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미국 주식은 하루에 몇 %까지 상승하거나 하락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개별주식에는 상하한 제한이 없습니다. 하루에도 두배상승 혹은 반토막이 날 수 있습니다. 근데 S&P500같은 주요주가지수에는 하락 시 -7%, -13%, -20% 구간에서 일시적 또는 종일 거래 중단이 있습니다. 상승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16
0
0
코인 주소 잘못 보내면 못찾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어느 코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근데 기본적으로 코인은 개인키(아니면 거래소 지갑이나 소프트웨어 같은 프로그램)를 통해 주소가 나옵니다. 그러면 내가 개인키를 알거나 해당 주소를 컨트롤 할수 있는 앱 같은게 있으면 될텐데... 이런게 딱히 없다면 찾기 어렵다고 보면 됩니다.코인 소각이라고 하면서 코인 없애기를 한번씨 하는데, 이것도 개인키를 모르는 주소로 코인을 보내는 방법으로 행합니다. 그러면 아무도 못찾으니까요ㅠ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15
0
0
광의유동성이라는 게 무슨 뜻인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통화지표 중에 하나인데, 통화량을 나타내는 기준 중에 하나입니다. 종류가 여러개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넓은 범위입니다.M0(본원통화) < M1(협의통화) < M2(광의통화) < Lf(금융기관유동성) < L(광의유동성) 순으로 범위가 넓어집니다.가장 쉽게 보면 본원통화는 현금, 협의통화는 본원통화 + 월급통장에 있는 돈광의통화는 협의통화 + 만기 2년내의 예적금금융기관유동성은 광의통화 + 보험사, 증권사 계좌에 있는 돈광의유동성은 금융기관유동성 + 정부·기업 등 비금융기관이 발행한 각종 채권 및 유동성 금융상품까지를 말합니다.광의유동성은 쉽게 말하면 한나라에 풀려있는 거의 모든 돈을 나타내는 거라 보면 됩니다.한국은행 금융·경제 스냅샷 여기 들어가시면 잘 나와 있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5.04.15
0
0
고물가고금리 환경이 지속될때 투자는 어떻게 하는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월급만으로는 구매력을 저장못하고 잃어가는 건 사실입니다. 그래서 투자를 해야하는데 이게 쉽지 않습니다. 어찌보면 정부가 노리는것일 수도 있습니다.정부는 필요할때 돈을 더 만들어 쓰고, 그걸 국민들이 부담하는데 돌파구를 찾자니 투자인데, 이 놈의 투자는 어려워서 잃을 수도 있는 위험도 있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그대로 그냥 정부에게 뜯기기만 하는거죠.저 개인적으로는 [왜 그들만 부자가 되는가], [달러는 왜 비트코인을 싫어하는가] 라는 두책을 읽고 비트코인에 입문해서 눈 뜨시는게 가장 좋다고 생각됩니다. 처음에는 속는 셈 치고 이 두책을 한번만 읽어 보시길 권합니다.그러면 정부는 왜 이렇게 방만하게 운영을 하고, 국민은 늘 부족하고, 위기를 느끼고, 그 대안으로 비트코인이 왜 나왔는지 이해가 되실수 있습니다. 그러면 "월급만가지고는 집을 못사는 현실의 대한민국은 어떤식으로든 투자를 해야 돈을 모을수 있는데요 어떤방식으로 투자를 해야 집을살수있을까요?" 라는 물의 답은 비트코인이다 라고 생각될수 있고 모아가면 나중에는 집을 사실 수 있을지 모릅니다.누구나 100% 미래는 알수없습니다. 저 개인적인 생각이긴 합니다. 그저 합리적으로 생각했을 때 가능성이 높은 쪽으로 선택하는 것입니다.집을 살수 있는 비트코인의 필요수량은 점점 줄어들어 왔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15
0
0
정부가 추경 규모를 10조에서 12조로 늘릴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일단 이유는 자연재해, 글로벌 무역대응, 민새안정입니다.최근에 대형 산불 같은 자연재해 피해가 많아지면서, 재해 복구와 피해 지원을 위한 예산 수요가 예상보다 늘어났습니다. 그래서 자연재해 대응 예산이 3조 원 이상으로 확대되었습니다.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이 최근 글로벌 이슈인데 우리나라도 25% 상호관세 등 대외 무역 환경이 급격히 안좋아졌습니다. 수출기업과 산업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무역 불확실성 대응과 인공지능(AI) 등 신산업 경쟁력 강화에 4조 원 이상이 배정되었습니.경기가 좋지 않아 소상공인, 취약계층 등 국민 생활 안정을 위한 지원도 4조 원 이상으로 늘렸습니다.근데 기본적으로 정부는 늘 쓸돈을 늘립니다. 그리고 이건 세금으로 다 확보가 되지 않아, 눈에 드러나지 않는 세금(돈 찍어내기)으로 충당합니다. 그래서 법정화폐 가치는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시민들의 구매력은 점차 감소해왔습니다.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4.15
0
0
지금 미국주식시장은 혼돈세인거맞죠?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네 그 어느 누구도 단기적으로는 어느 방향으로 갈지 모릅니다. 안다고 하면 사기꾼입니다. 대신 장기적으로 보면, 보통 이런 거시적인 상황은 개선되거나 잊혀지고, 이내 다시 회복하기를 반복했습니다. 역사적으로는 늘 기회였습니다. 100%는 아니지만 역사적으로 그래왔습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혼돈이고 더 내렸다가 회복할지 상단한 기간 횡보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15
0
0
코인 중에 비트코인이 대장코인인데 비트코인의 단점을 보완한 코인이 이더리움이라고 알고 있어요. 어떤 단점인지 알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이더리움이 단점이라고 표현하는거는 느리고 기능이 적다는 것입니다. 느리다는 거는 최종 결제확정 시간(블록생성시간)이 늦고, 블록의 용량이 적어서 다양한 기능의 결제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대신 이더리움은 이런걸 구현하기 위해서 탈중앙성을 잃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15
0
0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의 차이점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코스피(KOSPI)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주식시장이고, 주로 대기업과 중견기업 같은 규모가 크고 재무구조가 안정적인 우량기업의 주식이 상장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하이닉스 등 국내외에서 잘 알려진 대형 기업들입니다.코스닥(KOSDAQ)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중소기업, 벤처기업, IT·바이오·엔터테인먼트 등 신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코스닥은 미국의 기술주가 상장하는 나스닥(NASDAQ)을 벤치마킹했습니다. 혁신성과 성장성을 중시하는 기업들이 자금 조달을 위해 상장합니다.상장 요건은 코스피는 자기자본, 매출액, 상장주식수, 주주 수 등에서 더 엄격한 기준(자기자본 300억 원 이상 등)을 요구합니다. 코스닥은 성장성, 기술력 등 다양한 특례상장 제도를 통해 신생기업의 진입이 상대적으로 쉽습니다(자기자본 30억 원 이상 등)시장 성격은 코스피는 변동성이 낮고 안정적이고 코스닥은 변동성이 크고 고위험·고수익 투자에 적합합니다. 이미 어느정도 성작한 성숙기업과, 성장주의 차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15
0
0
비트코인은 업데이트와 같은 개선이 아예 없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아니요 비트코인도 당연히 개발자도 많고 개선이 있습니다. 다만 이더리움 알트코인 같이 주요 영향력 행사자가 있는게 아니라서 신중하고 조심럽고 대부분의 참여자에게 동의를 얻어야 가능합니다.예를 들어 블록 내에 데이터에 서명을 같이 저장하지 않고, 다르게 별도 저장해서 블록 크기를 확장시킨 세그윗도 업데이트 된것이고, 라이트닝 네트워크 도입도 업데이트의 일환으로 보면 됩니다.그리고 블록 자체 크기를 늘리는 것은 찬성파, 반대파가 열심히 대립한 결과 결국 업데이트되지 않았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업데이트를 강제로 시켜서 블록이 갈라져 비트코인 캐시가 되고, 이전 거는 비트코인 그대로 남았지만 결국 비트코인 캐시는 실패작으로 돌아갔습니다.비트코인은 암호화폐의 최고이자 대표이기 때문에 당연히 개발자도 많고 여러 업데이트시도가 많습니다. 많은 사람들의 합의하고 꼭 필요한 것만 하고, 실행 후에도 참여자들이 잘 받아들이는 지도 체크해야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15
0
0
가상화폐 시장에서 레이어1 프로젝트라는 건 어떤 것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Layer(레이어)는 계층, 단계 등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그래서 레이어1 이라는 건 첫번째 계층이고, 기본 네트워크를 말합니다.비트코인, 솔라나, 이더리움 등은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게 레이어1입니다. 이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참여하는 사람들이 있고 그래서 돌아갑니다. 여기에서 각각의 코인들이 만들어지고요.수많은 알트코인들은 이런 자체 네트워크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데 코인들을 만들고 보내고 받고 하려면 네트워크가 필요하니 위에 언급한 코인들의 네트워크를 이용합니다. 이런건 레이어2 프로젝트입니다.쉽게 예를 들자면 솔라나 같은 자체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코인을 만드는 걸 레이어1 프로젝트, 솔라나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만드는 다른 알트코인을 레이어2 라고 보면 될거 같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13
5.0
1명 평가
0
0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