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상장폐지되면 장외시장에서 거래 가능 하다는데, 장외시장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장외시장이라는 것은 주식의 거래가 가능한 증권거래소에서 거래가 아닌 다른 곳에서 하는 모든 거래를 말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6.17
0
0
슬립테크의 시장규모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슬립테크의 시장 규모는 과거 2019년도 110억달러 수준에서 2026년도에는 320억달러로 점차적으로 시장의 규모가 확대되어 가는 중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6.17
0
0
채권금리의 장기와 단기의 금리가 역전이 되면 어떤문제가 발생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의 장단기 금리역전차가 발생하는 것을 보통 경기침체의 징조라고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단기의 금리가 상승하게 된다는 것은 결국 짧은 기간안에 시장의 자금 유동성이 크게 위축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는 곧 해당 국가의 소비침체와 함께 기업들의 실적 하락으로 인한 경기침체 가능성이 매우 높게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6.17
0
0
기업 가치가 오르면 주가도 같이 오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업의 가치가 상승한다고 하더라도 해당 기업에 대한 존재를 모르거나 기업의 가치에 따른 배당과 같은 실질적인 주주들에 대한 혜택이 없는 경우에는 주식의 상승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6.17
0
0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라는 것이 있는데, 무슨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유상증자와 무상증자에 대해서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유상증자회사가 자본금을 추가적으로 유치하기 위해서 기존주주나 특정인을 상대로 주식을 발행하고 이에 따라서 자본을 조달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회사 입장에서는 신규 자금이 유입되어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으나 기존주주들 입장에서는 유통되는 주식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좋지 않게 받아들이게 됩니다.무상증자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이익잉여금 혹은 자본잉여금을 자본금으로 편입시키는 자본전입을 말합니다. 이러한 무상증자는 주식의 추가발행시 현물이나 현금과 같은 주식 대금의 납입 없이 주식수가 늘어나게 되며, 기존주주들은 보유하고 있던 주식수 만큼 비율에 따라 무상으로 주식을 추가로 배정받게 되면서 주식시장에서는 호재로 시장에서는 받아들이게 됩니다. 최근 무상증자는 주주에 대한 환원정책의 일환으로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6.17
0
0
퇴직연금 DC나 IRP계좌 디폴트 비중 다들어떻게하시나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은행 재직 중으로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 드리도록 할게요예금에 대한 비중을 높이고 ETF의 비중을 30%정도로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 저희 은행을 거래하는 기업들의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규약변경 신고를 7월 12일까지 진행하고 있으며, 해당 기업들 중에서 인원이 많은 100명에서 500명정도의 기업들의 대다수는 70%예금 30%ETF 비율을 가장 선호하고 있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경제 /
예금·적금
23.06.17
0
0
주식 시장에서 상장폐지되면 기존 주주의 주식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이 상장폐지가 된다는 것은 현재 거래소에서 거래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해당 주식이 소멸되는 것은 아니기에 해당 회사에 대한 권리는 그대로 유지가 됩니다. 그렇기에 해당 회사에 대한 배당의 권리나 의결에 대한 권리는 그대로 소유하고 있으며, 장외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38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보통 상장폐지된 주식을 거래하기도 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6.17
0
0
코포러티즘은 무엇을 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포러티즘이라는 것은 공식적으로 조직되어 비경쟁적이며 법적으로 인가되어 강제적인 이익단체가 특정 기능적 범주 내에서 이익대표를 독점하는 대가로 당국의 감독하에 놓이는 국가와 이익단체 관계의 유형을 말하는 것입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6.17
0
0
공매도와 CFD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공매도라는 것은 현재 없는 자산을 빌려서 매도를 한다는 것에 있지만 CFD라는 것은 내가 가진 자산을 '보증금'으로 활용하여서 큰 폭의 배팅을 하는 것에서 차이가 있습니다.CFD는 차액결제거래를 말하는 것으로서, 주식의 현물을 보유하지 않고 진입가격과 청산 가격의 차액만을 결제하는 방식의 장외파생계약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CFD는 증권사가 대출을 해주고 이에 따른 매매 수익은 투자자가 가져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CFD를 활용하게 되면 종목에 따라 레버리지 배율에 따라서 더 높은 수익을 얻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가능합니다.CFD를 활용하여 거래를 하게 되면 10%~40%의 증거금(투자금)만으로 높은 레버리지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수익성을 극대화시키는 반면에 주식의 변동성이 심화되는 경우에는 그만큼 리스크가 커지게 되는데, 심각한 경우에는 반대매매가 발생하게 됩니다. CFD의 경우 개인투자자도 자격 요건을 갖추는 경우에는 가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6.17
0
0
달러가 계속 하락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근 달러환율이 하락하고 있는 이유는 미 연준의 금리인상이 앞으로 동결이 될 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CPI값이 예상보다 빠르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우리나라와의 금리 격차가 앞으로는 점차적으로 심화되는 것이 아닌 좁혀지게 될 가능성을 더 높게 판단하면서 달러의 약세로 인한 환율 하락이 발생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달러환율을 결정하는 것은 '현재의 한-미 금리격차'라는 것인데, 실제 달러환율의 결정은 현재가 아니라 '미래에 발생가능한 최대의 한미간 금리격차'를 예측하여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인상기조가 이제는 정점에 다다르게 되었고 향후 금리인상 가능성이 없어짐 만큼 현재의 1.75%의 금리격차 수준이 유지된다면 달러환율은 오히려 점차적으로 하락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그 이유는 미국이나 한국 모두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없으니 당분간 1.75%가 유지되고 향후 미국의 인플레이션 수준이 낮아지게 된다면 미국은 우리나라보다 더 빠르게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으니 이 1.75%라는 금리 격차는 좁혀지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달러환율은 하락할 가능성이 높은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경제 /
경제동향
23.06.17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