매란, 어떤 특성을 지닌 특정한 종목의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에, 그와 유사한 특성을 지닌 관련주들도 순환하면서 차례로 주가가 잇따라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어떤 사회적, 정치적 이슈가 발생하여 특정한 테마주가 상승하면 그와 유사한 관련 테마주들이 함께 상승하거나, 전세계적인 경기 호황기가 오면 경기변동과 큰 관련을 지닌 금융주, 석유화학주, 철강주 등이 연달아 상승하는 것이 순환매의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순환매는 주로 상승국면에서 나타나며, 하락국면에서는 관련주의 주가가 순환하여 하락하는 식의 현상은 거의 관측되지 않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4.09.25
5.0
1명 평가
0
0
파킹통장은 어느은행이 금리가 제일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이승도 경제전문가입니다.주요 1금융권 은행의 파킹통장 금리는 아래와 같습니다.(우대금리를 제외하고 기본금리만 나타낸 것입니다.)전북은행 특판 2.8%, 일반 2.0%케이뱅크 2.3%SC제일은행 2.1%카카오뱅크 2.0%KDB산업은행 1.7%가입에 참고하시면 좋을듯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4.09.25
0
0
금리인하가 주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도 경제전문가입니다.만약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가 큰 경우, 즉 미국의 금리는 높은데 한국의 금리는 낮은 경우에는 미국의 예금수익률이 한국의 예금예금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는 의미이므로 미국으로의 자본유출 유출되어 국내의 유동성이 위축되는 우려가 발생합니다.하지만 이번 미국의 0.5% 금리 인하로 이러한 불안감이 상대적으로 줄어들면서 한국은행이 금리인하에 대한 부담감도 덜게 되었고, 따라서 금리 인하의 시기를 구체적으로 예측할 수는 없지만 한국은행도 미국의 금리인하에 발맞추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금리가 인하되는 경우 예금수익률이 낮아지게 되므로 사람들은 저축을 하는 대출을 받아 주식, 부동산 등에 투자할 것이므로 주식 시장이 활성화되고 부동산 시장도 상승하게 될 가능성도 높아집니다.또한 금리 하락에 따라 기업은 투자를 늘리고 이는 생산증가와 고용증가로 이어질 것이며, 가계소비도 증가하게 되어 내수가 진작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가계부채가 증가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부작용도 동반될 것입니다.하지만 한국이 미국을 따라 금리인하를 언제 할지 그 시점이 불확실하며, 경제정책이 실물경제에 반영되기까지는 일정한 시차가 존재하므로 실제 경제지표의 변동 여부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할 것입니다.
경제 /
자산관리
24.09.25
5.0
1명 평가
0
0
경제용어 중 '감자'라는 용어는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승도 경제전문가입니다.감자란 "자본을 감소시킨다"는 말의 줄임말로서, 기업이 보유한 주식 수를 의도적으로 줄이는 재무적 전략을 의미합니다. 감자는 다양한 목적으로 시행되는데, 인수합병이나 분할, 자본금 대비 손실비율 감소를 통한 자본잠식 해결, 재무건전성 강화 등의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감자가 실행되면 기업의 전체 자본금이 감소되며, 주주가 보유한 주식 수는 감자 비율만큼 줄어듭니다. 감자에는 손실분만큼 주주에게 보상하는 유상감자와 그렇지 않은 무상감자가 있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4.09.25
5.0
1명 평가
0
0
빅컷이라는 말이 많이 나오는데 이건 뭔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승도 경제전문가입니다.금리인상폭을 지칭하여 국내에서 부르는 용어로 스텝(step)이 있는데,컷(cut)은 이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금리인하폭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다만 이 용어들운 국내에서만 사용되는 용어로 미국에서 쓰이는 용어는 아닙니다.베이비컷은 0.25% 인하를 의미하고 빅컷은 0.5%인하를 의미하며 자이언트컷은 0.75% 인하, 울트라컷은 1% 인하를 의미합니다.이와 반대로 베이비스텝은 0.25% 인상, 빅스텝은 0.5% 인상, 자이언트스텝은 0.75% 인상, 울트라스텝은 1% 인상을 의미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4.09.25
0
0
1달러는 몇 센트가 모이면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승도 경제전문가입니다.1달러의 센트 환산에 대해 문의주셨습니다.1달러(Dollar)는 100센트(Cent)입니다. 즉 1센트 동전 100개를 모으면 1달러 지폐 한 장이 됩니다.
경제 /
자산관리
24.09.25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