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러시아는 경제 강국이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말씀대로 러시아가 군사적으로도 강한것도 있고, 세계적으로 쓰이는 원자재를 공급하는 많이 공급하는 공급처인게 또 하나의 강점 같습니다. 석탄 매장량은 세계 2위이고 18%정도입니다. 반도체에 들어가는 파라듐은 세계1위이고 비중이 45%정도입니다. 니켈도 세게 9위입니다.우리나라도 원유, 천연가스등 많이 수입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20
0
0
국내증시에서 기관투자가 많이 매수한 종목은 조심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무조건 그런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기관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우량한 종목을 투자할 수 밖에 없고, 금액도 크고 고객의 돈도 있고 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 왕창샀다가 왕창팔고 이런 행위는 잘 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오히려 공부를 덜한 투자자보다 아무래도 더 많이 알아보고 투자했다고 생각되어 기관이 많이 매수한 종목은 호재로 작용하기도 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20
0
0
경제기사에 자주 보이는 콜옵션이란 경제용어는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콜옵션은 어떤 기초자산(주식 같은)을 미래 어느 시점에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삼성전자가 지금 8만원인데, 내가 8만5천원에 나중에 살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으면, 내가 살때(이 권리를 행사할 때) 9만원이 되면 이득인 것입니다.콜옵션은 기초자산의 가격이 오를 수록 내가 싸게 사는 것이기 때문에 가격상승에 베팅하는 상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말그대로 권리이기 때문에, 막상 내가 사야될 시점에 가격이 떨어져 있으면 포기하면됩니다. 그러면 이 권리(콜옵션)를 살때도, 이 권리를 팔았던 상대방에일종의 권리금같은 개념으로 준 돈(프리미엄이라고 부름)이 있는데 이것만 날리고 손해는 줄일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12.20
0
0
기대 인플레이션이 높을 때 금리 인하를 망설이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대인플레이션은 향후 1년의 물가상승률을 가지고 기업이나 가계 등 경제주체들의 주관적인 의견이 반영된 것입니다. 그래서 기대인플레이션이 높다는 것은 지금 인플레이션이 떨어지는 상태이지만, 앞으로 소비를 하는 가계의 소비자들이 소비할 준비가 되어 있다 이런 뜻도 되기 때문에, 다시 물가상승률이 올라갈 수도 있는 것입니다. 바로 금리 인하를 하기보다는 좀 더 지켜보고 하는게 안정적이라 판단해볼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12.20
0
0
주식에서 목표 주가는 어떤 원리로 정해지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목표주가는 주로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이 많이합니다. 본인이 그 회사가 얼마나 앞으로 장사를 잘할지, 이익을 벌지 가정하고, 그 이익에 맞는 시장의 인기(PER)을 부여해서 제시합니다. 결국 어느 한사람의 개인적인 의견인건 변함이 없습니다. 다만 일반투자자보다 더 많은 데이터와 더 많은 경험을 가지고 제시한 의견이기 때문에 참고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20
0
0
미국의 기준금리가 낮아진다는데, 우리나라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둘중 하나라면 긍정적인 영향이 높을 것 같습니다. 미국은 세계 1위의 경제대국이자 기축통화인 달러를 가진 나라입니다. 그나라가 이제 금리 인상을 멈추고 금리 인하를 한다는 것은 세계적으로 긴축이 끝나고 다시 경기부양을 할시기가 온다는 시사점이 있습니다.우리나라도 완전히 동조화 할 수는 없겠지만, 내부사정에 맞게끔 경기부양을 위해서 금리를 인하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19
0
0
금리에 종류를 보면 명목금리가 있고 실질금리가 있던데 무슨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명목금리는 명목이란 뜻 그대로 형식상의 이름입니다. 그래서 명목금리는 시장에서 발표되는 금리입니다.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것입니다.발표된 금리가 10%라 하여도 물가상승률이 8%면 실제로 우리에게는 금리가 2%밖에 적용되지 않는 셈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12.19
0
0
내년에 주담대를 실행하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타이밍이 정말 금리도 낮고 집도 싸고 할때 사면 너무 좋습니다만, 그런 시기를 땆 맞추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습니다. 질문자님 말씀대로 내년까지 기다리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고, 지방같은 경우는 지금도 사기에 그렇게 나쁜 시기는 아닌거 같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3.12.19
0
0
최근 경제 기사를 보니 가교 은행이라는 것이 나오던데 무슨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말그대고 가교역할을 하는 은행인데, 어떤 은행이 망하면 인수되거나 하는 최종처리까지 임시로 대신 예금 같은 업무를 봐주는 은행을 말합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12.19
0
0
본 신문 기사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로나 이후로 주위에 영앤리치들이 많아보이고, 늦은거 같아서 FOMO때문일수도 있겠지만, 급한 성격보다는 자산에 대한 이해도가 더 밝고, 물리적으로 앞으로 갚을 수 있는 날이 더 많기 때문에 자신감을 가지고 더 빌릴 수 있지않을까 생각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19
0
0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