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산소가 없어도 살 수 있는 생물이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산소없이 사는 동물들이 지중해 심해에서 최초로 발견됐다고 라이브사이언스닷컴이 8일 보도했다.과거 심해나 지하 깊은 곳에서 산소없이 사는 다양한 단세포 생물체들이 발견된 적은 있으나 지금까지 산소없이 사는 다세포 생물 또는 후생동물이 발견된 적은 없었다. 예를 들어 열수(熱水) 분출공으로 사는 서관충(棲管蟲)은 물에 녹아있는 용존(溶存) 산소에 의해 살아간다.ADVERTISEMENT이탈리아 안코나 소재 마르케 공과대학의 로베르토 다노바로 교수 연구팀은 지난 10여년간 지중해 해저 3천250m 이하 염분이 많은 바닥에서 채취한 진흙 표본에 생물체가 서식하는지 조사하기위해 그리스 남부 연안을 세차례 탐사했다. 이 바닥은 산소가 전혀 없으며 독성 황화물로 덮여있었다.연구팀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타 미생물이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이 침전물에서 다세포 동물들이 발견됐다고 다노바로 교수가 밝혔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8
0
0
호흡시 폐 허파 아가미 피부외 다른 기관이나 방법으로 호흡하는 동물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가미를 사용하여 물 속에서 기체를 교환하는 외호흡. 호흡매질인 물은 항상 아가미의 표면을 흐른다. 이때 호흡매질이 흐르는 방향은 아가미 2차새엽(secondary lamella)의 모세혈관을 흐르는 혈액의 흐름과 반대이다. 이것을 역류증폭의 원리라고 한다. 따라서 2차새엽을 흐르는 혈액과 물 사이에는 항상 일정한 산소분압의 경사가 유지되고, 혈액은 물에 의해 항상 효과적인 산소포화가 이루어진다.폐는 공기 중의 산소를 세포에게 공급하고, 세포가 버리는 이산화 탄소를 몸 밖으로 배출하는 일을 해요. 숨을 들이마셔 폐로 들어온 공기는 폐 속에 나뭇가지처럼 퍼져 있는 ‘세기관지’를 통과해 그 끝에 달린 ‘폐포’에 도달해요. 폐포는 혈액 속 산소와 이산화 탄소를 교환하는 일을 하지요. 이처럼 폐를 통해 호흡하는 것을 ‘폐호흡’이라고 해요. 폐포는 포도송이처럼 생겼는데, 폐포 하나의 지름은 100~200 ㎛(마이크로미터. 1 ㎛은 백만 분의 1 m) 정도랍니다. 폐에는 무려 3억 개 정도의 폐포가 달려 있는데, 이렇게 폐포가 많은 이유는 폐와 공기의 접촉 면적을 늘리기 위해서예요. 폐포는 아주 가느다란 혈관인 ‘모세혈관’과 닿아 있어요. 모세혈관을 지나가던 ‘적혈구’는 폐포 곁을 지나면서 산소를 공급받는답니다. 적혈구는 혈관을 따라 몸속을 구석구석 돌아다니며 세포들에게 산소를 전달해요.
학문 /
생물·생명
22.12.18
0
0
꿀벌이 사라지면 지구가 멸망한다던데 정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꿀벌이 사라지면식물 중 일부는 수정을 못해서 열매를 맺지 못하게 되고이러한 열매를 먹고 사는 동물이라면 생존에 위협을 받습니다.인간의 경우 꿀벌이 사라질 경우 식량 부족을 겪을 수 있고 이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굶어 죽을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8
0
0
소금쟁이 같이 장력을 이용하여 물위는 걷는 생물은?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몸길이는 수컷이 11∼14 mm, 암컷이 13∼16 mm이다. 날개가 긴 것과 짧은 것이 있다. 몸은 긴 반달 모양이고 방수털이 조밀하게 덮였다. 머리는 튀어나와 있으며 겹눈은 크고 반구 모양. 홑눈은 작거나 없다. 더듬이는 4마디, 주둥이 또한 4마디이다. 무시형(無翅形)과 유시형(有翅形)이 있는데 유시형은 앞날개에 특이하게 막질부가 없다. 제7배마디옆판은 뒤쪽으로 튀어나와 가시 모양이고, 제7배마디배판의 뒷가장자리는 앞쪽이 V자 모양으로 굴곡이 졌다. 외부생식기의 밑마디는 원통형이다.앞다리는 비교적 짧고 넓적다리마디의 중앙부가 약간 부풀었으며 뒷다리 허벅지마디는 배 길이보다 길고, 가운데다리는 앞다리보다 뒷다리에 가까이 있다. 발목마디는 2마디이며 발목마디에 잔털이 많아서 물 위에서 몸 앞쪽을 떠받치는 데 사용된다. 가운뎃다리와 뒷다리는 가늘고 긴데, 뒷다리가 가장 길고 가운뎃다리가 미는 힘으로 물 위를 성큼성큼 걸어다닐 수가 있다. 발에 나 있는 잔털에는 기름 성분이 묻어 있어 물과의 반발작용을 일으켜 물을 퉁기는 역할을 한다. 뒷다리는 방향을 바꿀 때 사용된다. 앞다리가 나머지 다리에 비해 상당히 짧아서 모르는 사람은 소금쟁이 다리가 4개인 줄 안다.얘도 엄연한 노린재 그룹에 속하는 놈이다보니 취선이 있어서 특유의 구린 냄새를 풍긴다. 다만 노린재 하면 떠오르는 고약한 냄새가 아니라서 사람에 따라서는 오히려 달달한 향기 같다고 좋아하기도 한다고. 이 때문에 사투리에 따라서는 '엿장수'라고로 부르기도 한다. 일본어 명칭인 아멘보(飴ん坊)도 같은 맥락에서 나온 이름이다.참고흔히 표면장력의 예를 설명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벌레지만, 다리에 기름이나 비눗물을 떨구면 물에 젖은 종이배마냥 가라앉는다. 다리가 아닌 몸통부터 빠뜨리거나 발과 몸에 나 있는 털들을 밀어버리면 당연하게도 일반적인 물에서도 뜨지 못해 가라앉는다.[3] 다리에 있는 기름을 닦아버리면 가라앉지 않기 위해 물 위에서 계속 폴짝폴짝 뛰기도 한다. 기름이나 비눗물을 붓는 거 외에도 우유처럼 표면장력이 약한 액체 위에 아무것도 안 하고 올려놔도 금방 가라앉는다. 그 외에도 일상생활에서 쓰다가 버리게 되는 폐수 같은 안 좋은 물도 소금쟁이에게 어떤 악영향을 주는지도 금방 알 수 있게 된다.대부분 소금쟁이를 날지 못하는 곤충으로 인식하지만, 날개도 있고 날 수 있다. 장소를 옮기거나 할 때 날아 다닌다. 다만 보통 고인 물에서만 활동하고, 광대소금쟁이는 날개가 퇴화되어 흔적만 있기에 제대로 날지 못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8
0
0
우리나라 겨울에 눈오는 지역이...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산맥의 영향도 있구요. 비, 눈 구름이 태백산맥, 소백산맥을 넘어가면서 건조해 지기도 합니다.그래서 눈이 잘 내리디 않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8
0
0
중력이 없는 곳에서 물체가 움직이면 멈추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가 없는 진공싱태가 아니기에 중력이 없다고 해서 계속 돌아기는 것은 아닙니다. 공기의 저항에 의해 팽이는 멈추게 됩니다.
학문 /
물리
22.12.18
0
0
마그네틱용지가 환경에 좋지 않다던데 왜 그대로 쓰는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마그네틱용지가 환경과 인체에 좋지 않다는 말은 질 모르겠네요. 사용이 편이해서 인쇄도 잘되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8
0
0
과학적으로 무지개는 어떻게 어떤원리로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는 공기 속에 있는 물방울과 햇빛이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현상이에요. 공기 속에 떠 있는 작은 물방울이 햇빛을 받아 빛이 분산되어 나타나는 것이지요.햇빛은 우리 눈으로 보기에 색이 없어 보이지만, 실제로는 여러 가지 빛깔이 섞여 있어요.빛의 방향을 바꾸는 도구로 쓰이는 프리즘을 통해 보면 여러 색깔로 나뉘어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8
0
0
집에 식물을 키우면 정말 공기가 정화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정화식물은 실내 오염물질로 꼽히는 포름알데히드, 일산화탄소, 암모니아, 벤젠 등을 제거하고 미세먼지 정화, 실내 습도 조절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실내 공간을 아름답게 해주고 피로회복 및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합니다.공기정화식물의 공기 정화 방법은 1) 공기 중 오염물질이 잎의 기공을 통해 흡수 → 2) 잎의 증산 작용으로 수증기 방출 → 3) 잎의 증산 작용으로 압력 차이 발생, 오염 물질이 토양으로 이동 → 4) 뿌리 미생물에 의한 오염물질 분해 순서입니다.실내장식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도움을 주는 공기정화식물은 인테리어용으로 정말 좋은 소품이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8
0
0
고도가 높으면 호흡이 힘든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고도가 높을 수록 산소의 농도가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숨쉬기 힘들고 고신병과 같은 어지러움, 두통이 발생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8
0
0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