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명나라의 기틀을 만든 황제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명나라를 세운 주원저가 있습니다. 주원저는 홍우제라고도 얘기 했고, 원나라를 쫓아내고 중국을 재건했습니다.그 다음은 주원저의 손자인 영락제가 있습니다. 영락제는 영토를 더 확장했고, 그 덕에 멀리 인도나 아랍에도 명나라의 유명세가 높아졌습니다. 또 북경으로 수도를 옮기고 만리장성을 건설하며 명나라의 기반을 다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0
0
0
플라톤이 정의한 이데아라는 개념은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굴우화가 그리스 시민들이 동굴에 갇혀 있는 상태에서 그림자만으로 현실을 바라본다는 얘기입니다. 민주주의에도 한계가 있다는 뜻인데, 다수의 의견도 사람들의 편견이 있어 본질적으로 맞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가 있습니다.그래서 플라톤은 이데아를 아는 사람이 지도자가 돼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데아 현실에 있는 모든 현상과 사물의 본질과 이상적인 형태를 말합니다. 그러니까 현실에 있는 것들은 완벽하고 이데아라는 본래 형태가를 가지고 있다는 말입니다. 눈에 보이는 사물은 그 사물의 이데아의 일부이고 우리가 이 사물을 보고 정의하는 것들도 이 사물이 가지고 있는 이데아의 본질보다는 미치지 못한다는 개념입니다. 약간 깨달음(?) 같은게 동반되는 철학적인 개념입니다.
학문 /
철학
23.07.10
0
0
미켈란 젤로가 설계한 건축물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장 유명한건 성 베드로 대성당일 것입니다. 바티칸 시티에 있습니다.그리고 피렌체에 있는 메디치 가문의 도서관과, 로마에 있는 카피톨리오 광장, 파르티아노 궁전이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7.10
0
0
명나라의 방효유는 어떤 인물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방효유는 영락제의 사람으로서 서로 존중을하고 신뢰하는 사이였습니다. 방효유가 영락제 정책에 안좋게 얘기를 해도 충고를 받아들였다고 전해집니다. 영락제가 명나라를 세우고 영락제의 신임으로 총관부사, 사직부사 등의 지책에 오릅니다. 오늘 날에는 영락제와 함께 명나라의 초기 기반을 다진 사람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0
0
0
조선시대 내시는 누가 지원해서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 말씀대로 아무나 할수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부모가 양반계급이어야 했고, 남성에 결혼을 하지 않았거나 결혼 후 아내가 사망했어야 가능했습니다.궁중의 예절을 잘 지켜야 했어서 어느정도 유교나 문학 등에 바탕이 깔린 사람이었어야 했습니다. 기본 소양이 필요해서 '삼강행실' 등으로 교육도 받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왕과 가까운 사람이어야 했기에 임명하는 경우도 있었고, 임명되기 위해 거세해서 지원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강제로 시키기에는 거세라는 너무 참혹한(?) 조건이 있었기 때문에 지원 + 할 의사가 있는 사람 중에 임명하는 방식이 많았을 것으로 얘기됩니다.
학문 /
역사
23.07.10
0
0
고구려의 장수왕은 몇년동안 왕에 올라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구려의 장수왕은 642년부터 668년까지 26년간 왕위에 있었습니다. 고구려의 마지막 왕이었고 당나라와 신라의 연합군에게 패배하여 폐위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0
0
0
조선시대에 편지 같은 것들은 어떻게 전달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시대에는 편지를 전달하는 방법이 공인편과 사인편 두 가지가 있었습니다. 공인편은 관청이나 관리가 전달했고, 사인편은 개인적으로 전달해주는 업을 하는 사람이 전달했습니다. 공인편은 더 빠르고 안전했지만, 비용이 많이 들었고 공적인 업무에 한해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사인편은 비용이 저렴하고 개인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지만 전달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전달자의 신뢰도가 떨어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0
0
0
인생의 가치를 드높여줄 기적같은 인연은 누구에게나 일어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지만, 무조건 찾아온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본인이 얼마나 노력하고 찾아가냐에 따라서 기적같은 인연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인생의 가치를 높여줄 수 있는 사람도 내가 준비가 안되어 있어서 도와주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다고 판단되면 도와주지 않을 것입니다ㅠ
학문 /
역사
23.07.10
0
0
철학은 신학의 시녀라는 말의 뜻과 왜 이런 말이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 말은 교회가 권력과 지식을 독점하고 철학자들은 교회 교리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철학적 탐구를 추구할 수 있었던 중세 유럽에서 유래했습니다. 워낙 신학의 힘이 셌기 때문에 철학을 아래로 보는 개념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학문 /
철학
23.07.10
0
0
과거에는 양치를 어떻게 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 이집트인들은 나뭇가지나 동물의 털로 만든 칫솔을 사용했고, 중국에서는 당나귀 뼈나 돼지 털로 만든 칫솔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또 유럽에서는 소금이나 탄산소다로 이를 닦았다고 연구문서를 통해 전해집니다.
학문 /
역사
23.07.09
0
0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