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자격증
라인트레이서를 만드려는데 다이오드가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라인트레이서 정말 오랜만이네요. 저도 오래전에 만들었었는데요.결론만 말씀 드리면 L293B 칩을 사용하신다면 다이오드 꼭 사용하셔야 합니다. chip이 타실수도 있어요.만약 다이오드 다는게 불편하시다면 L293D 칩을 사용하시면 전류 정격이 조금 낮은 대신 내부 클램프 다이오드가 포함되어 있어서 별도의 외부 다이오드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06
5.0
2명 평가
0
0
콘센트 의 플라스틱녹으면 누전위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너무 위험합니다. 콘센트는 전기가 통하는 두 개의 단자대에만 연결 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져있습니다. 플라스틱 절연체로 두 개의 단자가 서로 닿지 않게 막아주는 절연체에요. 이 플라스틱이 녹았다면 두 개의 단자가 붙어서 합선이 생길 수 있는 위험한 상황입니다. 이 상태에서 전기가 흐르면 쇼트(합선)이 일어나면서 스파크와 함께 화재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의도치 않게 외부로 돌출 된 단자 등에 금속이나 습기로 인해 접촉 되어 감전 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구요. 육안으로 보시기에 상태가 심하다고 판단되시면 어떠한 기기도 연결하지 마시고 먼저 해당 전기가 연결 된 단자를 내리시어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하시는게 좋습니다.다음은 콘센트 수리를 꼭 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06
0
0
전기차 충전을 꼭 충전소에서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자동차 충전은 요새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220V 콘센트를 사용하는 이동형 충전기들이 있습니다.급할 때 사용하실 수 있지만 충전속도가 매우 느릴 것이구요.. 그리고 220V 전기를 사용하는 곳에 허락을 받아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냥 사용하시면 전기 도둑이 됩니다.또 한가지 방법은 V2L(Vehicle-to-Load) 방법이 있습니다.바로 자동차에서 자동차로 연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이오닉 5/6, EV6/9 등 V2L 기능이 있는 전기차가 근처에 있다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물론 이동형 충전기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속도는 위에 말씀드린 것과 같이 매우 느리지만 비상 충전이 가능합니다.( * 충전은 3.5kW 기준으로 1시간 충전에 약 15km 주행이 가능할 정도만 충전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05
3.0
2명 평가
0
0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고 배터리 성능을 높이는 방법은 없나요??
안녕하세요.배터리 또한 소모품에 속합니다. 어떤 배터리인지 명시되어 있지 않아 추측해보면 사용하시는 배터리는 충전을 하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생각됩니다.이미 손상된 배터리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현재는 없습니다.단지 하드웨어적으로는 현재의 성능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1. 열 관리 - 배터리가 뜨거워지는 상황을 만들지 않도록 합니다. (햇빛, 히터, 과충전, 과사용(게임 등))2. 충전 습관 - 충전을 기존 0%~100% 범위에서 사용하셨다면 20%~80%(85%까지 괜찮다고 합니다) 범위에서 충방전을 하신다면 배터리 성능 유지에 더 도움이 됩니다.배터리 더 오래 사용하기 : 화면 밝기 낮추기, 저전력 모드, 백그라운드 작업 끄기(알림 등)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현재 배터리 성능을 유지하면서 기회가 되실 때 배터리를 새제품으로 교체하시는 겁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05
0
0
통신연결작업이 쉽나요? 전기전공인데
안녕하세요. 전기전공 이시라면 통신선 연결 작업은 너무나도 쉬우실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전원선은 잘못 연결하시면 아시겠지만 무시무시한 일이 벌어질 수 있지만 통신선은 무시무시한 일까지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단지 통신만 되지 않습니다.먼저 어떤 통신선이신지 알려주신다면 더욱 정확하게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은데요.많이 사용하는 통신선으로는 UTP 랜선이 있습니다. 데이터 송수신이 목적이며 8가닥(4쌍)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각 쌍은 꼬여있으며 100Mbps 인터넷 기준으로 1번째 쌍(주황/흰주황) TX, 2번째 쌍(녹/흰녹) RX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00Mbps에서는 나머지 2쌍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랜선 외에도 Serial 통신, CAN 통신, Modbus 통신 등이 있지만 케이블 연결은 어려운 부분이 없으십니다.만약 장비와 장비로 연결하신다면 메뉴얼에 있는 케이블 번호만 맞춰주신다면 큰 어려움이 없습니다.다만, 신규 시스템을 설치하는 현장에서 통신 케이블을 연결하신다면 노이즈등을 고려하셔야 하실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05
5.0
1명 평가
0
0
이런 문구가 있는 경우 p2p 빙식이 아니라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어느 사이트인지 알 수 없어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만, 일반적으로 p2p ratio : 0%와 saved traffic : 0kb 라고 표시된다면 현재 사이트에서 시청 중인 영상 데이터는 다른 시청자(Peer)로 부터 전송을 받고 있는 상황이 아니며, 100% 해당 스트리밍 사이트의 중앙 서버로 부터 직접 데이터를 받고 있다는 뜻으로 보입니다.질문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ratio와 traffic이 모두 0% 이기 때문에 p2p 비활성화 되어 있을수도 있으며, 결론적으로는 P2P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이 전혀 일어나고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트래픽은 모두 서버에서 감당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05
3.7
3명 평가
0
0
노베이스에서 iOS 앱개발을 하려면
안녕하세요. 먼저 노베이스에서 iOS 앱개발을 결정하신 그 마음에 박수를 보내드립니다.코딩 관심만 있으시고, 바이브코딩으로 간단한 터미널 명령어만 작성하셨다고 하시면 코딩에 대한 기본 지식과 이해도가 부족하실거라 생각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C언어부터 시작해서 iOS에서 사용하는 Swift 언어를 학습하시는게 좋으신데요.기초부터 시작하시면 흥미가 떨어져서 재미가 없으실수도 있습니다.개인적으로는 두 가지 방법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기초부터 탄탄하게, 전문가의 길로!C언어 기본 문법 -> Swift 기본 문법 -> Swift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이해 -> Xcode 활용 -> 화면 구성 요소 (UI Framework) -> 화면 간 이동 -> 데이터 관리 및 저장 -> 비동기 처리 및 네트워크 통신 -> 디자인 패턴C언어는 모든 컴퓨터언어의 기초로 컴퓨터 동작 방식과 기본 문법 및 개념을 숙달할 수 있게 됩니다. 컴퓨터 언어를 어떤식으로 사용하는지 알 수 있게 됩니다. C언어 학습 뒤 Swift 기본 문법부터 학습을 하고, 개발툴(Xcode)을 사용해 빌드, 디버깅, 시뮬레이터를 사용하면서 APP이 눈에 보이게 되면서 점점 흥미가 붙기 시작할겁니다. 이러한 학습법을 추천드리지만 단점으로는 APP이 눈에 보이기 전까지는 흥미도가 떨어집니다.재미있게 내마음대로 !먼저 iOS APP을 개발하려고 하셨던 목적 또는 이유가 있을겁니다. 그러면 처음부터 해당 APP를 개발하기 위해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실제 부딪혀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App의 콘티를 머릿속에만 넣기 보다는 다른 iOS의 APP을 참고하여 간단하게 그림등을 통해 컨셉을 그려보시길 바랍니다. 다음은 Xcode에 프로젝트를 생성해서 어떠한 화면을 꾸미고 어떠한 기능을 추가할 것이며 화면 이동은 어떻게 할건지에 대한 APP의 구성들을 하나씩 유튜브나 인터넷 검색을 통해 찾아가면서 만들어 나가시는겁니다.2번의 장점은 첫 시작의 흥미를 높이기는 좋지만 중간에 기능 구현의 어려움이나 bug를 마주쳤을 때 해결능력이 1번 방법보다는 떨어지기 때문에 중도 포기할 가능성이 있습니다.질문의 답변을 간단하게 정리하였습니다만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다시 질문 올려주시면 답변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05
5.0
1명 평가
0
0
1