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친구가 갑자기 급전 필요하다면 어떻게하죠?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백만원도 사람에 따라서 적은 돈은 아닐 것입니다. 친구와 금전 거래하면 사이가 나빠지는 경우를 상당히 많이 봅니다. 친구에게 지금 돈이 없지만, 얼마 뒤 확실히 돈 나올 곳(적금 만기, 월금, 상여금)이 있다거나 하면 받을 수 있는데 안그러면 점점 잊혀지게 되고 못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돌려달라고 하면서 부터 사이가 틀어지게 됩니다.빌려 주고 싶다면 못받는다 생각하고 빌려주는게 차라리 마음이 편안할 것입니다.
경제 /
대출
25.04.13
0
0
비트코인은 환율이 오르면 가격이 어떻게 변하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좀 더 엄밀히 본다면 비트코인 가격은 환율과의 상관보다는, 달러의 가치에 상관 있습니다. 비트코인 돈과 반대되는 상품자산이고, 돈의 대표는 달러입니다. 그러니 달러가 오르면 비트코인 가치 낮아지고, 달러 내리면 비트코인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게 기본적이 매커니즘입니다.미국의 달러가 가치가 낮아져서 우리나라와의 환율에도 영향을 당연히 주지만, 환율이 오르는게 꼭 달러가 가치가 올라서가 아닐수도 있습니다. 원화가 가치가 낮아지는 바람이 달러는 가만히 있는데 환율이 오를수도 있는거죠.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비트코인을 원화로 바꿀때 영향이 있지만, 다른 나라 사람들은 상관 없을 것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13
0
0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주식은 무엇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레인보우로보틱스 : 대한민국 최초 이족보행 로봇인 '휴보(HUBO)'를 개발한 기업현대자동차 : 로못기업으로 유명한 보스턴 다이나믹스를 인수함두산로보틱스 : 협동 로봇 분야에서 국내 점유율 1위 기업휴림로봇 : 음성 인식 및 제어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및 산업용 로봇 개발 기업으로, SK텔레콤과 협력하여 AI 로봇 사업을 확장 중등이있습니다.미국은테슬라 :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Optimus)'를 개발 중으로, 공장 내 작업 자동화에 활용될 예정인튜이티브 서지컬 : 의료 로봇 분야의 선두주자로, 수술용 로봇 시스템을 개발ABB 그룹 : 원래 로봇으로 유명하고 휴머노이드 기술에도 투자 아니면 ETF에 무슨 종목이 들어가 있는지 보는것도 좋습니다.삼성자산운용의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 ETF같은 걸 참고해도 좋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13
0
0
기본소득 정책은 경제성장에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저는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경제가 성장하려면 지금보다 더 잘해야하고, 더 잘하려면 경쟁에서 이겨야 합니다. 근데 기본적으로 아무것도 안해도 주는 돈이 많아질 수록 나태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그리고 기본소득을 주려면 결국 돈을 더 풀거나 세금을 더 걷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정부가 그렇듯이 적자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필요할때 마다 돈 발행해서 쓰고 갚지 않아 부채는 더 늘어나는 상황입니다.이런 상황에서 돈 더 만들어서 기본소득으로 투입되고, 이게 아무것도 안해도 주는 돈이 된다면, 정부는 지출만 늘고 효과는 적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경제 /
경제정책
25.04.13
0
0
비트코인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진짜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비트코인을 잃어버렸다는 것은 개인 비밀키를 잊어버렸다는 것입니다. 말씀대로 비트코인은 현물이 디지털이라, 오프라인에서 내가 동전을 어디에 흘려버리듯이 잃어버릴순 없습니다.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항상 들어가 있죠.근데 이 비트코인을 누구에게 보내고 하는 권한은 개인키에서 나옵니다. 개인키를 잊어버리면 지갑에 비트코인이 들어있는걸 알면서도 결제하거나 송금할 수 없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11
5.0
1명 평가
0
0
비트코인으로 재화를 살수있는 시대가 올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아직 사람들의 이해도가 낮아서 잘 없는데 있긴 있습니다. 우리나라만 해도 몇군데 추가로 생기고 있습니다. 삼겹살집도 있고 재즈바도 있습니다. 사장님이 비트코인에 대해 이해하고 이걸 결제수단으로 받은 들인 사람들이 개인적으로 하는거 같습니다.저는 정부가 현재 법정화폐를 완전히 포기는 안할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대체는 하지 못할거 같습니다만, 이렇게 법정화폐와 공존하면서 개인간 합의만 맞으면 서로 결제할거 같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11
0
0
트럼프가 펼치는 관세정책이 관세전쟁으로 되어가고 있는데, 미국의 관세정책이 전 세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은 전세계의 소비국가입니다. 여러나라의 모든 물품을 사서 소비해줍니다. 그런데 여기에 관세가 붙으면 물건의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관세를 오롯이 회사가 부담하고 가격을 안올리수도 있지만, 어느정도 가격에 반영한다던가 다 할수도 있습니다.그러면 미국에 들어오는 자동차, 심지어 아이폰(중국공장에서 만들어서 들어오니까) 등 모든 물건이 비싸질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가격이 비싸서 소비를 꺼리게 되고, 물가는 오르고 수비가 둔화되는 경기침체가 올수 있습니다.그래서 자산시장이 미리 이런걸 염두해두고 하락하고 있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5.04.10
0
0
이제 코인은 어디가지떨어질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미래는 알 수 없지만, 0원이 될 가능성은 상당히 낮을 것입니다. 코인의 대장이라 불리는 비트코인은 미국이 전략자산으로 채택했고, 플로리다주 하원에서 비트코인 준비금 법안 통과 되었습니다. 적어도 비트코인 만큼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다른 알트코인들이 여기에 편승해서 덩달아 오를 것인지, 아니면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비트코인만 살아남을 것인지는 미지수입니다.하지만 이미 코인시장도 많이 커졌고, 밈코인 같은거는 대중에게도 익숙해지고 있기 때문에 0원이 될 가능성은 상당히 낮을 거 같습니다.단기적으로는 코인 뿐만아니라 주식시장도 관세정책 때문에 떨어지는 것이니 이 악재가 좀 걷힌다면 살아날 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10
0
0
인플레이션이 일어났을 때 소비자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일단 현재 자본주의 시스템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건 기본입니다. 각국 정부는 2%의 인플레이션이 목표라고 아예 대놓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엄밀히 말하면 인플레이션이 심하냐 안심하냐로 봐야 할거 같습니다.만약 인플레이션이 심하게 되면 코로나 이후의 상황을 떠올리면 됩니다. 물가가 올라서 소비자들은 구매력이 낮아지게되고, 힘들어합니다. 그래서 정부는 이를 조치하기 위해서 금리를 올리게 되는데, 이때 소비자들은 더 힘들어지게 됩니다. 물가 높아서 힘든데, 금리까지 높아져 대출이자도 늘어 주머니 사정이 더 안좋아지기 때문입니다.기업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소비자들이 사정이 안좋으니 소비를 안하게 되어 돈을 못벌게 됩니다. 생필품외에는 점점 구매를 줄이게 되고 사치품이나, 큰 돈 들어가는 주택들도 수요가 떨어집니다. 금리 높아져서 주택가격도 내려가고, 금리도 이전보다 높아서 빌려서 사기 부담스러워 집니다. 그러면 태영건설같은 큰 회사도 힘들어지게 되는 것입니다.이렇게 경기가 안좋아지게 되고, 힘들어지는 와중에 물가상승률이 좀 내려가는거 같으면, 다시 금리를 내려 유동성을 풀고 경기를 부양하려는 정책을 폅니다. 현재 각국 정부들의 이런 행위를 반복해왔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4.10
0
0
중국에 1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가상화폐 시장에도 영향을 주는 이유는 무엇이라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거시경제 불확실성 때문에 위험자산 선호도가 낮아지는 영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관세가 높아지면 인플레이션이 높아질 수 있고, 금리인하가 늦춰질 수 있습니다.투자자들은 불확실성을 가징 싫어합니다. 그러면 일단 회피하고 보는 경향이 강한데, 가장 먼저 팔리는 자산이 암호화폐라 볼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는 24시간 주말 가리지 않고 언제든지 팔아서 현금화 할 수 있습니다. 또 이럴 때 변동성이 높기 때문에 빨리 팔려는 움직임이 생깁니다.관세가 높아지면 관세를 부과당하는 회사입장에서는 판매가를 유지하고 마진을 포기하거나, 마진을 포기하지 않고 판매가를 올릴 수 있습니다. 아니면 그 어느 중간에서 맞출수도 있고요.어찌됐건 이렇게 되면 물가가 높아질 수 있고, 물가가 높을때는 금리를 낮춰서 유동성을 풀기 힘들기 때문에 암호화폐에게 불리해집니다. 암호화폐는 주식처럼 회사 실적이 있고 그런게 아니라서, 유동성 확장이 큰 호재입니다. 근데 이게 늦춰지면 그만큼 암호화폐는 불리해 집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10
5.0
1명 평가
0
0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