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콧물이 생기는 원인과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묽은 점액이 코 점막으로부터 흘러나오는 현상을 말한다. 콧물 양상은 대부분 맑고 물 같은 콧물이며, 발작적인 재채기와 눈, 코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원인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가장 흔한 것은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에서 동반되는 것으로 흔히 감기라고 부르는 현상이다. 재채기, 코막힘, 발열, 오한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이는 주로 1주일 정도 심했다가 좋아지는 급성 경과를 보인다.한편 만성적으로 4주 이상 콧물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그 원인이 알레르기성일 경우 알레르기성 비염이라 하며 눈 코 간지러움, 코막힘, 재채기 등의 증상이 자주 동반된다.비알레르기성으로 비염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혈관운동성 비염이 대표적이며 날씨나 뜨거운 음식을 먹는 등 체온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학문 /
화학
22.12.14
0
0
인간은 반드시 자야하는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잠은 면역력을 높이고 기억력을 향상시키며 성장기에는 몸이 자라게 한다.사람은 보통 하루에 여덟 시간, 잠을 자는 동안 우리의 몸은 백혈구의 활동을 활발하게 해 부족한 면역 물질을 만들어 내며, 몸 안에 쌓인 피로 물질을 분해하고 깨어나서 쓸 영양분을 준비한다.특히 성장 호르몬은 깊은 잠을 잘 때 많이 분비되기 때문에, 성장기의 어린이에게는 잠을 충분히 자는 것이 중요하다. 잠은 부족해진 신경전달물질을 보충해 주고, 깨어 있는 동안 배우고 체험한 것에 대한 정보들을 차곡차곡 정리하여 기억 저장소에 보관함으로써 다시 새로운 것을 익힐 수 있게 해 준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4
0
0
안방등 교체시 고려해야되는사항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전원을 차단해 주신후에 공구을 이용해서 전등 분리 및 조립하세요. 조립 시 설명서에 따라 안전하게 하시면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4
0
0
플랑크톤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조류(藻類, Algae)는 물속에서 광합성을 하는 식물플랑크톤조류는 수생태계 먹이사슬의 일차생산자로, 산소를 공급하고 동물플랑크톤의 먹이가 되는 등 육상의 식물과 같은 중요한 역할 수행조류는 크게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 기타조류 등으로 구분조류는 광합성을 통해 성장하므로, 이의 성장과 사멸은 빛(일사량), 수온, 영양염류(질소·인) 및 체류시간 등 환경조건에 큰 영향을 받음특히, 우리나라의 하천과 호소는 영양염류가 풍부한 상태이므로 주로 계절별 일사량과 수온의 의해 우점종(가장 많은 種)이 결정됨우점종에 따라 물 색깔이 갈색 옅은 녹색, 진한 녹색 등으로 변화녹조현상이란 여름~가을철에 우점종을 차지하는 남조류에 의해 하천과 호소의 물빛이 진한 녹색을 띠는 현상을 말함특히, 남조류 중 일부 종은 냄새물질(Geosmin, 2-MIB)과 독소(간 독소, 신경독소)를 배출하여 물의 심미적 가치와 안전성을 떨어뜨림물색 변동 및 이취미 발생 등 심미적인 영향과 일부 조류는 정수처리시설의 여과지 폐색 등 수처리 장애 및 수돗물에서의 이취미를 발생시킬 수 있음대량 발생시(수화현상 : Waterbloom) 수체로의 햇빛차단, 용존산소 감소, 독소에 의한 어류 폐사 등 일시적으로 생태학적인 불균형을 유발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영향이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음
학문 /
생물·생명
22.12.14
0
0
식물플랑크톤 과 동물플랑크톤 중 어느게 많아야 수질이 좋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물속에서 물결에 따라 떠다니는 작은 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수중생물을 생태적으로 구분한 한 무리로서 부유생물이라고도 한다. 스스로 운동능력이 전혀 없거나 또는 아주 약하고 수동적으로 행동하는 생물을 가리킨다. 1차 생산을 담당하는 식물성플랑크톤을 비롯하여 이를 먹이원으로 하는 포식자인 동물성플랑크톤, 그리고 박테리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통분류군이 포함된다.다양한 계통분류군이 포함되다 보니 다양한 크기가 존재한다. 모든 플랑크톤이 현미경으로나 간신히 관찰할 수 있을만큼 크기가 작은 것은 또 아니다. 플랑크톤의 크기는 1마이크로미터 이하부터 수십 cm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에 따라 유영능력이 없는 일부 해파리, 또는 해파리의 유생도 포함된다. 이런 유형은 크기가 수m에 달하기도 한다. 식물성 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 박테리아(세균)성 플랑크톤으로 크게 나뉘는데, 보통 식물성 플랑크톤 쪽의 생물량이 많다.식물성 플랑크톤에는 규조류[1]·남조류·녹조류·편모조류 등이 있으며 동물성 플랑크톤에는 원생동물(유공충 등) ·강장동물(빗살해파리류) ·윤형동물(윤충류) ·환형동물(다모류) ·연체동물(복족류 등) ·절지동물(갑각류 중의 요각류 등) ·모악동물(화살벌레류) ·극피동물(해삼류) ·척삭동물(살파류)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동물성 플랑크톤은 1차 생산자인 식물성 플랑크톤 및 일부 박테리아에 대하여 2차 또는 그 이상의 소비자 입장에 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4
0
0
달에서 살수는 없나요? 궁금합ㄴ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대기가 없는 점, 중력 문제, 물 존재 미 확인 등 안직은 살기 어렵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4
0
0
지구의 평균 온도가 5~6도 올라가면 다시 생물의 대멸종이 일어날거라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온도로만 따지면 현재보다 평균 기온이 5도 이상 높았을 때가 존재했습니다 그때도 지구가 잘 버텼던 거 보니 온도 상승으로 지구가 터질 일은 없어보입니다 더위에 인한 해수면 상승 등으로 인류가 사라지면 모를까 지구는 그냥 태양의 수명이 약 50억년 남았으니깐 그 때까지 멀쩡할 거 같습니다인간이 멸종할 날은 여태까지 과거에 살았던 생명체들도 어떠한 지구 내/외적 영향을 받아서 어느 순간에 멸종한 것이기 때문에 언제 멸종할지 가늠하기는 힘듭니다
학문 /
화학
22.12.14
0
0
아폴로11호가 찍은 달사진은 왜 깜깜하죠? 낮인데.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는 어둡습니다. 태양 빛이 안 비치는 곳은 암흑이구요~ 빛이 비치는 곳도 그림자가 비치는 곳입니다. 낮이라 해도 대기가 없어서 빛이 산란되지 못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4
0
0
물을 꿇이면 바닥에 기포가 생기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을 가열하면 물속에서 작은 기포가 생깁니다. 가열할수록 기포의 크기와 수는 증가하는데, 이 기포는 물이 수증기로 변한 것입니다. 물의 표면과 내부에서 모두 기포가 발생하면서, 액체인 물이 기체인 수증기로 변하는 현상을 끓음이라고 합니다. 비커의 물이 줄어든 까닭은 액체인 물이 기체인 수증기로 되어 공기 중으로 날아갔기 때문입니다.음식을 만들 때나 차를 끓일 때 물이 끓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물이 끓을 때 나오는 수증기나 김을 이용하여 음식을 만들기도 합니다.
학문 /
화학
22.12.14
0
0
겨울에는 왜 다른 계절보다 정전기가 많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대기가 상당히 건조하다 보니~ 작은 마찰에도 정전기가 발생하게 됩니다. 옷을 입다가도, 악수를 하다가도~
학문 /
화학
22.12.14
0
0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