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탁구공이 가벼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탁구채로 공을 치게 되면 빠른 속도로 날라가기 땨문에 탁구공은 가벼우면서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기 때문입니다. 초기에는 셀룰로우스를 사용하다가, 폭발위험이 있어서 플라스틱으로 변경되었습니다.
학문 /
물리
23.08.06
0
0
식물세포가 분열할 때 세포벽은 어떻게 형성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세포분열=세포 분열(細胞分裂, cell division)은 하나의 모세포가 분열하여 2개 또는 그 이상의 딸세포로 나뉘는 과정이다. 세포 분열은 주로 세포 주기의 한 부분으로 발생한다. 진핵생물의 세포 분열은 각 딸세포가 모세포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체세포분열과 딸세포의 염색체 수가 반으로 줄어들어 홑배수체 생식자를 만드는 생식적인 세포 분열인 감수분열로 2가지로 구분된다2.종류-체세포분열=세포생물학에서 체세포분열은 복제된 염색체가 두 개의 세포핵으로 분리되는 세포 주기의 한 부분이다. 세포 분열은 전체 염색체 수를 유지하면서 유전적으로 동일한 세포를 만든다.따라서 체세포분열을 균등 분열(equational division)이라고도 한다.일반적으로 사이기의 S기 이후에 체세포분열(핵의 분열)이 진행되고, 체세포분열의 말기 이후에는 세포질과 세포소기관, 세포막이 하나의 세포에서 2개의 새로운 세포로 거의 동일하게 나뉘는 세포질분열이 일어난다.체세포분열 과정의 여러 단계를 함께 M기(체세포분열기)라고 정의한다.(성장을위한 세포분열,죽은세포대체)-생색세포분열생식세포분열(meiosis)이란 정자나 난자와 같은 생식세포가 만들어지는 동안에 일어나는 특수한 형태의 세포 분열로, 2 번의 세포 분열이 연속해서 일어나게 되며, 아빠나 엄마의 생식기관인 정소나 난소에서만 일어난다. 한 개의 모세포로부터 4개의 생식세포가 만들어지게 되고, 각 생식세포는 모세포가 가진 염색체 수의 반만 가진다.(감수분열을 포함한다,정자와 난자를 만들기위한 세포분열)
학문 /
생물·생명
23.08.06
0
0
나침반은 어떻게 항상 같은 방향을 가리키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나침반(羅針盤, compass)은 자침(磁針)이 남북을 가리키는 특성을 이용하여 만든 방향 지시 계기를 말한다.[1] 나침판[2], 나침의(羅針儀)[3], 지남철(指南鐵)[4]이라고도 부른다.자석을 고정시키지 않으면 거대한 자성체인 지구의 자성과 반응하여 N극은 항상 북쪽을, S극은 항상 남쪽을 가리키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단, 자성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자이로컴파스도 있다. 지도를 가지고 있다 해도 나침반이 없으면 제대로 된 기준을 잡을 수 없으므로 함께 쓰이는 일이 잦다.
학문 /
물리
23.08.06
0
0
칼세이건은 누구이며, 어느 시대를 살았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934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출생하였다. 우크라이나 출신의 이민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나 시카고대학교와 동대학원에서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을 공부하였다. 1962∼1963년 스탠퍼드대학교 의과대학 유전학 조교수, 1963∼1968년 하버드대학교 천문학 조교수를 거쳐, 1968년부터 코넬대학교 천체연구소 소장으로 있으면서 1975년부터는 코넬대학교의 방사선물리학 및 우주연구센터의 부소장을 겸임하였다. 1968년부터는 《국제 태양계 연구잡지 ICARUS》 편집장을 지냈다.한편, 미국 항공우주국( NASA)에서 마리너호·바이킹호·갈릴레오호의 행성탐사 계획에 실험연구원으로 활동하였으며, 캘리포니아 패서디나에 설치한 전파교신장치를 통하여 우주 생명체와의 교신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1980년에는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시리즈인 《코스모스 Cosmos》의 해설자로 나서서 생명의 탄생에서부터 광대한 우주의 신비까지 까다롭고 난해한 개념을 이해하기 쉽도록 명쾌하게 전달하였으며, 방송 내용을 책으로 옮긴 동명의 책을 출간하여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기도 하였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06
0
0
태풍의 방향은 어떻게 결정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북상의 원인편집태풍이 북쪽으로 진행하는 원인은 위도에 따른 전향력 차이 때문이다. 전향력의 크기는 적도에서 0이며 극에서 최대가 되는데, 북반구에서는 항상 풍향의 우측 수직 방향으로 작용한다. 태풍의 북쪽 반원은 동풍 구역으로 전향력은 이를 북쪽으로 끌어당기며 남쪽 반원은 서풍 구역으로 적도 쪽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하지만 적도와 가까운 저위도에서는 전향력의 효과가 작아서 태풍은 북쪽으로 끌려가게 된다. 전향력은 풍속에 비례하기 때문에 태풍 북쪽의 동풍이 강해지면 북상할 가능성이 커진다.진행 과정편집열대 지역에 있는 발달기의 태풍은 무역풍을 타고 20~25km/h 정도의 비교적 느린 속도로 서쪽 또는 서북서쪽으로 진행한다. 발생한 태풍 가운데 3분의 1 정도는 그대로 서쪽으로 진행하여 필리핀, 대만 또는 남중국해로 들어간다. 하지만 나머지 3분의 2의 태풍은 북서쪽으로 진행하다 북위 20°~30°에 이르면 편서풍의 영향으로 진로를 북쪽 또는 북동쪽으로 바꿔 한반도나 일본열도 쪽으로 향한다. 이 시점을 태풍의 전향(轉向)이라 한다. 전향점의 위치는 5~6월에는 북위 20° 부근, 7~8월에는 북위 30° 부근이나 10월에는 다시 남하해 북위 22° 부근이 되는 월별 변화를 보인다. 태풍은 전향할 때 약 하루 정도 정체하는데, 일단 전향하면 이동 속도는 급속히 증가한다. 여름에는 보통 35~40km/h 정도이고, 가을이 되면 제트기류의 영향으로 속도가 더욱 빨라져 드물게는 80km/h 이상 달하는 일도 있다. 태풍의 이동 속도는 일반적으로 지속성이 있으므로 과거의 이동 속도를 답습하는 경우가 많아 1일 이내는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학문 /
화학
23.08.05
0
0
설탕은 단당류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럼 설탕을 먹여서 키운 벌꿀에게서 나온 꿀도 단당류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단당류란소화과정을 거치지 않고 인체에 바로 흡수되며, 당을 구성 하는 탄소수에 따라 2탄당, 3탄당, 4탄당, 5탄, 6탄당이 있습니다.6탄당- 식품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신진대사에 중요한역할을 하며 음식의 맛에도 영향을 줍니다.- 포도당(Glucose) : 체내 당 대사의 중심물질로서 생체계의 가장 기본적인 에너지 공급원입니다.채소나 과일에 많고 특히 포도의 액즙애 많이 함유되어 포도당이라고 합니다.- 과당(Fructose) : 과일과 꿀에 존재하며 당 가운데 단맛 이 가장 강합니다.- 갈락토스(Galactose) : 자연계에 단독으로 존재하지 못 하고, 포도당과 결합하여 유당(Lactose)이라 불리는 이당 류의형태로 존재하고 포도당보다 단맛은 약하고 물에 잘 녹지 않습니다.꿀도 단당류에 속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05
0
0
거미는 거미줄을 어떻게 생성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거미줄은 거미의 배 뒤쪽에 있는 분비샘에서 액체 형태로 배출되어 나오지만 나오자마자 굳어집니다. 거미줄의 지름은 약 0.0003mm 밖에 되지 않지만 같은 두께의 강철보다 약 다섯 배나 강합니다. 그리고 거미는 용도에 따라 탄력과 점성이 각기 다른 일곱 종류의 거미줄을 만들어 냅니다.거미줄은 천연 고분자인 아미노산이라 불리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거미는 거미줄에 걸린 생물을 잡아먹고 아미노산을 얻고 거미줄의 가닥이 되는 단백질 분자들을 생성합니다. 거미가 만들어내는 단백질에는 20여 개의 아미노산이 있는데 고분자 시슬들에 연결되는 순서를 뒤섞여가며 단단하고 탄력 있는 거미줄을 만들에 냅니다.거미는 그 자신이 거미줄을 거주지이자 사냥 도구로 쓰기 때문에 자신이 친 게 아닌 다른 종이 친 거미줄에 닿으면 그대로 움직임을 멈춥니다. 거미줄에 진동을 일으키면 어찌될지를 본능적으로 알고 있으니까. 이 외에도 일부 거미 새끼들은 한동안 어미와 같이 살다가 일정 시기가 되면 높은 곳에 올라가 꽁무니에서 실을 약간 뽑아내 그것을 통해 바람을 타고 날아가 멀리까지 퍼져나가기도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8.05
0
0
저수지에 녹조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부영양화된 호수 또는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녹조류와 남조류가 크게 늘어나 물빛이 녹색이 되는 현상이다. 녹조 발생시, 수중생물이 죽어 생태계를 파괴하며, 유독남조류가 독소를 생산할 경우에는 동물 피해가 일어난다. 예방을 위해서 영양염류를 제거해야 한다. 부영양화된 호수나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인 녹조류나 남조류가 크게 늘어나 물빛을 녹색으로 변화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팔당호의 경안천 등 일부 호소나 하천에서는 규조류가 많아지면서 물이 황갈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호소의 표면에 녹조가 덮이면 수중으로 햇빛이 차단되고 용존산소가 추가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물의 용존산소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렇게 되면 물고기와 수중생물이 죽고 악취가 나며, 그 수역의 생태계가 파괴되어 사회적·경제적·환경적 측면에서 많은 문제가 생긴다.
학문 /
토목공학
23.08.05
0
0
수면제는 어떻게 몸에 작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중추신경계 특히 대뇌가 흥분하여 불면 상태에 있을 때에 사용하는 약제최면제라고도 한다. 작용의 본질은 마취제와 비슷하며, 소량을 쓰는 경우는 진정제가 된다. 일반적으로 적응증에 의하여 분류된다. 취면제(就眠劑)는 신경증성 불면인 사람이나 잠이 오지 않을 때에 쓰이며 최면작용이 빨리 나타나고 작용의 지속시간이 3∼4시간 정도인 것으로서, 브롬발레릴요소(브로발린·카르모틴)를 비롯하여 브로민다이에틸아세틸요소(아달린·네네신)·포수(抱水) 클로랄 등이 있다. 또한 트랭퀼라이저(정신안정제)나 항히스타민제·진정제도 이 역할을 하는 것이 있다.숙면제(熟眠劑)는 잠이 깊이 들지 않아 깨기 쉬울 때 쓰며 수면의 심도를 깊게 하여 밤중에 깨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작용의 지속시간은 5∼6시간이다. 아모바르비탈(아미탈·이소미탈) 외에 사이클로바르비탈(아도름·파노도름)이 있다. 지속성이 있는 숙면제는 깊은 잠을 오래 지속시키는 작용에 쓰며 지속시간이 6시간 이상 되는 것으로서, 잠을 깨려 해도 일어날 수 없다. 설포날이나 페노바르비탈(루미날·페노발)이 포함된다.
학문 /
생물·생명
23.08.05
0
0
손바닥에 손금이 없다면 어떤 일이 생길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손금이 없다면 손을 쥐기 어렵거나 손바닥에 주름 혹은 상처개 날 수 있습니다. 손금은 손을 주었다 폈다 하는데 유용한 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05
0
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