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영국을 왜 해가 지지 않는 나라라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국이 당시에 식민지가 많아서, 어느 시간대에도 영국의 영토는 해가 뜨고 있다는 것에서 나온 말입니다.당시 식민지를 포함한 영국의 영토는 전세계의 25%정도 엿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9.27
0
0
신라시대에는 몇 촌까지 결혼이 가능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대로 왕족이나 귀족사이에서는 친족 간의 결혼이 있었던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일반 시민들도 하는 사회전체적인 현상이었는지는 명확한 기록이 없습니다. 그래고 남매간 결혼도 가능했다고 주장도 있는데, 이것도 명확한 기록은 없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9.27
0
0
역사상 최초에 특허등록된 상표 및 상품등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초의 특허는 1449년 영국입니다. 존 웃핍턴이 "A Method for Making Stained Glass"라는 발명에 대해 특허를 받았습니다.그리고 상표도 영국입니다. 1876년 베이스 브루어리의 맥주 삼각형 로고가 첫 상표 등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9.27
0
0
흥선대원군은 어떤 이유로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시행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흥선대원군은 동아시아에서 일본의 팽창과 영향력 확대, 서구 열강의 지역 확장 시도에 맞서 조선의 독립과 안정을 유지하고자 했습니다.수교 거부 정책은 기본적으로 "강화도 조약" 체결 이후에도 외세와의 교역 및 외교 관계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에 기초한 것이었습니다. 강화도조약은 1876년 일본과 체결한 불균형 조약으로, 공격적인 개항 정책을 추진하던 일본에 의해 강요된 조약입니다. 그래서 대원군은 일본과 서구 열강으로부터 자주권을 지키고자 했고, 이를 위해 외부 세력과의 접촉을 최대한 줄이려 했다.실제로 대원군의 외교 관계 수립 거부 정책은 "물금사신주의", 즉 "왜구(왜인)와 양반(서양인)에게는 사신을 보내지 않는다"는 원칙에 입각한 것이었습니다. 이 원칙은 전통적인 쇄국주의 정치 철학인 '관동삼불가(중요한 문서를 주지 않는다)'에 따른 것으로, 대원군은 왜구와 양반을 모두 조선의 왕인 자신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들의 요구를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고 여겼던 것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9.27
0
0
러시아대통령 푸틴은 언제대통령에 당선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99년 입니다. 1999년 8월에 임시로 대통령직을 맡았고, 12월 에 대통령으로 당선됐습니다. 그리고 그뒤로 쭉 재선으로 현재 권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9.26
0
0
현시점에서 가장많은 핵무기를 보유한 나라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2020년 기준으로 6375개의 러시아가 가장 많습니다. 그리고 그 뒤로 미국이 5800개 순입니다.북한도 30-40개 정도로 추정됩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9.26
0
0
일본음반이나 잡지를 예전에는 정식으로 구매를 못하고 몰래 들여와서 청계천에서 팔았다고 하던데 일본 문화를 들여오는게 불법이었던 시절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45년 부터 1998년까지 일본의 음반, 영화, 잡지 등은 정식으로 수입하는 것이 금지되었습니다. 과거 역사적인 이유도 있고, 우리나라 문화가 이제 만들어지고 있는데 자리잡기 전에 일본문화로 쏠려 버릴까 하는 걱정이었다고 합니다. 또 정부도 힘을 강화하기 위해 그랬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하지만 비공식적으로 접하는 사람들의 요구와 외부적인 압력도 있었기 때문에 1998년부터 단계적으로 해제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9.25
0
0
우리나라의 안경은 언제 최초로 도입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사에서 1375년 중국에서 안경이 들어왔다, 조선왕조실록에 1436년에 중국에서 안경이 들어왔다 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처음 유입되기 시작한 것은 14세기 후반으로 보여집니다.그리고 경국대전 1475년에 안경을 만드는 장인을 양성하기 시작했다는 기록이 있어 이 후에 대중들에게 보급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9.24
0
0
제사나 차례지낼때 술잔을 향불위에서 두번돌려서 올리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술잔을 향불위에서 돌리는 것은 술잔을 깨끗히 씻고 정화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먼지 이물질을 제거하고 향의 기운으로 정화한다는 느낌입니다. 이런 과정으로 고인의 영혼에게 술을 바치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9.24
0
0
일본을 왜적이라고 부르게 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인들이 지금도 우리보다 평균키가 작은데 당시에도 비슷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왜소하다의 왜가 사용됐다는 말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9.13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