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연필의 원리 ( 파이결합 파괴 vs 반데르발스 힘 )
안녕하세요. 재료공학을 전공할 때 수업에서 나왔던 내용인데, 저도 후자의 경우라고 알고 있습니다. 연필심의 재료인 흑연의 경우 층상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층과 층 사이는 반데르발스결합을 하고 있죠. 이 결합은 2차 결합으로 상당히 약한 결합이기 때문에, 힘을 가해서 눌러 쓰면 층이 떨어져 나가면서 글씨가 써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파이결합이 깨지는 것이 아니구요.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08
0
0
고속충전기로 충전하는 전자제품을 일반충전기로 충전하면 문제가 생기나요?
안녕하세요.고속충전 되는 기기를 일반 충전기에 꽂아도 고장이 나는 것은 아닙니다. 그냥 속도가 느려져서 충전 시간이 엄청 오래 걸릴 뿐이죠. 결국에는 배터리에 무리도 안 가고 안전하니까, 급할 경우에는 일반 충전기를 써도 큰 문제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08
0
0
보통 우리가 시중에 파는 드론의 최대 배터리 수명은 언제까지인가요? 최소 30분은 거뜬히 비행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는 드론은 보통 30분 정도 난다고 합니다. 그러나 비싼 드론들은 특수 설계를 통해 1시간 넘게도 날 수 있죠. 그냥 배터리만 크게 바꾸는 것으로는 힘들고, 가볍게 만드는 기술들도 함께 적용이 되어야지 실제 비행 시간을 늘릴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08
5.0
1명 평가
0
0
컴퓨터 데이터 사용량과 전기세 연관성
안녕하세요. 데이터를 많이 쓰는 게 전기세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전기요금은 그냥 PC랑 채굴 장비가 몇 와트를 먹느냐로만 계산된다 보시면 됩니다. 데이터 사용량은 통신사 요금제랑 연결되는 거라, 전기세랑은 별개라고 볼 수 있다 보시면 됩니다. 물론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전기가 많이 들기는 하겠죠.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08
5.0
1명 평가
0
0
세라믹공학과 금속공학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세라믹공학과 금속공학은 보통 학부로 묶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신소재공학이나 재료 공학으로 묶여 있죠. 이 둘의 차이점은 말그대로 세라믹을 공부하느냐 금속을 공부하느냐 입니다. 그러나 보통 세라믹공학은 금속공학을 배우고 세라믹 공학을 배우게 됩니다. 그 이유는 세라믹의 경우 금속의 산화물, 질화물, 탄화물 등의 화합물 형태를 세라믹이라 부르기 때문이죠.감사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9.08
0
0
에어컨 24시간 틀어놓을때 제습또는 자동 뭐가
안녕하세요. 제습 모드는 사실 냉방을 약하게 돌리면서 습기만 빼 주는 거라고 볼 수 이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방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는 힘들 수 있죠. 반대로 자동 모드는 온도랑 습도를 같이 보면서 필요한 만큼만 냉방이나 제습을 조절하는 기능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루 종일 켜둘 땐 더 효율적이라 볼 수 있습니다. 전기세도 아끼고 에어컨도 무리 안 주려면 자동 모드가 낫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08
5.0
1명 평가
0
0
양자컴퓨터에서 이야기하는 큐비트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큐비트는 쉽게 말해서 양자컴퓨터의 비트입니다. 보통 컴퓨터 비트는 0아니면 1인데, 큐비트라는 것은 양자 성질 덕분에 0과 1을 동시에 겹쳐 가진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여러 큐비트가 얽혀서 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계산을 훨씬 병렬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07
0
0
절대온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방식으로 구현하나요
안녕하세요.양자컴퓨터에서 말하는 절대온도라는 것은 진짜 0K를 만드는 것이 아닌 거의 그와 유사한 수준의 극저온을 만드는 것이라 보면 됩니다. 이때 쓰는 게 희석 냉장기라는 장치인데, 헬륨 동위원소를 활용하여 온도를 엄청 낮춥니다. 이렇게 해야 큐비트가 열에 의해서 흔들리지 않고 제대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이죠.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07
0
0
양자내성암호라는게 무슨 시스템인가요
안녕하세요.양자내성암호라는 것은 양자컴퓨터도 못 푸는 수학 문제를 바탕으로 만든 암호라 볼 수 있습니다. 지금 쓰는 암호시스템은 양자컴퓨터가 나오면 뚫린다고 합니다. 그러나 양자내성암호를 도입하면 워낙 복잡해서 안전하다고 하죠. 그래서 현재 미국을 중심으로 암호 방식의 변화를 연구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07
0
0
DNA메모리시스템이 무엇인지 궁금한데요
안녕하세요. DNA 메모리란 쉽게 얘기해서 DNA를 일종의 하드디스크처럼 쓰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네가지의 염기를 조합해서 컴퓨터의 0과 1처럼 표현해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죠. DNA의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작은 부피에도 담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고, 오래 보관이 가능해서 각광 받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07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