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멀리 떨어진 별이 지구와 비슷한 환경의 별인지 어떻게 알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허블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한 별의 색상은 우선 대기의 색상이며, 두번째 토양 및 얼음 등의 색상입니다. 대기의 색상으로 산소나 수소가 있는지 예측 가능하며, 토양의 색상, 얼음이 존재 하는지~ 믈의 확보 정도 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1
0
0
레일건이 작동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레일건의 원리는 플뢰밍의 왼손법칙과 앙페르의 오른나사 법칙에 기반한다.앙페르의 오른나사 법칙에 의해 나사의 끝 부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나사의 나사산 방향으로 자력선이 형성되는데, 자계를 형성하더라도 자계의 방향을 한 곳을 상쇄시키지 못하면 강한 힘을 발생시킬 수 없기에, 형성된 자계가 한쪽 방향으로 극단적으로 형성되어 최대한 힘이 발생할수있도록 레일과 발사체의 위치를 ㄷ 자로 만들어 전류를 흘리도록 한다. 포신의 역할을 하는 두 개의 전도성 레일을 나란히 놓고 양쪽에 강한 전압을 건다.[4]그리고 레일 사이에 전도성 탄자를 넣으면 탄자를 통해 전류가 흐르며 회로가 형성된다. 이때 레일에 흐르는 전류가 형성한 자기장은 전류가 흐르는 탄자에 로렌츠 힘을 가하고, 이 힘으로 탄자를 가속하여 빠른 속도로 발사하는 것이 레일건의 기본 원리이다. 탄환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기존의 폭약으로 발사되는 탄환과는 달리 충분히 큰 전류만 공급된다면 탄환에 매우 큰 힘이 작용할 수 있게 된다. 흐르는 전류가 클수록, 레일의 길이(=힘을 가하는 시간)가 길수록. 위력은 비례하여 강해진다.간단히 말해, 탄자를 레일 사이에 놓으면 회로가 형성되고, 그 회로 안에는 일정한 자기장이 형성되지만, 자기력선은 서로 멀어지려고 하므로, 레일보다 훨씬 가벼운 탄자를 날리는 것이다.
학문 /
기계공학
23.07.21
0
0
매미가 여름한철만 살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매미는 애벌래 시기가 깁니다. 7년 이상 땅속에 있다가 죽기전 마지막해 여름에 변태와 탈피를 통해 매미 성충으로 돠어 소리내고 죽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1
0
0
우리나라는 예전과 달리 온도가 높아지고, 겨울이 짧아지는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기후 온난화가 지속되면 아열대성 기후로 변화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즉 봄, 가을, 겨울이 짧아지고 여름이 길어집니다.
학문 /
화학
23.07.21
0
0
요즘 날씨 변화는 왜생기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날씨의 영향은 고기압 기단과 저기압 기단의 충돌 및 정체 그리고 세력싸움으로 인해서 발생합니다. 기단의 힘 차이에 따라 한국 위 아래로 움직이다가 힘이 비등해지면 정체되어 한 곳에 폭우를 쏟아버립니다.
학문 /
화학
23.07.20
0
0
핵분열 발전, 핵융합 발전의 차이와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핵분열과 핵융합은 비슷한 이름에도 불구하고 정반대 성격을 갖고 있다.핵분열은 말 그대로 하나의 무거운 원소를 분열시키며 에너지를 만들고, 핵융합은 가벼운 원소들이 융합하면서 에너지를 만든다.이중 핵분열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원자력 발전의 원리가 된다.이를 위해선 무거운 원자핵(우라늄)이 외부에서 낮은 에너지를 가진 중성자(열중성자)와 충돌하는 과정이 필요하다.중성자와 충돌한 원자핵은 각기 다른 원자핵 2개로 분열되며 중성자 2~3개와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되고, 이 에너지로 물을 끓여 터빈을 돌리는 방식으로 '원자력발전'이 이뤄진다.이미지 갤러리 가기원자력발전은 핵분열 과정에서 나오는 에너지로 물을 끓이고, 그 물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사진은 신고리 1, 2호기. 출처: 한국수력원자력반면 핵융합은 수소와 같은 가벼운 원소들이 합쳐지는 과정이다. 이들 원자핵을 초고온으로 가열시키면 원자핵 간 거리가 가까워지며 강한 핵력에 의해 결합하게 된다.이 과정에서 역시 어마어마한 에너지가 발생한다. 태양이 내뿜는 엄청난 에너지가 바로 이 핵융합을 통해 만들어진다.핵분열과 핵융합 모두 막대한 에너지 획득이 가능하면서도 탄소배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대신 핵분열의 경우 방사성 폐기물이 발생하므로 높은 수준의 관리가 필요하다.반면 핵융합은 원료인 중수소와 삼중수소의 고갈 가능성이 거의 없고, 방사능으로부터도 안전하다.다만 1억˚C가 넘는 플라즈마 상태를 약 300초 이상 유지해야 하기에 아직까진 연구 단계에 머물러 있다.핵융합발전은 지난 2021년 11월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이 만든 한국형 인공태양 KSTAR가 30초 동안 플라즈마 유지에 성공하며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이에 더해 총 34개국이 참여하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설치가 완료되면 핵융합 발전의 가능성은 더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학문 /
화학
23.07.20
0
0
무거운 배는 어떻게 바다에 떠 있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배 하단부에 보면 비어있는 공간이 있습니다 공기가 차 있구요. 물고기의 부래와 같은 역할을 하며, 무거운 철근의 배를 뜨게 하는 원리 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9
0
0
지구온난화로 인한 식량 위기 올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온난화로 우선 사막화가 진행중입니다. 그럼 경작할 땅이 없어지구요. 빙하가 녹아서 대륙의 절반이상이 물에 짐기게 됩니다. 이미 식량 위기는 진행되고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7.19
0
0
바디워시와 비누의 차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인 비누에는 계면활성제나 기타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하지만 바디워시에는 계면활성제 및 다른 첨가물이 들어 있어서 피부 타입에 따라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7.19
0
0
음극재에 그라파이트가 믾이 들어가는 이유?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다음은 음극제 그라파이트에 대한 설명입니다.디스 차지 상태가 최초 배터리를 만들었을 때상태입니다.여기에 전기를 공급하면anode reaction 이 일어나게 되며 충전이 되어리튬과 그라파이트가 결합을 하게 됩니다.그래서 음급재를 Anode Active Material 이라고도 합니다.음극재는 육각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고한 면이 0.142 nm(나노미터)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19
0
0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