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Low pass filter은 무슨기능을 하는것인지요?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로우 패스 필터는 특정한 차단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 신호를 감쇠시키고 차단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 신호만 통과시키는 필터입니다.적용 사례는 믹스 작업에서 필터 기능을 적용하면 고음같은 고역대 음색의 선명도를 향상 시켜줍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7.27
0
0
전자 투표 시스템의 장단점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장점은 첫째,편의성입니다. 언제어디서나 투표가 가능하므로 유권자 참여율을 높일수 있고,둘째,비용절감입니다.셋째,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운영가능합니다. 단점으로는 보안문제가 발생될수 있으며,인터넷 접근이 어려운 유권자에게는 불평등을 야기시킬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7.26
0
0
무선전화의 전파전송은 어떻게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안테나를 통해 전자기파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기파는 공기중을 전파하면서 수신기에 도달합니다. 이전파는 빛과 같은 성질로 공기와 다른 장애물들을 통과가 가능하여 멀리 떨어진 장소에도 통신이 가능합니다.이때 신호는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7.26
0
0
반도체 웨이퍼는 왜 원형 모양으로 만든 건가요??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반도체 웨이퍼의 재료는 실리콘인데 실리콘을 포함한 물질을 고온에서 가열하여 전자소자급 실리콘 단결정질상태로 만듭니다. 이것에 도핑원소 (붕소,인,비소)를 첨가하여 1500도 고온 가열하여 액체상태로 만듭니다. 그리고 실리콘 결정에 씨앗역활을 하는 Seed를 줄에 매달아 실리콘 액체 표면에 접촉한 후 천천히 회전시키면서 끌어올리면 액체가 굳어지고 굳어지면 이것이 단결정질 실리콘(원기둥 모양)이 됩니다. 웨이퍼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 단결정질 실리콘을 절단해야 하는데.. 절단하면 원판형 모양으로 나옵니다. 그래서 웨이퍼는 원형모양으로 만들어지게 되는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7.26
0
0
불꽃감지기의 종류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불꽃감지기 종류는 UV IR , UV IR2,IR3 가 있습니다. UVIR 가격은 70만원대 / UVIR2 가격은 8-90만원대 / IR3가격은 150만원대라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7.25
0
0
설비업을하는 자영업자입니다 간단한전기일도 같이할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 단, 고전압 관련 업무는 지양해주시고 전기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는게 도움이 될듯합니다. 설비업을 하시니 설비 내부 점검 또는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필요할것으로 사료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7.25
0
0
PLC 공부 하려는데 독학하려면 뭐부터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PLC 공부를 하기위해서는 기본이되는 2진수/10진수/16진수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파악부터하셔야합니다.그리고 난 다음 가장 간단한 PLC 프로그램을 열어놓고 상기 항목기준으로 확인하고 공부하시면 기초를 튼튼히 다질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7.25
0
0
사물 인터넷 기술의 현재와 미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사물 인터넷은 다양한 기기들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서로 연결되어 데이타를 서로 주고받는 기술입니다.가장 보편화된것은 스마트 홈으로 조명 /냉.난방/ 보안시스템에 적용된 기술이 대표적 사항입니다. 장차 미래에는 스마티 시티가 구축되어 도시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교통/환경/청결 등등 )하는 시대가 올것으로 보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7.25
0
0
배터리중 1차전지와 2차전지의 차이?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1차전지는 재충전이 불가하여 한번쓰고 버리게 되는것이고 2차전지는 재충전하여 사용가능합니다.대표적인 1차 전지는 알카라인 전지이고 2차전지 니켈수소전지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7.25
0
0
반도체 공정은 왜 계속해서 사이즈를 줄여나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나노는 반도체 회로 선 폭을 의미하는 단위입니다. 즉, 선폭이 좁을수록 소비전력이 감소하고 데이타 처리속도가 빨라집니다. 양산기준으로 3나노가 최상이며 2나노는 현재까지 양산단계는 아닙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7.25
0
0
118
119
120
121
122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