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마스크 원리가 통발의 원리와 비슷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 필터 마스크는 일종의 부직포 필터로 매우 가는 섬유를 겹쳐서 필터 기능을 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일반적인 부직포와는 제조단계부터 차이가 있는데 섬유를 뽑는 방사단계에서 전위차를 두어 섬유 자체가 정전기를 띠도록 대전시켜 제조되기 때문입니다. 섬유가 뽑혀져 나오는 노즐과 뽑혀진 섬유가 겹겹이 쌓이면서 겹쳐지는 위치에 전압을 걸어주는 구조로 제작된다고 합니다. 전기방사된 고분자 재료는 고분자 나노섬유를 생성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용융된 폴리머가 에미터의 오리피스 밖으로 밀려나면서 양으로 대전된 폴리머 용융물이 튀어나와 음으로 대전된 컬렉터 쪽으로 끌어당겨지고 에미터와 컬렉터 사이의 거리에 걸쳐 빠르게 냉각되어 전기적으로 대전된 폴리머 나노섬유가 생성됩니다.KF95, N95 같은 정전기 필터 마스크는 부직표이므로 섬유 기공보다 큰 입자들에 대해서는 물리적인 여과를 시키고 기공보다 작은 바이러스 같은 것들은 정전기를 이용해 하전된 단백질(Covid-19 바이러스)을 제거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9
0
0
천재라도 인간은 평생 뇌의10%? 정도만 사용한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은 뇌가 가진 능력을 100% 다 사용하지 못하고 일부만 사용한다는 대중심리학과 관련된 오래된 속설. 과학적으로 입증되지도 않은 유사과학이지만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말했다는 출처 불명의 소문이 퍼지면서 더욱 잠재우기 힘든 편견이 됐다. 당연하지만 아인슈타인은 뇌과학이나 신경과학과는 무관한 물리학자이며 아인슈타인이 이렇게 말했다는 기록은 어디에도 없다. BBC 기사 여기에 '아직 과학적으로 나머지 90%에 무슨 능력이 있는지 밝혀지지 않았다'라는 속설까지 덤으로 퍼졌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9
0
0
겨울에는 삼한사온이 나타나는데 그 주기는 어떻게 정해지죠?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차가운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으로 한파가 오고 더운 남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온화해 집니다. 예전에는 삼한 사온 이였지만, 지금은 기후위기 및 온난화로 인해서 한파가 길어지고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2.19
0
0
식물을 키울때 음악들려주고 하면 더 잘자란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이 임신을 하면 태교를 하잖아요~ 좋은 음악, 좋은 영상, 좋은 책을 읽어주면 태아가 좋게 자라나는 것처럼 동물이든, 식물이든 좋은 노래를 들으면 질 자라겠죠
학문 /
생물·생명
22.12.19
0
0
고기압의 영향을 받으면 더 추워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북서쪽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으로 한파가 몰아 닥칩니다. 요즘 한파라 추워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9
0
0
수돗물을 끓이면 소독약냄새가 나는데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수돗물은 공급과정에서 일반세균과 대장균 등 미생물이 번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정수센터와 배수지 등에서 염소를 필수적으로 투입하는데, 안전하면서도 맛있는 수돗물을 위해서는 수도꼭지까지 염소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돗물에서 나는 염소 냄새는 수돗물이 수인성 질병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증거지만, 시민들에게는 수돗물 이용을 불편하게 느끼게 하는 요소다.□ 서울물연구원은 염소냄새가 없으면서도 수질 안전성이 뛰어난 수돗물을 각 가정까지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해 수도꼭지 잔류염소농도를 정밀 제어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염소 냄새 제어기술’을 자체 개발하고 특허등록을 완료했다고 15일(목) 밝혔다.○ 특허등록 기술명은 ‘상수도관 잔류염소 제어방법’으로, 상수도 배급수 계통 중 잔류염소 취약지역인 수도꼭지의 잔류염소 값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다. (등록번호: 제10-2415636호)□ 시가 개발한 ‘염소 냄새 제어기술’은 수돗물의 수도관 체류 시간이 길거나, 기온변화 등으로 잔류염소가 감소하는 ‘잔류염소 취약지역’의 실시간 염소소모량을 계산하여 맞춤형 염소 투입과 제어가 가능하다.○ 정수센터에서 생산한 수돗물이 공급과정 중 수도관에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염소가 휘발하여, 적정 잔류염소 수치에 미달해 수질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염소를 과도하게 투입하면 수돗물의 물 맛을 저해한다.
학문 /
화학
22.12.19
0
0
별자리중에 북두칠성을 보고싶으면 어디쪽??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는 위도에 따라 다르지만 서울을 기준으로 할 경우 손잡이 끝인 알카이드를 제외하면 모두 주극성이라 1년내내 북쪽 하늘에서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 모습을 볼수있다.[4] 따라서 1년 내내 볼 수 있지만 겨울에는 낮은 위치에서 관측되므로 관측 조건에 따라 일부 별들이 보이지 않을 수 있다.밝은 별이 어쩌다 우연히 7개가 모였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북두칠성은 사실 천문학적으로도 의미 있는 천체이다. 북두칠성의 양 끝별, 즉 알파성과 에타성을 제외한 나머지 별들은 모두 비슷한 방향으로 운동하는 큰곰자리 운동성단의 구성원이기 때문. 큰곰자리에 위치한 별 13개를 중심으로 하늘 여기저기에 퍼진 별들의 그룹인데[5], 이들은 과거에 동일한 성운에서 탄생한 산개성단의 구성원들이었다고 추정된다. 현재는 별의 밀도가 너무 느슨해졌기 때문에 성단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 그룹임은 확실하다.(태양계에서 약 80광년 떨어졌다. 이 다음으로 가장 가까운 운동성단은 화가자리 베타 운동성단이다.) 한때 태양과 시리우스도 이 그룹의 일원이라는 주장이 있었으나 현재는 나이 차이 때문에 거부되었다. 태양은 너무 오래됐고(약 50억 년), 시리우스는 운동성단의 나이에 비해 너무 젊다(2~3억 년). 참고로 운동성단의 평균나이는 약 5억 년이라고 추정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9
0
0
3D영화의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사람이 세계를 3D로 인식하는 이유를 알아보자. 사람은 두 개의 눈으로 사물을 본다. 이 때 오른쪽 눈과 왼쪽 눈으로 보는 사물은 차이가 있다. 앞에 놓인 물체를 오른쪽 눈을 가리고 왼쪽 눈으로 보고 다음에는 왼쪽 눈을 가리고 오른쪽 눈으로 보자. 두 눈이 보는 사물이 각각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cm 정도 되는 두 눈 사이의 거리 때문에 이러한 차이가 생기고, 차이가 있는 두 눈의 2차원 영상 신호가 뇌에서 합쳐져서 입체감, 원근감으로 완성되는 것이다.그러므로 3D 영화를 즐기기 위해서는 좌우 차이가 있는 영상을 만들어야 하고, 두 눈이 이 영상을 각각 받아들여야 한다. 차이가 있는 영상 신호의 가장 원시적인 형태가 '애너그리프 1) (anaglyph)‘ 이미지이다.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해 좌우의 차이가 있는 영상을 각각 붉은 색 필터와 푸른 색 필터를 이용해 촬영한다.이 영상을 겹쳐놓고 특수 안경으로 관찰하면 영상은 입체적으로 느껴진다. 특수 안경은 한 쪽에는 붉은 필터, 다른 쪽에는 푸른 필터가 끼워 있으므로 붉은 필터로는 붉은 영상을 볼 수 없고, 푸른 필터로는 푸른 영상을 볼 수 없다. 두 눈에 각각 다른 영상이 들어오고 뇌에서 합쳐져 검은 색의 3차원 영상으로 지각된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9
0
0
책을 읽다 보니 날짜 변경선이 왜?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날짜변경선은 경도 0도인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의 180도 반대쪽인 태평양 한가운데(경도 180도)로 북극과 남극 사이 태평양 바다 위에 세로로 그은 가상의 선이다. 이 세로선은 같은 시간대 내에 속한 지역에 대해서는 날짜가 달라서 올 수 있는 혼란을 피하기 위해, 사람이 사는 섬이나 육지를 피해서 동일지역은 하나로 묶어 기준선을 만든다. 또한 관련 국가의 결정에 따르므로 실제 정확한 직선은 아니며 좀더 복잡한 모습을 보인다. 즉, 북으로는 미국의 알류샨 열도를 지나 러시아의 캄차카 반도, 남으로는 뉴질랜드 동쪽으로 일부 휘어져 있다. 이 선을 기준으로 하여 서에서 동으로 넘을 때는 날짜를 하루 늦추고, 동에서 서로 넘을 때는 하루를 더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9
0
0
핸드폰은 왜 날씨가 추우면 꺼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핸드폰 베타리인 리튬이온 베터리가 추위에 약합니다. 추운 곳에서 성능이 떨어지며, 쉽게 방전됩니다.
학문 /
화학
22.12.19
0
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