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어도비 일러스트 공부 조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컴퓨터 버전이 기능이 훨씬 많고 안정적이라서 제대로 공부하려면 컴퓨터로 시작하는 게 좋아요 패드 버전은 터치로 그리기 편하고 직관적인 면은 있지만 기능이 제한적이라서 복잡한 벡터 작업이나 패턴 제작, 레이어 정리 같은 건 좀 불편하더라구요 특히 패션디자인은 도식화나 테크팩 작업도 해야 되는데 그건 컴퓨터에서 훨씬 수월해요 저도 처음엔 아이패드로 시작했다가 결국 컴퓨터로 넘어갔는데 확실히 작업 속도랑 퀄리티가 달라지더라구요 물론 패드도 스케치나 아이디어 정리용으로는 진짜 좋아서 둘 다 병행하면 더 좋긴 한데 참고해주세요.
학문 /
미술
1일 전
0
0
AI가 정말 많이 발전하는데 직업으로서 미술 관련된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예전처럼 단순히 그림을 잘 그리는 기술만으로는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지만 감정이나 철학, 문화적 맥락을 담아내는 능력은 여전히 인간만의 영역이라고 하더라구요 실제로 요즘 미술계는 빠른 기술보다 ‘느림’과 ‘감각’ 같은 깊이 있는 체험을 더 중요하게 보고 있고요 디지털 아트 시장은 계속 커지고 있어서 AI랑 협업하는 방식으로 미술을 전공한 사람들이 새로운 기회를 잡는 경우도 많대요 NFT나 VR 전시처럼 기술과 예술이 융합되는 분야도 활발하고요 그래서 미술 전공을 피하기보다는 시대 흐름에 맞게 확장하고 적응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느껴요 저도 그런 변화가 오히려 더 흥미롭고 창의적인 기회로 보인다고 생각합니다.
학문 /
미술
1일 전
0
0
당신들은 AI를 디자인에 어떻게 활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요즘은 브랜드 디자인, UX/UI, 제품 콘셉트, 콘텐츠 제작까지 거의 모든 분야에서 AI가 쓰이고 있어요 Notion AI로는 브랜드 슬로건이나 캠페인 문구 같은 카피라이팅을 빠르게 뽑아내고요 프롬프트는 “20대 여성 타겟의 감성적인 브랜드 소개 문구 3가지” 이런 식으로 구체적으로 쓰면 결과물이 훨씬 좋아요 Runway ML이나 Midjourney 같은 툴은 이미지 콘셉트나 스타일 가이드 만들 때 많이 쓰이고요 아무튼 이외에도 엄청 많다고 볼 수 있죠.
학문 /
미술
3일 전
0
0
추상 표현주의 화가들이 내면의 감정을 시각적 형태로 구현하는 방식은?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저도 추상표현주의 작품 볼 때마다 “이건 무슨 감정이지?” 하고 상상하게 되더라구요. 이 화풍은 감정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게 핵심이라서 색과 형태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감정의 언어로 쓰인다고 해요 예를 들어 잭슨 폴록은 액션 페인팅 기법을 통해 붓 대신 몸 전체를 써서 물감을 흩뿌리는데 이건 내면의 혼란이나 에너지를 그대로 캔버스에 옮기는 방식이라고 하더라구요 색도 단순히 예쁜 걸 고르는 게 아니라 빨강은 분노나 열정, 파랑은 고독이나 침착함 같은 감정의 상징으로 쓰이고요 형태는 구체적인 형상보다 흐트러진 선이나 불규칙한 면이 감정의 복잡함을 표현하는 데 더 적합하다고 해요 전문가들은 이런 방식이 관람자에게도 감정을 직접 전달하는 힘이 있다고 보고 있어요 그래서 추상표현주의는 단순히 ‘그림을 그린다’가 아니라 ‘감정을 터뜨린다’는 행위에 가깝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지요.
학문 /
미술
3일 전
0
0
옷브랜드에서 제공하는 포장이나 택 디자인, 쇼핑백 디자인같은 세부 요소의 영향력??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쇼핑백 디자인만 봐도 브랜드의 정체성이나 감성이 그대로 드러나는데 고급 소재나 세련된 로고 배치, 색감 같은 게 잘 어우러지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이 브랜드 진짜 신경 쓴다”는 인상을 받게 되죠 특히 패션 브랜드에서는 쇼핑백이 단순한 포장이 아니라 ‘걸어다니는 광고판’ 역할을 하기도 해서 거리에서 들고 다니는 것만으로도 브랜드 노출 효과가 생겨요 그리고 택 디자인도 마찬가지예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서 브랜드 철학이나 가치관을 담는 요소로 쓰이기도 하니까요 요즘은 친환경 소재나 미니멀한 디자인을 통해 지속가능성이나 윤리적 소비를 강조하는 브랜드도 많고요 이런 디테일들이 소비자한테는 무의식적으로 고급스러움이나 신뢰감을 주는 포인트가 되는 거죠 참 재미지다고 할수있죠.
학문 /
미술
4일 전
0
0
브랜드 로고가 들어간 옷과 심플한 무지 디자인 옷중에 어떤 스타일을 선호하나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요즘은 브랜드 로고가 크게 박힌 옷보다 무지 디자인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더라구요 예전엔 로고가 곧 ‘신뢰’와 ‘지위’의 상징이었는데 이제는 ‘로고 없는 게 더 세련됐다’는 인식도 생긴 거죠 특히 MZ세대는 브랜드보다 자기 취향을 더 중요하게 생각해서 무지 옷으로 자신만의 스타일을 표현하려는 경향이 강해요 반면에 여전히 로고가 주는 소속감이나 상징 자본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도 많고요 예를 들어 나이키나 아디다스 같은 스포츠 브랜드는 로고만으로도 기능성과 품질을 보장받는 느낌이 있어서 선호되기도 해요 또 어떤 사람들은 파타고니아처럼 로고 자체가 환경 보호나 윤리적 소비를 상징하는 브랜드를 통해 자기 가치관을 드러내기도 하고요 결국 로고든 무지든 소비자들은 이제 옷을 통해 ‘나는 어떤 사람이다’를 말하고 싶은 거고 그 방식이 다양해진 거 같아요~ 그렇지않나요?
학문 /
미술
4일 전
0
0
야광페인트질문입니다 야광페인트는 형광색만있나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야광이라고 해서 꼭 형광색만 있는 건 아니더라구요 요즘은 진짜 다양해요 기본적으로는 형광 그린이나 형광 옐로우 같은 밝은 색이 많긴 한데 인광 페인트 쪽으로 가면 흰색, 파란색, 분홍색, 오렌지색 등 여러 색상도 있어요 낮에는 일반 색처럼 보이다가 밤에 빛을 흡수해서 은은하게 빛나는 타입도 있고요 특히 축광형 페인트는 빛을 흡수했다가 어두운 곳에서 스스로 빛을 내는 방식이라서 색상 선택의 폭이 더 넓어요 물론 밝기나 지속 시간은 색상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긴 한데 요즘은 기술이 좋아져서 원하는 색으로 꽤 다양하게 표현 가능하니까 함 고려해보세요.
학문 /
미술
4일 전
0
0
유아 미술 교육에서는 낙서와 구조화된 활동 중 어떤 방식이 도움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유아 미술 교육에서는 자유로운 낙서가 창의력과 표현력 키우는 데 훨씬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많더라구요 아이들은 말로 감정을 표현하기 어려울 때 손에 쥔 크레용이나 붓으로 자기 감정을 풀어내는데 그게 바로 낙서의 힘이에요 낙서는 단순한 끄적임이 아니라 아이의 두뇌 활동과 감정 표현, 운동 조절 능력을 동시에 자극하는 핵심 활동이라고 해요 물론 구조화된 활동도 필요하긴 한데 너무 틀에 맞추면 아이들이 “잘 그려야 한다”는 부담을 느끼고 창의성이 줄어들 수 있어요 그래서 미술 교육에서는 큰 종이에 마음껏 그리게 하거나 음악을 들으면서 느낌을 선으로 표현하게 하는 식의 자유로운 접근이 더 좋다고 하더라구요 낙서를 통해 아이들은 자기 생각을 독창적으로 표현하고 감정을 안정시키는 효과도 있어서 심리치료에서도 자주 활용된대요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학문 /
미술
25.10.08
0
0
한문이 뭐라 쓰여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右上부터順으로日家松栄왼쪽 아래는 세로로松に向ふ鳥라고 쓰여있는듯 보입니다전체적으로 “해(日) 아래 소나무(松)에 새가 날아든다(向ふ鳥)” 정도의 의미로자연의 평온함을 표현한 전통 화제(畫題)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무명작가의 그림으로 특별히 가치는 없으니 장식용으로 잘 쓰시기 바랍니다.
학문 /
미술
25.10.08
0
1
인상주의 화가들이 빛의 변화와 순간적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인상주의 화가들은 형태보다 빛과 분위기를 더 중요하게 여겨서 빠른 붓터치로 순간의 인상을 포착하려고 했어요 예를 들어 모네는 같은 풍경을 하루에도 여러 번 그리면서 빛과 공기의 변화에 따라 색을 다르게 표현했는데 그게 진짜 대단하더라구요 붓터치는 거칠고 빠르게 툭툭 찍듯이 그려서 마치 시간의 흐름을 기록하는 느낌을 줬고요 색 표현은 기존처럼 섞어서 쓰기보다 순수한 색을 나란히 배치해서 보는 사람이 눈으로 섞이게 느끼도록 했어요 이걸 색의 분할이라고 하는데 햇빛 아래에서 반짝이는 느낌을 살리는 데 효과적이었어요 야외에서 직접 그리면서 자연광을 그대로 담으려 했던 것도 특징이고요 그래서 인상주의 그림은 설명하지 않고 그냥 ‘보게’ 만드는 힘이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학문 /
미술
25.10.07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