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미국 고용인력이 2년 6개월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했다는데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투자시장심리는 알기가 힘듭니다. 굳이 해석하자면 고용인력이 감소했으니, 이제 경기 살리기 위해서 연준에서 금리 내리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을 가지는거 같습니다. 그리고 미국하고 베트남의 력합의 뉴스도 있었고요.미국 고용이 안좋다는 건 미국 경기가 안좋다는 걸로 해석해볼수 있습니다. 그럼 우리나라에도 영향이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우리나라는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입니다. 그리고 그중 미국이 비중 1-2위(24년 기준 18.7%로 2위)를 차지합니다. 그러니 미국 경기가 안좋으면 대미수출감소의 파급효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7.02
5.0
1명 평가
0
0
예금보호한도가 9월부터 1억원으로 늘어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은행은 기본적으로 안전한 투자처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즉 원금이 보장되는데에서 플러스 수익을 얻는 거죠.근데 이게 엄밀히 말하면 100%는 아닙니다. 은행이 망하면 이전에는 5천만원까지 보장이 안됐습니다. 하지만 이제 이게 1억이 된 것이니 좀더 안전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근데 한번 더 생각해보면, 이제 물가가 많이 올라서 구매력이 저하되어 5천만원도 예전의 5천만원이 아닙니다. 1억으로 오르는게 당연한 수순이라 볼 수도 있고요.또 최근에 미국주식 코인 등 원화기반 투자가 아닌 다른 화폐 투자가 늘고 있는데, 한도 늘려줄테니 원화 팔고 다른 화폐 투자 하지 말라는 의도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5.07.02
0
0
권리락과 무장증자 확정일 차이가 무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일단 주식은 6월 24일일까지 보유하면 됩니다. 권리락일이 신주를 배정받을 권리가 없어지는 날입니다. 그니까 이 후로 매수하면 신주를 받은 권리가 없어지니까 그 전까지 매수해야합니다.이때 매수해서 7월 23일까지 가지고 있으면 (무상증자 확정일 : 신주를 받을 사람 명부에 들어가는 날) 내가 주주명부에 들어가서 8월 11일에 받게 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7.02
5.0
1명 평가
0
0
통화량이 늘어나면 왜 물가가 오르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쉽게 생각하면 이렇습니다.돈 100개 라면 100개가 만 있는 시장이 있다 치겠습니다.그러면 자연스레 돈 1개와 라면 1개의 교환비율이 맞아집니다. 수량적으로 가치가 맞기 때문입니다.근데 갑자기 통화량이 늘어 돈이 200개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돈 200개 라면 100개인 시장이 되었습니다.이제 수량적으로 가치가 맞지 않아 돈을 2개 줘야 라면을 1개 살수 있는 교환비율이 되었습니다.이렇게 통화량이 늘면 물가가 오른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7.02
5.0
1명 평가
0
0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에대해 맹비난을 하고 있는데요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트럼프의 말로 유추해보면 일본이 미국의 쌀을 충분히 수입해주지 않고, 미국 자동차도 일본 시장 진입이 제한적이라서 그렇습니다. 일본의 도요타 같은 자동차는 미국에서 많이 돈 벌어가는데, 본인들은 미국 자동차를 안 받아들인다고요.그래서 일본와 무역협상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경우(미국이 원하는 대로) 일본제품에 최대 35% 환율 부과한다고 했습니다.7번 협상했는데 타결은 안됐습니다. 어떻게든 해결은 될거지만, 단기적으로는 불확실성이 높아졌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5.07.02
5.0
1명 평가
0
0
저축보다 투자하는 게 더 나은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투자는 필수가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법정화폐는 대략 연평군 7%정도로 더 발행됩니다. 가치가 이정도로 계속 떨어지는 것입니다.그러면 우리가 저축으로 매년 3%씩 이자로 번다면, 단순히 4% 정도의 구매력손실을 겪는다고 보면됩니다.그러니 기본적으로는 저축보다 투자가 낫습니다.다만 투자는 원금을 잃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제대로 공부하고 준비하지 않으면 저축보다 못한 결과를 낳게 됩니다. 이게 정말 일반 국민들한테는 잔인한 것입니다.미국 S&P500지수 투자는 통상 연평균 8%정도의 수익률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씁니다. 여기에 지속적으로 투자하면 겨의 구매력 보존하는 정도입니다. 하지만 변동성도 같이 견뎌야 합니다ㅠ돈 잃을 정도로 공부가 안되어 있으면 차라리 저축이 낫고요. 어느정도 투자 공부한 상태면 저축은 피해야 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7.02
5.0
1명 평가
0
0
우리나라의 k 뷰티는 전세계에서 어느정도로 평가되고있는 상태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일단 객관적인 자료로는 2012년에 화장품 수출액이 10억달러 정도였는데, 2024년은 102억 달러 넘었습니다. 10배정도 성장했습니다.미국의 한국화장품 수입액은 23년 기준으로 14억1천만 달러인데, 같은 해 프랑스가 10억3천만 달러였습니다. 전통강호 프랑스를 제쳤으니 이정도면 거의 탑급으로 봐도 무방할거 같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7.02
0
0
지금도 암호화폐는 세금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네 아직 세금은 없습니다. 원래 25년부터 세금 부과하려다가 자산에 대한 더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시행하기 위해 27년으로 유예한 상황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7.02
0
0
재벌은 왜 문제라고 하나요?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저는 질투쪽이 더 강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사람들이 생각하는 재벌은 대기업들의 오너일 것입니다. 또 대기업 종사자가 산재로 인명피해를 입고, 거기에 따른 보상이 적절치 않다라는 지적도 있습니다만, 그런 사회적인문제 빼고 돈만 생각했을 때는 질투가 강할 것입니다.이건 재벌 밑의 단계 순자산 10억 정도 되는 분들을 욕하는 걸 보면 더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이 사람들이 보통 한국의 상위 10%정도인데, 나름 젊을 때 열심히 노력하고 돈 벌고 모으고 판단 잘해서 집사서 부자 된 사람들입니다. 아니면 개인 사업 성공했던가 정도입니다. 전혀 욕할게 없습니다.이 사람들의 전체 근로소득세의 72%정도를 부담하고, 종소세는 80%넘게 부담합니다. 그만큼 경제적으로 되게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근데 SNS같은거 봤을 때 내가 그렇게 못하니까 욕하는것 입니다. 서울에 집한채 못사는게 말이 되냐, 그래서 결혼못한다고 하는데 원래 서울에 집한채(아파트) 사는게 어려운 것입니다. 아무나 사는게 아닙니다. 중위가격 10억정도인데 대출 6억받는다해도 4억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물론 가치저장이 안되는 법정화폐 탓도 있긴 합니다만)우리나라는 평균 올려치기가 심한 나라입니다. 그리고 나도 명품가방하나 사면, 포지셔널 굿 명품을 가지고 있는 다른 부자들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생각해버리는 경향도 있습니다. 근데 현실은 막상 다르니까 화가나는 거 같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7.02
5.0
1명 평가
0
0
코인 천만원 투자했는데 40% 마이너스입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알트코인 위주로 투자하신 거 같습니다. 사실 알트코인은 아직 본질적인 가치가 없는게 대부분이기 때문에 투자에 상당히 조심하셔야 합니다. 코인을 발행하는 주체도 "앞으로 컨셉으로 어떻게 잘 하겠다" 라는 포부에 가까운 컨셉 정도만 내세우고 하는겁니다. 그래서 코인판에 분위기 좋고 시장이 해당 코인 컨셉에 관심을 가지면 많이 오르고 그렇습니다.즉 기대감으로 오르는 것입니다.어렵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안하는게 맞습니다. 물론 이걸로 소위 졸업이라고 하는 큰 돈 버는 사람이 있지만, 소수입니다. 소수니까 미디어에 자극적으로 노출되는거고요.일단 알트불장이 오려면 비트코인이 올라서 코인판에 관심이 생기고 돈이 들어와야합니다. 그래야 나중에 아무 코인이나 다 오르는 시기가 올 수 있습니다.저 개인적으로는 비트코인은 오를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아무도 못맞추는거기 때문에 조심스럽지만, 그렇게 예상하고 있습니다.일단 유동성(파란색)이 다시 늘어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상품자산성격이라 유동성 늘어나면 가격(까만색)오를 확률이 상당히 높습니다.그리고 비트코인 거래소의 재고는 계속 줄고 있습니다. 그만큼 더 희소해지고 있습니다.이런 상황인데 사람들 관심도는 상당히 낮습니다. 블랙록같은 기관과 마이크로스트레티지 같은 회사들이 비트코인을 막 가져가고 있는데 말이죠.제 생각에 수요대비 공급부족으로 비트코인은 더 오를 가능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만약 이때가 와서 가지고 계신 코인이 어느정도 오르면 탈출하시는게 맞다고 보여집니다. 근데 이것도 전적으로 어느 가능성을 제시하는거라 꼭 이렇게 되리란 보장은 없다는 점 알아주셨스면 좋겠습니다ㅠ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7.01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