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별똥별 이 왜 별똥별이라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유성이란 흔히 말하는 별똥별을 뜻한다. 이 유성은 혜성, 소행성에서 떨어져 나온 티끌, 또는 태양계를 떠돌던 먼지 등이 지구 중력에 이끌려 대기 안으로 들어오면서 대기와의 마찰로 불타는 현상을 말한다. 하루 동안 지구 전체에 떨어지는 유성 가운데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수없이 많으며, 유성이 빛을 발하는 시간은 1/수십 초에서 수 초 사이이다.밤하늘의 별똥별, 유성.1 유성은 우주의 먼지가 대기로 들어오면서 마찰로 불타는 현상유성체란 행성 사이의 우주 공간을 떠돌아다니는 소행성보다 많이 작고, 원자나 분자보다는 훨씬 큰 천체를 말한다. 하지만 커다란 유성체는 작은 소행성 크기 정도로 둘을 구분하는 명확한 경계는 없다. 혜성에 기원을 둔 유성체의 밀도는 약 0.3g/cm³이나, 쌍둥이자리 유성우처럼 소행성에 기원을 둔 것으로 생각되는 유성우의 유성체 밀도는 약 2g/cm³로 높다. 유성체 자체가 밀도가높아 단단하면 다른 유성들에 비해 긴 흔적을 남긴다.유성체는 보통 약 100km 상공(지구 상층대기)에서 빛을 내기 시작하며, 그 속도는 11km/s에서 72km/s에 이르기까지 큰 폭을 갖는다. 유성체는 크기가 작지만 운동 에너지는 대단히 커서 대기 분자들과 충돌하면서 금방 타버리며, 크기가 클수록 밝고 상대적으로 오래 보이고, 작은 크기면 약하게 잠깐 빛을 내기도 한다.2 유성이 비처럼 쏟아질 때, 유성우유성우란 다수의 유성이 한꺼번에 떨어지는 모습이 마치비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유성우의 정체는 혜성이나 소행성들의 찌꺼기로, 이 천체들이 타원 궤도를 그리며 지구의 안쪽 궤도로 진입할 때 지나간 자리에는 천체들에서 유출된 많은 물질들이 남는다. 따라서 매년 주기적으로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다가 혜성이나 소행성들이 지나간 자리를 통과하게 되면 그곳의 찌꺼기들이 지구의 중력에 이끌려 대기권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것들은 유성우가 되어 우리에게 보이는 것이다. 유성체들이 대기와 충돌할 때 같은 방향의 유성들은 한 지점에서 방사되어 나오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 점을 복사점이라고 한다. 유성우의 이름은 복사점이 위치하는 영역의 별자리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4
0
0
음펨바 효과라는게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같은 냉각 조건에서 높은 온도의 물이 낮은 온도의 물보다 빨리 어는 현상으로, 1963년 탄자니아의 에라스토 음펨바(Erasto B. Mpemba)가 처음 발견했다고 해서 붙은 명칭이다.Mpemba effect(영어)음펨바 효과는 같은 냉각 조건에서 높은 온도의 물이 낮은 온도의 물보다 빨리 어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35℃ 물과 5℃ 물로 실험하였을 때 비교효과가 극대화된다. 1963년 탄자니아의 에라스토 음펨바(Erasto B. Mpemba)가 중학교 조리수업 시간에 아이스크림을 만들다가 뜨거운 상태의 용액을 얼렸더니 식힌 후 얼린 것보다 먼저 어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후 물리학자 데니스 오스본이 실험을 통해 이를 확인하고 1969년 해당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첫 발견자의 이름을 따 '음펨바 효과'라고 불리게 되었다. 음펨바 효과는 최근까지도 그 원리가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이에 2012년 영국왕립화학회는 음펨바 현상의 기작 규명에 1000파운드의 상금을 걸기도 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4
0
0
하품소리를 들으면 졸리고 왜 하품을 따라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하품을 하는 이유[광고]드시모네 유산균 처음이라 고민된다면? 아기부터 성인까지 온가족을 위한 체험팩 구성 73% up to지금 구매하기AD잠 부족첫 번째로 알려드릴 점인데 주 요인은 자는 양이 충분치 않게 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잠이라고 하는 것을 우리 육체를 쉬어주는 일을 하므로 제대로 이뤄지지 않게 되면 뇌 온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올라간 것을 식혀주기 위하여 하품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뇌.온.도 떨어뜨려주는 일을 하는 것입니다체온 유지신체 온도 유지를 해주기 위하여 할 수 있습니다. 뇌로 전달이 되는 혈액이 너무 뜨거워지게 되면 인체는 하품하면서 찬 공기를 마시고 더운 것은 내쉬게 됩니다. 이로 인해 정상적인 체온이 지속되게 도와줍니다피곤몸에 피로가 축적되면 뇌로 전달되는 산소량 감소하고 이산화탄소 양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때 우리 몸은 산소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 내보내기 위하여 입 크게 벌리게 되고 닫는 동작을 하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부비동이 크게 팽창하고 많은 양의 산소를 체내로 공급하여 균형을 맞추는 기능을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환기만약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밀폐된 장소에 오랫동안 머문다거나 좁은 곳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어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사실 가끔 하게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생리현상에 가깝다고 볼 수 있지만 횟수가 너무 많다면 건강에 트러블이 있거나 질병 발생 신호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하품 전염본인이 하는 것뿐 아니라 주위 사람이 하는 모습을 한다거나 소리만 들어도 전염이 되어 할 때가 있습니다. 이렇게 되는 이유는 공감 능력, 감정이입 능력 때문이라고 합니다. 감정 담당을 하고 있는 뇌 전두엽이 발달할수록 빈도수가 더 높아진다고 합니다. 가족, 친구 등의 가깝고 친한 사이일수록 따라 하게 될 확률이 더 높아진다고 하니 참고하도록 합시다
학문 /
토목공학
22.12.14
0
0
음악의 아름다움이 수학과 관련되어 있다는데?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중세의 음악이론 속에는 고대의 기본 개념들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특히 음악의 본질이 비례와 수라는 피타고라스적 개념이 그랬다. 음악은 수를 다루는 기술 혹은 학문이라는 카시오도로스의 이념을 따라서 중세인들은 음악을 미학보다는 수학과 더 밀접하게 연관지었으며, 음악을 예술로 보기보다는 학문으로 간주한 측면이 더 컸다.중세의 음악개념은 우리 시대의 음악개념보다 더 광범위했다. 중세적 개념에 의하면, 조화가 있는 곳에는 어디에나 음악도 있었다. 성 빅토르의 후고(텍스트 인용 1)는 “음악은 조화다”라고 썼고, 성 트론드의 루돌프는 “음악은 조화의 토대(ratio)다”라고 쓴 바 있다. 조화가 반드시 소리로 표현될 필요는 없었다. 움직임 역시 음악의 한 형식이었던 것이다.(텍스트 인용 2) 소리의 음악은 음악의 형식 중 하나에 불과했다. 소리에 대해 다루었던 중세의 저술가들이 있는가 하면, 조화와 비례의 추상적 이론만을 다루고 소리에는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저술가들도 있었다. 청각적인 면과 추상적인 면이라는 음악의 이런 이중적 측면은 고대의 음악이론보다는 중세의 음악이론에서 큰 특징이 되었다.음악에 대해서는 추상적인 개념이 주를 이루었다. 그것은 피타고라스 주의, 플라톤의 『티마이오스』, 보에티우스 등으로부터 유래된 것이었다. 이 개념에 의하면, 음악은 수학과 단순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만은 아니고 수학의 한 분과가 될 정도였다.비례의 개념이 음악에서 중심 개념이 된 이래로(텍스트 인용 3), 그리고 비례가 인간 정신의 사물이나 음악가가 고안해낸 것이 아니고 실재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믿게 된 이래로(텍스트 인용 4), 음악이론은 존재에 관한 이론이나 존재론의 한 분과로 간주되었다.(텍스트 인용 5)
학문 /
전기·전자
22.12.14
0
0
non destructive testing 즉 ndt의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비파괴검사(NDT)Non-Destructive Test제품을 파괴하지 않고 제품 내부의 결함이나 구조, 상태 등을 외부에서 확인하는 검사제품을 파괴하지 않고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검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검사방법은 다양한 산업에서 적용되고 있어 활용도가 매우 높은 검사 방법인데요 제품의 품질검사에서부터 건축물, 상하수도, 가스나 석유의 파이프라인, 항공, 선박, 철도 등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비파괴검사 종류】◆ 육안검사(VT) - 제품 및 구조물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찰하여 시험체에 결함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초음파 비파괴검사(UT) - 시험체에 초음파를 발사하여 돌아오는 신호를 확인하여 검사하는 방법◆ 방사선 비파괴검사(RT) - 방사선 투과하여 필름의 색이 변하는 것으로 내부를 검사하는 방법◆ 침투 비파괴검사(PT) - 표면에 염료 처리 후 세척과정을 거쳐 남아있는 염료를 통해 표면의 결함을 확인하는 방법◆ 자기 비파괴검사(MT) - 강자성체에 전자석 등으로 자성을 입히고 가공처리된 미세철분을 뿌려 표면과 그 아래의 불연속부의 누설자속 을 표시해 검사하는 방법◆ 와전류 비파괴검사(ECT) – 도체 주변에 코일 등으로 자기장을 만들면 도체에 전류가 유도되어 자기장이 형성되는 원리를 이용해서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
학문 /
기계공학
22.12.14
0
0
물과 얼음의 부피와 관련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 결합으로 응집해 있고, 일부는 따로 놀고 있다. 그런데 온도가 낮아질수록 물 분자의 분자 운동이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따로 노는 물 분자의 수는 줄어들게 될 것이고 결국 모든 물 분자들이 수소 결합에 참여하게 된다. 이때 물 분자들은 수소 결합하여 육각 고리 모양의 결정을 이뤄서 빈 공간이 생긴다. 이 빈 공간 때문에 얼음의 부피는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얼음의 구조위 그림처럼 육각고리 모양의 결정을 이룸으로써 생기는 빈 공간이 얼음의 부피를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그리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되면 육각 고리 모양을 이루는 수소결합의 일부가 깨짐으로써 빈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물과 얼음의 부피 및 밀도변화로 인하여 나타나는 현상 및 예시① 빙산 출처 : https://nownews.seoul.co.kr/ 빙산이 바닷물 위에 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빙산은 얼음이다. 얼음의 밀도가 작기 때문에 물 위에 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여담으로 빙하가 점점 녹고 있다고 한다. 큰일이다. ② 겨울에 잘 터지는 수도관 파이프물이 얼어 얼음이 되면 부피가 증가하게 되서 물이 흐르는 수도관이 터지게 된다. 수도관이 동파하여 단수한다는 소식 등은 겨울철에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다. ③ 물로 바위 깨기바위 틈으로 스며들어간 물이 겨울에 얼면 부피가 증가하여 바위를 쪼갤 수 있다. 이는 옛날부터 이용했던 방법이었는지 水滴穿石(수적천석)이라는 사자성어도 존재하는데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는 뜻으로, 작은 노력이라도 끈기 있게 계속하면 큰 일을 이룰 수 있다는 뜻이다. 하여튼 조상님들 똑똑하다. ④ 강 표면부터 얼음이 어는 현상겨울철에는 물 표면의 온도가 차가운 공기와 접하면서 4℃까지 낮아질 때까지는 표면 쪽의 물의 밀도가 커져 밀도 차이에 의한 대류가 일어난다. 물 표면 온도가 4℃이하로 내려가면 표면 쪽의 물의 밀도가 아래쪽의 물의 밀도보다 작아져서 더 이상 대류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표면의 온도가 그대로 0℃까지 내려가 표면부터 물이 얼게 되는 것이다.아주 중요한 내용으로 이러한 특성 덕에 추운 겨울에도 물속에서 물고기가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다. 만약 강 표면부터 얼지 않고 밑바닥부터 물이 얼게 된다면 수많은 물에 사는 생물들이 얼어 죽었을 것이다.
학문 /
화학
22.12.14
0
0
MaaS는 정확히 어떤 기술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MaaS란 기차, 버스 등 대중교통을 비롯해 택시, 공유차량 등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하나로 통합하는 것을 말한다. 이용자에게 목적지까지 가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이동수단에 대한 요금 결제 및 예약 등 모빌리티와 관련된 모든 서비스를 하나의 플랫폼 하에서 제공하는 것이 골자다.대중교통뿐만 아니라 공유자동차, 공유킥보드 등 다양한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들이 잇따라 등장하면서, 대중교통이 다소 불편한 여러 지역들을 보다 다채로운 방법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됐다. 이에 갖가지 이동 수단에 대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MaaS를 구현하는 대표 서비스로는 핀란드의 '윔(Whim)'이 꼽힌다. 지난 2016년 출시된 앱인 '윔'은 기차, 버스, 택시 등을 비롯해 공유자전거, 렌터카, 도보 등 다양한 이동수단을 하나의 앱으로 연계했다. 앱 내에서 출발지와 도착지를 선택하면 이들 이동수단을 모두 감안해 최적의 이동수단과 최단경로, 요금 등을 보여준다. 결제 역시 한 번에 가능하다.'윔'의 운영사는 핀란드 벤처기업 '마스 글로벌(MaaS Global)'로 회사 이름에서부터 'MaaS'가 들어갔다. 최근 1천100만유로(약 151억원)의 투자를 추가로 유치, 누적 투자 유치 금액을 7천500만유로(약 1천31억원)까지 늘렸다. 현재 핀란드의 수도 헬싱키를 비롯해 벨기에, 스위스, 오스트리아 빈, 일본 도쿄 등에서 서비스 중이며 점차 서비스 지역을 넓혀 나가는 추세다.'윔' 외에도 독일 '킥시트', 싱가포르 '비라인' 등이 Maa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관련 서비스가 본격화되는 추세다. 이는 국내 주요 모빌리티 업체들이 주목하는 방향이기도 하다. 카카오모빌리티를 비롯해 티맵모빌리티, 쏘카 등 주요 업체들은 일제히 MaaS를 목표로 내세우며 자신들의 앱 내에 다양한 모빌리티 관련 서비스들을 추가하고 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4
0
0
눈올때 염화칼슘을 뿌리면 녹는데 어떤 화확적 반응이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염화 칼슘이 녹는 반응은 발열 반응이어서 뿌려만 두면 습기를 흡수한 후 스스로 눈을 녹여가며 용해되는 장점이 있다. 동식물에게 무해한 편이나, 과량 섭취시 위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과량 사용 시 식물에게는 염해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낮은 온도에서 소금보다 훨씬 효능이 좋고 가격도 저렴해 이만한 제설제가 없다. 다만 소금과 마찬가지로 금속의 부식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금속으로 된 기계나 차량 따위에 닿으면 좋지 않다. 차량에 어느정도 방식처리가 되어있기는 하지만 연결부나 크고작은 흠집 부위 등 방식코팅이 벗겨진 곳으로 침투하면 소용없기 때문에 염화칼슘이 묻을 경우 가급적 빨리 세차를 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눈이 녹고 날이 풀려도 물이 더럽게 안마른다. 꽤 춥더라도 기온이 영상이라면 타이어 마찰열로 진작에 날아갔을 수분이 마르지도 않고 도로를 축축하게 유지시키는데다 일반적인 물보다 더 미끄럽다. 또, 앞차에서 튄 물방울이 앞유리에 묻고 마르면 염화칼슘 분진이 뿌옇게 들러붙어서 무조건 워셔액을 뿌려야 닦아낼 수 있다제설 말고도 무수물의 강력한 흡습성 때문에 제습제로도 사용된다. 흔히 볼 수 있는 "물먹는 하마"라는 제품에 들어있는 분말의 주 성분이 바로 이 물질이다. 집에서 제습제 만들어 쓰라고 인터넷에서 키트 형태로 염화 칼슘을 팔기도 한다.
학문 /
화학
22.12.14
0
0
물과 반응해서 폭발하는 물질은 물의 어떤 성질대문에 폭발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과산화나트륨이 물과 반응할 때의 변화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① 산화나트륨과 수소를 발생한다.② 물을 흡수하여 수소를 발생한다.③ 산소를 방출하며 수산화나트륨이 된다.④ 서서히 물에 녹아 과산화나트륨의 안전한 수용액이 된다.
학문 /
화학
22.12.14
0
0
태양열 충전 계산기는 수명이 무한 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내장된 배터리의 수명에 따라 달라집니다. 배터리에 문제가 생겼거나, 성능이 완전 저하 되었을때 사용이 어려울 수 있으며, 유한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4
0
0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