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경제 용어 중에 주주환원율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업의 이익을 얼마만큼 주주에게 돌려주냐 하는 것입니다. 주주환원금 / 기업의 순이익 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이때 주주환권금은 대체로 배당금 + 자사주매입액 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11
0
0
블록체인 기술이 경제,금융 분야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아시다시피 블록체인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탈중앙화되었지만 신뢰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누가 감시하고 지키고 하지 않는데, 보장받을 수 있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금융에서 가장 크게 다가 온 것은 송금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보내는 사람이 중앙에서 보장해주면서 감시하는 역할을 거켜서 보내야하던 불편을 없앨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토큰경제도 큰 변화입니다. 지금의 이 아하토큰도 그렇고, 카사코리아의 건물 조각투자처럼, 어느 누군가가 관리하면서 보장을 해주는 역할 했어야 했던것을 없애주니까 가치가 없던 것들도 인정받을 수 있게되고, 기존과 비슷한 방식이더라도 관리자를 거치지 않으니 수수료라도 줄일수 있게 되었습니다.나중에는 우리의 개인정보 데이터도 지금은 기업들이 막 쓰고 있지만, 이런 것도 토큰화 해서 관리자 없이 블록체인기술아래 팔고 살수 있는 세상이 올 수도 있을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11
0
0
금리를 높이면 가계대출율을 낮출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이론적으로는 그렇습니다.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도 가계부채가 안잡히면 금리 인상 진지하게 고려한다는 말도 많이 했습니다. 일단 금리가 감당이 안될수록 높아지면 빌리는 사람들이 줄어 들것이기 때문입니다. 기존에 빌렸던 돈도 빨리 갚으로 노력할 것이고요.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3.12.11
0
0
주식이나 코인이든 건강한 조정은 계속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조정이 있는게 낫습니다. 사람이 사고 팔고 하는 것이 때문에, 뭐든 자산이 오를 때는 감정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쏠림 현상이 일어나 과매수가 일어나는 것이지요. 그래서 이렇게 필요이상으로 오른 열기가 식는 것이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처럼 더 낫습니다. 팔사람 다 팔아야 더이상 매도세가 없어 다시 올라갈수 있는 계기가 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11
0
0
천연가스로 전력도 생산하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천연가스는 통상 크게 60%정도는 도시가스로 우리 가정이나, 사무실, 산업체에 쓰이고, 나머지 40%정도는 발전용으로 전력생산하는데 쓰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발전은 열병합발전으로 가스를 원료로 원동기를 돌려 전기를 만드는 것입니다. 그리고 보면 가스 버스도 있듯이 운송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11
0
0
고금리가 장기화되면 국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가 계속 높으면 소비가 둔화됩니다. 같은 금액을 빌리고도 이전에 매달 100만원씩 갚았다면, 이제는 150만원, 200만원을 갚게 되었기 때문에 그만큼 물리적으로 내 주머니에 들어오는 돈이 줄었습니다. 그러니 사람들이 아끼게 되고 소비가 줄어듭니다.소비가 줄어들면 기업이 물건이 덜 팔리니 투자를 줄이고, 투자가 줄어들면 채용이 줄어드니 실업률이 올라 갈 수 있습니다. 다시 또 일자리가 줄어드니 사람들이 쓸돈이 줄어들고 또 소비가 줄어드는 악순환이 펼쳐질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3.12.11
0
0
비트코인이 오르는 이유를 잘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비트코인은 상품자산입니다. 그러니까 주식처럼 투자된 돈을 가지고 활용하여 가치가 창출되고 그걸로 이익이 나서 투자금을을 회수할수 있는 이런 투자자산이아닙니다. 그러니 돈자체와 반대되는 자산이라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그래서 돈의 가치(금리)가 오르면 상대적으로 가치가 떨어지고, 돈의 가치가 내리면 상대적으로 오릅니다. 이와 매우 유사한 전통적인 투자자산이 금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금도 많이 오르고 있는 것입니다.게다가 현물 ETF승인과 반감기(채굴량이 반으로 줄어 드는 것)와 같은 호재도 있습니다.이 모든걸 미리 선반영하여 오르고 있다고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11
0
0
경제관념이 부족한 거 같은데 경제관념을 잘 잡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저는 가장먼저 추천드리는 것이 현재 이 자본주의 시스템부터 아는 것입니다. 왜 인플레이션은 계속 일어나는 것이며, 지금의 화폐의 가치는 왜 자꾸 떨어지는 것인지 아는 것부터가 중요합니다.이걸 이해하고 기초로 깔고 나서 여러 경제상황과 용어들을 접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추천드리는 자료는 EBS다큐프라임 - 자본주의 의 영상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영상이 보기 힘드시다면 영상을 편집한 동일한 내용의 책도 있기 때문에 선택하셔서 보시길 권장드립니다.만약 경제에 대해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이걸 이해하고 나시면 많은 실마리가 풀리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12.11
0
0
고환율 정책은 수출에게 어떠한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환율이 높다는 것은 자국화폐의 가치가 낮아진다는 것입니다. 1000원에 1달러를 바꾸던 교환비율이 이제 1200원으로 바꿔야되게 생겼으니 돈을 더 줘야 교환할 수 있는것이고 그만큼 가치가 떨어진 것이죠.그러면 수출하는 업체 입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득이라고 합니다. 상대방이 원래 1달러에 사던걸 1달러도 안되는 금액으로 살수 있게 되니까, 주문량이 많아진다는 원리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11
0
0
재무구조표에 나와있는, 손자회사는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손자회사는 모회사 기준으로 봤을 때 자회사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소유하는 회사입니다. 아래 그림을 참조하면 이해가 편하실거 같습니다. 계열사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12.11
0
0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