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을숙도에 찾아오는 철새가 매년 같은 곳으로 찾아오는 것이 어떤 원리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동양 제1의 철새도래지로 잘 알려졌으며, 1966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낙동강하류철새도래지에 속한다. 특히, 겨울철 철새가 군무를 이루며 비상하는 모습은 일대장관이다. 철새는 총 138종에 10만여 마리이다.이 중에 천연기념물인 황새·저어새·재두루미·느시 등 희귀종도 있으며, 오리과에 속하는 것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갈매기과·농병아리과·아비과·매과·수리과·멧과 등도 개체수가 많은 편이다. 철새의 대부분은 겨울새이나 여름철에 찾아드는 여름새와 봄·가을철 잠시 쉬다가 떠나는 나그네새도 있다. 철 새에게 수십km 정도는 하루 생활권이다. 겨울 철새는 한도 내에서도 추위에 따라 이동을 한다. 천수만 등 중부 지방의 경우 11~12월, 남해안 지역은 12월부터 이듬해 2월 초순에 철새가 많이 눈에 띈다. 그 때문에 초겨울엔 중부 지방. 한겨울 및 늦겨울엔 남쪽 지방이 철새들의 주 도래지가 된다.
학문 /
생물·생명
22.12.05
0
0
액화 현상에대한 궁금증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액화는 기체가 액체 상태로 되는 현상을 이르는 말로서 응축이라고도 한다.물질은 온도, 압력 등 주어진 조건에 따라 다양한 상을 가진다. 물질이 가질 수 있는 상은 크게 네 가지로, 고체, 액체, 기체, 플라스마이다. 이 상들 간의 전이를 상전이라고 하는데, 그림 1은 각 상전이에 대한 명칭을 보여주고 있다. 액화는 기체상이 액체상으로 변하는 현상을 뜻한다. 액화는 응축(condensation)이라는 용어와 흔히 혼용된다. 그 반대 현상은 기화이며, 끓는점 미만에서 기화하는 현상을 증발(evaporation)이라고 한다. 액화는 열을 방출하는 상전이 현상으로, 액화할 때 방출하는 열을 액화열(heat of liquefaction)이라고 한다.액화의 가장 흔한 사례는 차가운 물이 담긴 유리컵을 실온 중에 놓아 두었을 때, 컵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을 들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이 이슬점과 관계 있는 현상이다. 공기가 함유할 수 있는 최대의 수증기량인 포화 수증기량은 온도에 따라 올라간다. 대기를 냉각시키면 포화 수증기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상대습도가 증가한다. 상대습도가 100%가 되어 대기가 포화 상태가 되면 대기 중의 수증기가 더 이상 수증기 상태로 존재하지 못하고 액체인 물방울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의 온도를 이슬점이라고 한다. 이슬점 온도에서는 물이 수증기로 변하는 기화 속도와 수증기가 물로 응결(액화)되는 속도가 같다. 이슬점 온도 이하에서는 수증기의 액화 속도가 기화 속도가 빨라서 물방울이 생긴다.
학문 /
화학
22.12.05
0
0
여름철 비가 많이 내리는데요 비를 맞으면 머리카락이 빠진다말이 있는데요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산성비는 도시의 산업이 발달하면서공장 또는 자동차 등에서 발생되는 매연으로항산화물과 질소산화물들이 늘어나게 되고이와 같은 성분들이 비에 섞여서 내리는 것이바로 산성비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산성비는 단순히 비만 내리는 것이 아니라주변의 환경에도 영향을 끼치는 만큼이나우리에게는 좋지 않은 영향을 줍니다.그래서 요즘에 내리고 있는 비들은 모두산성비라고 생각을 해주시면 됩니다.비 맞으면 머리가 빠질까?그렇다면 비를 맞으면 머리가 빠진다는속설은 진짜일지 알아봐야 하는데요!결론은 맞는다고 합니다 ^^산성비는 탈모에 치명적이라고 하는데요.두피에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비 자체를 문제가 크게 되지는 않지만산성비를 맞은 다음에 씻지 않고잠이 들거나 오래도록 노출이 된다면두피에 세균이 번식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그리고 염증도 유발해서 탈모를 일으키고더욱 심해질 가능성도 높다고 해요.
학문 /
화학
22.12.05
0
0
다이아몬드보다 단단한 보석이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카르멜타자이트카르멜타자이트 지금으로선 극 희귀라서 아직까진 전세계에 몇 개 없는 보석이고, 우주에서 비슷한 성분이 몇번 발견된 적 있다고 합니다. 이 보석은 2019년 2월에 이스라엘 카르멜 산 부근의제브룬발레 화산암에서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2.05
0
0
인류 역사상 최초의 우주선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최초의 인공위성은 1957년 10월 4일에 러시아가 발사한 스푸트니크 1호였습니다. 그리고 70년 아폴로1호를 만들었으나 실패하고 아폴로11호가 달착륙에 성공하였습니다. 탐사선으로는 77년 보이저 1호 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5
0
0
자고일어나면 쑥쑥 올라가있는 타워크레인은 어떻게 올리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간단하게 원리를 말씀드리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 기둥을 지탱할 지지대를 세우고 콘크리트로 고정한다.2. 아랫단 타워에서는 지상 크레인이 뼈대와 몸통을 부분을 올려주고 헤드 크레인을 설치한다.3. 그 다음 층부터 크레인을 올리는 방법은 몸통에 보통 100톤가량 들 수 있는 유압장치가 있는데 이 유압장치로 크레인 윗부분을 올려준 뒤 빈공간을 만들고 그 사이에 철골구조물을 넣어 1층씩 높혀 고정한다.4. 크레인 타워 완성5. 해체 방법 또한, 유압장치를 통해 한단계씩 지탱하면서 철골구조물을 뺴면서 내려간다. 6. 해체 완료 위와 같은 원리로 크레인 설치 및 해체 작업을 한다고 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5
0
0
에어컨에 C4라는 에러가 떠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이 에러들은 냉매부족 또는 냉매누설이 발생했을 때 나타나는 에러코드입니다. 배관이 빠진 부분이 없는 지 확인 또는 배관이 녹이 슬거나 훼손되어 가스가 새고 있지는 않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배관 재연결 및 냉매재충전이 필요하므로 AS 고객센터 문의가 필요한 사항입니다. 보다 더 자세한 안내 또는 AS 출장 서비스를 부르기 위해서는 아래 사이트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https://www.samsungsvc.co.kr/
학문 /
화학
22.12.05
0
0
물리 마력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의 양을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1초간에 75kg·m의 일을 할 때에 이것을 1마력이라 하고 1HP로 쓴다.동력=일/시간=힘×거리/시간=힘×속도(단위:kg·m/sec, lb·ft/sec), 1HP(영국마력)=76kg·m/s=641kcal/h, 1PS(국제마력)=75kg·m/s=632kcal/h
학문 /
물리
22.12.05
0
0
젤리는 고체인가요 액체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용액 속의 콜로이드 입자가 유동성을 잃고 약간의 탄성과 견고성을 가진 고체나 반고체의 상태로 굳어진 물질. 콜로이드 입자가 서로 이어져 입체 그물 모양을 하고, 그 공간에 물 따위의 액체가 채워져 있다. 한천, 젤라틴, 두부, 생물체의 원형질 따위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5
0
0
면은 익히면 왜 흐물흐물하고 말랑말랑해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건조한 면이 수분을 흡수하고, 열을 받으면서 일정 순간까지는 글루텐 성분때문에 쫄깃해지다가, 면이 풀어지면서 수분을 과도하게 흡수해서 퍼지게 됩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2.05
0
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