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블랙홀은 어떤 방식으로 관측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만약 블랙홀이 존재한다고 해도 빛조차 빠져나올 수 없는 블랙홀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 것인가? 블랙홀이 우주 공간에 홀로 존재한다면 찾을 방법이 없다. 하지만 블랙홀이 다른 별과 쌍성을 이루고 있다면 블랙홀을 찾는 것이 가능하다. 블랙홀 주변으로 빨려 들어가는 물질은 블랙홀 주위를 맴돌면서 수백만 도로 가열되므로 에너지가 강한 X선이 튀어 나오게 된다. 따라서 이 X선을 관측하면 블랙홀을 발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4
0
0
수소차는 왜 공기 오염이 안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가 산소와 만나서 전기와 물을 생성하게 됩니다. 그렇다보니 오염원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학문 /
화학
23.06.24
0
0
지구 자전과 24시간이 차이나는데 몇십억년에는 자전과 하루24시간차가 다르게 나는게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자전은 일정하지 않다. 2020년에 자전 속도가 빨라진 후 이제는 안정되었다. 그러나 전문가는 앞으로 10년 동안 여전히 '음(마이너스)의 윤초'가 필요할 수 있다고 말한다.평균적으로 지구의 하루는 86,400초이다. 그러나 지구의 자전은 완벽하게 일정하지 않다. 그것은 지구의 핵(내핵-외핵)과 바다, 대기의 움직임에 따라 항상 약간씩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협정세계시(UTC)의 공식 국제시간 측정방식은 원자시계를 기반으로, 바닥상태(基底狀態)에 있는 원자에서 전자의 움직임으로 시간을 측정한다. 원자시계는 정확하고 불변이다.따라서 지구의 자전과 원자 시계가 딱 맞아떨어지지 않을 때 그 차이를 보정해야 한다. 국제지구자전-좌표국은 두 시간 체계 사이의 차이가 0.9초 이상이 되면, 윤초를 적용해 인위적으로 시간 오차를 해소한다. 지구 자전 속도가 느려져 한 번 자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24시간에 0.9초를 더한 만큼 늘어나고 세계시의 하루가 길어지면, 거기에 맞춰 협정세계시에 1초를 더하는 ‘양(+)의 윤초’(positive leap second)를 시행한다.2016년 12월 31일 23시간 59분 59초에 윤초가 추가된 2016년 새해 전야처럼 때때로 윤초가 추가된다.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1972년 이후 평균적으로 약 18개월마다 윤초를 추가했다. 1초를 빼는 것을 '음의 윤초'라고 한다. 지금까지 국제시간 측정에서 음의 윤초는 없었지만, 2020년에는 음의 윤초가 필요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 해에 지구의 자전 속도는 빨라져 2005년에 세운 최단일 기록을 깨뜨렸다. 2020년의 가장 짧은 날은 7월 19일이었다. 지구 행성은 평균 86,400초보다 1.4602밀리초(천 분의 1초) 빠르게 1회 자전을 완료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4
0
0
지구 내핵안에 또다른 금속핵이 발견되었다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파가 철과 니켈 합금으로 된 내핵을 통과하는 각도에 따라 속도가 느려지거나 빨라지는 것을 분석해 내핵의 외부와는 다른 내부 구조가 존재하는 것을 추론해 냈다.이런 차이는 고온고압 환경에서 철 원자의 배열이나 결정(結晶)으로 유발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됐다.연구팀은 내핵 안 핵의 존재는 지구의 진화단계에서 내핵의 결정 구조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대형 사건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해주는 것이라고 했다.논문 교신저자인 ANU의 탄 손 팜 박사는 "내핵 안 금속 구체의 존재는 20년 전에 처음 가설로 제기된 것으로, 이번 연구는 이 가설을 입증하는 또 하나의 증거를 제공해주는 것"이라고 했다.그러면서 내핵 안 핵의 존재는 철과 니켈의 합금 형태로 내핵과 성분이 유사해 지금까지 제대로 확인이 이뤄지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4
0
0
블루투스 이어폰의 거리는 어느정도까지 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기기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블루투스는 근거리 통신이라 많은 거리를 통신 하지는 못합니다. 보통 도시에서는 벽이나 건물 및 지형지물이 많아서 80m내외로 보시면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6.24
0
0
지구 중심 코어의 온도는 어느정도 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내부는 방사성 물질이 내는 열에너지와 자체의 압력에 의해서 깊어질수록 온도가 높아집니다. 맨틀 바로 아래의 외핵은 높은 온도에 의해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고 보며, 중심부의 내핵은 너무 강한 압력으로 인해 물질이 녹지 못하고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봅니다.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외핵의 바깥은 3,500℃ 정도, 내핵과 외핵의 경계는 6,300℃, 내핵의 중심은 6,600℃로 추정하고 있다. 태양의 표면 온도가 6,000℃인 것에 비교한다면 지구의 내부는 상상외로 뜨거운 곳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4
0
0
VR로 멀미를 느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몸은 그대로 있는데 시각적으로 움직임을 느끼고 있다보니 뇌가 움직이거나 이동 하는 것처럼 느끼게 됩니다. 몸과 정신이 다른 반응을 나타내다 보니 멀미를 느끼게 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6.24
0
0
공부머리는 선천적일까요? 후천적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공부는 후천적입니다. 공부 하는 습관과 노하우가 만들어지고, 원리를 알게 된다면 공부가 재미있고 쉬워 집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6.24
0
0
영화 존윅을 봤는데 현실적으로 방탄수트같은게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방탄 수트도 제작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방탄기능을 위해서 일정 이상의 두께가 있다보니 관절부분은 움직여야 해서 방탄 기능을 못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4
0
0
나무와 나무 혹은 돌과 돌을 부딪혀 점화시키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나무와 나무를 갈면 열이 발생하면서 나무 부스러기에 열에 의해서 불이 나게 됩니다. 돌의 경우에는 돌끼리 부딪히면서 스파크, 불꽃이 발생해서 불이 나게 됩니다. 파이어스틱이 그것입니다.
학문 /
물리
23.06.24
0
0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