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영화 미술팀 경력을 활용해서 이직할수 있는곳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영화 미술팀 경력을 바탕으로 이직할 수 있는 분야는 꽤 다양합니다. 가장 인접한 분야로는 드라마 광고 뮤직비디오 미술팀, 무대디자인, 전시공간 연출, 브랜드 쇼룸 매장 디스플레이, 테마파크 전시관 기획 등이 있고, 게임 애니메이션 CG 분야의 콘셉트 아트나 배경 디자인으로도 확장 가능합니다. 또한 인테리어 건축 시각화, 프로덕션 디자이너 등으로도 전환이 가능하며, 포트폴리오와 실무 경험이 강점으로 작용합니다.. 흥미있는 분야에 도전해보세요
학문 /
미술
25.06.28
5.0
1명 평가
0
0
서도호 작가님 설치미술 작품중에 동양화x현대 예술 예시로 들 수 있는 작품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서도호 작가의 대표작 중 하나인 ‘집 속의 집(Home Within Home)’ 시리즈는 동양화적 공간 개념과 현대 설치미술이 결합된 사례로, 전통 한옥을 반투명한 천으로 재현해 기억과 정체성, 이주 경험을 시각화한 작품입니다. 이 외에도 동양화와 현대예술의 융합 사례로는 김현정 작가의 디지털 동양화 시리즈가 있으며, 전통 수묵화 기법에 현대적 인물과 일상을 결합해 SNS 시대의 감성을 표현합니다. 두 작가 모두 동양화의 미감과 현대 매체를 접목해 새로운 예술 언어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좋은 PPT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 참고가 되셨길 바랍니다
학문 /
미술
25.06.28
5.0
1명 평가
0
0
민화를 현대적으로 해석해서 작품활동을 하는 작가는 누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현대적으로 민화를 재해석해 활동하는 작가로는 대표적으로 송줄기 작가와 김민정(미송) 작가가 있어요 송줄기 작가는 ‘모던 민화’를 주제로 전통 민화의 구도와 기법을 유지하면서도 색감이나 소재를 현대적으로 바꾸는 작업을 하고 있고, 민화 화실 ‘다화가’를 운영하며 수강생들과 함께 현대 감성의 민화를 그려내고 있어요 김민정 작가는 십장생도나 호랑이 같은 전통 소재를 현대적 구성과 색채로 재해석해 해외 컬렉터들에게도 주목받고 있으며, 국제평면미술협회(IPAA) 회장으로서 한국 민화의 세계화를 위해 활발히 활동 중이에요 이 외에도 베어브릭 같은 현대 키덜트 문화를 민화와 접목한 이지현 작가, 자수나 규방공예를 민화로 풀어낸 김민성 작가, 전통 화병을 현대적 오브제로 재해석한 김경희 작가 등도 있어요 한번 찾아보시면 감명을 받으실 거에요
학문 /
미술
25.06.26
0
0
이거 한자인가요? 무슨 의미죠???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한자 "喜(희)"입니다. "기쁠 희" 자는, 기쁨, 즐거움, 경사스러움을 뜻해요. "囍(쌍희)"자 는 같은 글자가 두 개 겹쳐진 형태로 이 글자를 바탕으로 만든 것이고요. 결혼식, 잔치, 경사스러운 일과 관련된 곳, 특히 중식당이나 전통적인 분위기의 식당, 혼례 전문점 같은 데서 자주 볼 수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어요. 복과 행운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해요.그래서 개업선물로 이런 장식품을 많이 선물하기도 합니다.
학문 /
미술
25.06.26
0
0
이 만화 그림체의 특징은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해당 링크에 있는 콘텐츠는 국가유산돌봄사업 관련 자료로 보이며, 만화나 웹툰 형식의 콘텐츠가 직접적으로 확인되지는 않았어요 그림체에 대한 설명을 드리기 위해서는 실제 만화 이미지나 작가명, 작품명 같은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해요 혹시 해당 페이지에 있는 이미지를 캡처해서 보여주시거나 작가나 작품명을 알려주시면 그림체의 특징을 더 정확하게 분석해드릴 수 있어요 일반적으로 만화 그림체는 선의 굵기, 채색 방식, 인물의 비율, 눈과 얼굴의 표현 방식, 배경 묘사 등으로 특징을 나눌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선이 얇고 부드러우며 채색이 수채화풍이면 감성적인 분위기, 반대로 선이 굵고 명암이 강하면 액션이나 드라마틱한 느낌을 줄 수 있어요 참고가 되셨기를 바랍니다.
학문 /
미술
25.06.26
0
0
예술용어좀 알려주세요 기억이 안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혹시 찾으시는 용어가 버추얼 아트또는 비물질 예술 혹은 가상 캐릭터 기반 미디어 아트일까요? 현실에 존재하지 않지만 디지털 공간에서 구현되는 예술.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메타버스 등과 연결되며, 실체는 없지만 관객에게 몰입감을 주는 예술 형태를 말하는 용어들이죠
학문 /
미술
25.06.24
0
0
이비스 페인트 픽셀 유동화 끌기펜이 이상한데 왜이러나요?
유동화 도구에서 ‘끌기’ 기능을 사용할 때, 설정에 따라 브러시 방향이 반대로 작동할 수 있어요. 설정 메뉴에서 ‘브러시 방향 반전’이 켜져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그리고손떨림 보정이 과하게 적용되면 끌기 방향이 왜곡될 수 있어요. 설정에서 보정 수치를 낮춰보는 것도 방법이에요. 그림 그리고 싶은데 도구가 말 안 들으면 진짜 속상하죠 ㅠㅠ 해결 되셨으면 좋겠네요
학문 /
미술
25.06.23
0
0
눈이 좋아지는 색상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눈이 편안하게 느끼는 색상은 부드럽고 자연에 가까운 색조입니다. 예를 들어, 연한 녹색이나 파스텔톤 블루, 연베이지 같은 색상은 시각적인 자극이 적고 눈의 긴장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어요. 특히 녹색은 자연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색상이라 뇌와 눈에 익숙하고 안정감을 주기 때문에, 피곤한 눈을 잠시 쉴 때 보는 색으로 아주 좋습니다 반대로 눈에 부담을 주는 색상은 너무 강하거나 밝은 원색, 예를 들어 선명한 빨강, 진한 파랑, 형광색 같은 경우예요. 이런 색상은 오랜 시간 동안 볼 때 시력을 긴장시키고 피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디지털 기기 배경화면이나 테마를 설정할 때도 부드러운 색상 조합으로 구성하면 훨씬 눈이 편안하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학문 /
미술
25.06.23
0
0
그림을 그리기 시작할 때 어떤 방식으로 연습하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그림을 처음 시작할 때 기초를 탄탄히 다지는 게 중요한데, 꼭 하나의 방법만 있는 건 아니라서 본인의 성향과 목표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어요. 선 연습은 기초 체력 훈련 같은 거예요. 손에 감을 익히는 데 꼭 필요하죠.직선, 곡선, 원, 타원을 다양한 크기로 반복해서 그려보세요.연습할 때는 손목이 아니라 팔 전체를 써서 그리는 것도 좋아요. 덜 뻣뻣하고 더 유연해져요. 단순한 기하 도형을 3차원적으로 그려보고, 소실점과 원근감도 조금씩 익혀봐요. 사물을 관찰할 때 "이건 어떤 도형으로 그리면 어떻게될까" 이런 생각도 자주해보세여
학문 /
미술
25.06.23
0
0
왜 같은 그림이라도 미술관에 걸리게 되면 작품으로써 엄청 치켜세우게 될까요?
그림 자체의 미적 요소 외에도 미술관이라는 공간이 부여하는 ‘아우라’와 권위가 감상 경험에 큰 영향을 미쳐요. 독일 철학자 발터 벤야민은 이를 “아우라”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는데, 이는 작품이 지닌 진품성, 시간성과 공간성에서 오는 독특한 존재감을 뜻해요. 같은 그림이라도 미술관이라는 ‘성스러운’ 공간에 걸리는 순간, 그 작품은 단순한 이미지가 아니라 ‘여결국 미술관은 작품을 ‘작품으로 만드는’ 공간이에요. 그 안에 들어서는 순간,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감상자의 자세를 취하게 되고, 그 공간이 주는 권위와 분위기 속에서 작품을 새롭게 바라보게 되는 거죠. 이건 착각이 아니라, 예술이 작동하는 방식 중 하나예요. 이해가 되셨을까요
학문 /
미술
25.06.23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