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최근 달러인덱스가 크게 하락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보호무역 격 관세정책이 미국 경제에 부담을 준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게다가 미국의 경제성장도 둔화되는 기록이 나왔습니다. 2025년 1분기 미국 실질 GDP는 전 분기 대비 -0.3%로 마이너스 성장입니다.그리고 이런 경제악화는 부양을 위한 금리인하를 기대하게 만듭니다. 미국의 금리 인하는 곧 미국 달러의 가치 하락과도 연동됩니다.근데 애초에 이런걸 원하는게 트럼프입니다. 트럼프는 전에도 그렇고 이번에도 똑같이 약달러를 지향합니다. 그래야 무역적자국인 미국이 이를 해소하고, 자국 제조업의 수출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5.27
0
0
만기 대출로 했을 때 연장은 웬만하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네 저 경험상은 웬만하면 연기 되는거 같습니다. 대출했을때에 비해서 연봉이 오르기도 했지만, 어떤 한해는 작년과 비교해서 거의 그대로인 적도 있었습니다. 근데 신용대출 연장되는데는 크게 문제 없었습니다. 물론 연체를 한 이력은 없습니다.
경제 /
대출
25.05.27
0
0
투자와 투기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사실 이건 사람들마다 다른데, 저는 알고하면 투자고 모르고 하면 투기라고 생각합니다.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코인이든 공부해서 미래성이 있다고 판단돼서 매수하고 좋은 평가를 받아, 나중에 더 비싸게 팔면 투자성공인거죠. 그 유명한 삼성전자도 하나도 공부안하고 다른 사람 말만 듣고 매수하면 투기이고요.근데 투자는 내가 돈을 넣은 곳에서 생산적인 결과물이 일어나는것이고 투기는 그렇지 않은 것이다 라고 분류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누구는 주식은 회사가 투자금으로 뭘 만들어 내니까 투자고, 부동산과 코인은 그런거 없으니까 투자가 아니라고도하고, 누구는 주식은 회사가 뭘 만들고, 배당도 들어오고, 부동산은 월세도 나오고 하는데 코인은 그런거 없으니까 투기다 라고 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5.05.26
0
0
돈을 잘 모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일단 돈 모으는데는 고정수입이 있으면 좋긴합니다. 수입이 예측가능하니까 모으고 싶은돈 뚝 떼놓고 철저히 통제하면서 사는거죠. 돈 모으는건 쉽지 않습니다. 중요한건 아닌데 어려우니까 다들 잘 못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보통 의지로는 잘 안됩니다. 그래서 아예 강제성을 띄어야 합니다.일단 어느정도 평균수입을 한번 내보시고요. 이 걸 기준으로 목표를 정하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그리고 수입이 떨어지는 달을 대비해 평균 수입의 2-3배 정도는 비상금을 가지고, 나머지 부터 적금같은 걸 활용해서 모으는 것입니다. 그리고 적금금액을 정할때는 내가 모으고 싶은 돈만큼 정하고 무조건 돈 넣고, 나머지 돈으로 어떻게든 사는 것입니다. 배고픈데 돈 없으면 라면 먹는다는 의지를 가질정도로요. 그리고 진짜 써야할데가 생겼는데 이번달 수입이 평균보다 적으면 비상금에서 빼서 쓰고, 평균보다 많을때는 다시 채워넣는 것입니다. 그리고 남는돈 또 저축하고요.
경제 /
자산관리
25.05.26
0
0
1억을 모으려면 몇년이 걸리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1억 쉽지 않은 금액입니다. 한달에 100만원씩 저축해도 8년넘게 걸리는 돈입니다. 근데 현실적으로 100만원씩도 저축하는 사람 많지 않습니다.월급 250만이었으면 월세나 핸드폰 같은거 대충 50만원 잡으면 나머지 200만원 여기서 100만원쓰고 100만원 저축, 저축률 50%입니다. 아래는 우리나라 공식 지표입니다.23년 저축률 4%입니다. 저정도면 현실적으로 잘 모으신겁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5.26
0
0
지금 국장 들어가볼만한 타이밍일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나쁘지 않은 타이밍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래 처럼 지금까지 보면 환율과 코스피는 반비례 했습니다.이거는 환율이 떨어지면, 즉 원화가치가 올라가면 우리나라의 경제가 강하는 것이고도 하고, 우리나라 주식의 30%정도를 외국인이 차지하고 있는데 이 외국인이 이제 환차손 걱정이 없으니까 한국증시 투자를 활발히 해서라고도 얘기합니다.반드시 그런건 아닙니다만, 달러 약해지면 우리나라같은 신흥국 주식에 유리했던적이 많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5.26
0
0
중앙정부에 양적완화를 실행하는 경우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보통 금리 조정 만으로 원하는 결과가 안나올 때 양적완화를 합니다. 아니면 금리를 낮추는 거 보다 더 빨리 유동성을 공급할 필요성이 있을 때입니다.방법은 가장 대표적인게 채권을 사주는 것입니다. 보통 국채이고, 정부가 국채를 발행하면 중앙은행을 더 찍어낸 돈으로 사줍니다. 그럼 이 돈이 정부로 흘러들어가고, 정부가 하고 싶은 정책분야부터 돈이 흘러들어갑니다.또 시중은행의 채권도 사줄 수 있습니다. 그럼 시중은행으로 새로 찍은 돈을 들어가고, 이 돈은 고객들의 대출증대로 이어 질 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5.05.26
0
0
경제 성장률이 0%면 작년하고 같다는 소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작년하고 같다는 소리입니다.걱정하는건 여러 측면이 있을거 같습니다. 일단 저번에 1%, 이번에 0%라 치면, 내년은 -1%되는거 아냐? 이런 걱정도 있을 수 있고요.또 우리가 지금 굴리는 자본주의시스템은 뭔가 개발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돈을 더 찍어내는 방식입니다. 돈을 더 찍어냈으니 결과가 나와야 하는데, 경제는 성장못하고 돈 더 늘어나서 가치만 희석되면 물가상승 타격이 더 커집니다. 그래서 많이들 걱정하는 걸 수도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5.26
0
0
나라에 기준금리가 인상된다면 일반서민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당장에 느껴질 수도 있고 안느낄수도 있는데, 일반 시민들은 아무래도 은행에서의 예금과 대출금리입니다. 기준금리는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이정도 하니까 너무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금리 정해라 이런것입니다.그래서 지금 예금금리는 기준금리 따라 많이 내려왔습니다. 하지만 막상 대출금리는 덜내려왔는데, 이거는 정부가 또 가계대출 늘어난다고 대출금리는 많이 내리지말라고 은행에 압박해서 그렇다고 보면 됩니다. 그니까 왜 이런걸 중앙기관이 마음대로 할까요? 이건 잘못된겁니다. 일단 표면상으로는 경제를 위한 정책 중에 통화정책을 쓰는 것입니다. 경기가 나빠지면 돈 풀기 위해 금리 낮추고, 이 때문에 물가 너무 오르면 다시 금리 올리고...정부와 중앙은행이 권한을 남용하는거죠. 결국 정부가 쓰고자 할때 돈을 더 만들어 내니까 돈의 가치가 줄어들고 그럼 물가 오르고 해서 경제가 꼬여버리는 것입니다. 애초에 시작을 본인들이 해놓고, 그 뒤에 경기 살린다고 수습한다고 금리도 올렸다가 내렸다가 합니다.
경제 /
대출
25.05.26
0
0
투자에 대한 원칙을 가지고 계신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네 일단 제가 자세히 공부하지 않고, 따져보지 않은 자산은 사지 않습니다. 주식은 반드시 분기별 손익보고서를 보고, 2~3년치를 적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매출과 이익 변화, 실적 발표때마다의 주가 움직임, 연구개발비 관리비 등 들어간 비용, 이런거 따져보고 미국주식같은 경우 어닝콜을 다 읽어봅니다. 이랬을때 앞으로 이 회사 매출과 이익이 오른다면 같은 PER이라고 할때 얼마까지 오를 수 있을지 나름 따져봅니다. 그리고 비싸다고 생각되면 사지 않고 기다립니다. 근데 사람인지라 감정에 휘말리기 쉬운데, 세운 원칙을 지킬 수 있도록 마인드 컨트롤도 하고요. 일단 안사면 잃는건 없다 이런식으로요.이렇게 기업하고 나름 친숙해져있다고 하면, 나중에 트럼프발 관세처럼 시장과 개별주식이 다 폭락했을때, 이 회사가 관세에 크게 영향을 안 받는다고 여겨지면 분할매수고 하는거죠. 저도 이론은 이런데 지키기가 쉽지 않는것도 맞습니다.그리고 코인은 비트코인부터 먼저 공부해야합니다. [왜 그들만 부자가되는], [달러는 왜 비트코인을 싫어하는가] 입문서 부터 읽고, 블록체인 등도 공부합니다. 알트코인도 왜 이게 좋다고하는지 합리적인 선에서 이해가 되면 매수합니다. 그래서 밈코인 같이 조금 측정이 어려운거는 투자를 안하고, 솔라나나 이더리움같이 적어도 체인에서 발생되는 매출 데이터가 있는걸 기반으로 합니다. 안그러면 하락할때 버티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5.26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